View : 12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염현경-
dc.contributor.author손지희-
dc.creator손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6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69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영재가 지각한 부-자녀와 모-자녀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완벽주의 성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중등 영재가 지각한 부-자녀, 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완벽주의 성향, 학교적응 간에는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중등영재가 지각한 부-자녀와 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완벽주의는 매개 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3가지의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한 자료는 서울 소재의 단위학교 내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생 1, 2, 3학년의 수학, 과학, 발명 영재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을 실시하여 최종 27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부-자녀와 모-자녀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48문항), 완벽주의 성향(20문항), 학교적응(41문항)인 세 개의 잠재변인에서 총 109개 문항을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 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CFA)와 구조방정식(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χ2 통계량(425.879), RMR(.022), TLI(.904), CFI(.919), RMSEA(.066) 등을 통해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변인들의 요인부하량을 살펴봄으로써 모든 수치가 0.5이상으로 나타난 것을 검토하였다. 또한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 비교를 통해 최종연구모형을 채택하였고, 이에 따라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영재가 지각한 부-자녀와 모-자녀 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완벽주의 성향(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학교적응 간에는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부와 모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부-자녀와 모-자녀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타인지향 완벽주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학교적응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와 모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자녀의 학교적응에 모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자녀와 모-자녀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완벽주의 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완벽주의를 통한 매개효과는 없었지만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쳤다. 모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부분 매개 효과를 보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모와 자녀 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할 경우 중등 영재는 자신의 행동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세우며 이를 성취하지 못했을 경우 자신이 실패했다고 지각하는 부정적인 정서를 갖게 되는데 이는 학교생활에서의 원만한 적응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모와 자녀 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할 경우 중등 영재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은 높아지는데 이는 부모와 교사 등의 의미 있는 타인이 자신에게 완벽한 성취를 하도록 압력을 가한다고 느끼면서 분노, 불안, 우울 등의 증상의 발현으로 인해 학교 구성원들과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영재 자녀를 둔 부모는 영재의 특성인 완벽주의 성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기능적인 의사소통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기인 중등 영재와 부모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하며,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이해를 바탕으로 영재의 학교적응에 도움이 되는 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erceived by gifted middle school children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with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as a mediating factor. In order to serve this purpose, the study 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study looked at the type of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erceived b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Second, the research set out to understand whether the perfectionist tendency of the children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erceived b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In order to provide answers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established thirteen hypotheses, and followed the following procedure to verify them. The data for research analysis was obtained by surveying 279 students who get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ls in Seoul. The measurement tool was a set of survey questions consisting of 109 items classified into the three potential variables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48 questions),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20 questions), and adaptation to school (41 questions). The data colle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were put through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 for computerized statistical treatment, after whic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CFA on the research model provided the fitness of the model through χ2 statistic (425.879), RMR (.022), TLI (.904), CFI (.919), and RMSEA (.066).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factor loading of measured variables by CFA, we found that all values were 0.5 or above. Furthermore, the final research model was selected after a fitness comparison of partial mediation model and full mediation model;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es. First, we looked at what kind of influential relationship exists among father, mother-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s-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adaptation to scho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a negative (-) influence on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of both the mother and the father.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thers-oriented perfectionism. Next,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daptation to school, but it had a negative (-) influence on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Others-oriented perfectionism was shown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adaptation to school. Lastly, dysfunctional communication from both the mother and the father was shown to have a directly significant negative (-) influence on the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Second, the study research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on the influence of parental dysfunctional communication on the child’s adaptation to school.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have no mediating effect on the fa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ut i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hild’s adaptation to school. The mo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not only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hild’s adaptation to school,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o the adaptation with self-oriented and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s as media. This study confirmed that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negatively affect the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and such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crease the possibility that the children will experience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ir school. In particular,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 will reduce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t tendencies of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 which in turn will negatively affect the child’s adaptation to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 increases the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t tendency, which in turn causes child to think that parents and teachers pressure him or her to achieve perfection, which increases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in turn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 child to adapt to school. The deduction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that parents of gifted children must put efforts into func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t tendencies. Furthermore, this paper makes a proposal for research in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adolescence and their parents, and the researcher expresses expectation for counselling programs, based on profound insights and understanding of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that are designed to help gifted children adapt to 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영재의 개념 및 정의적 ·사회적 특성 8 B. 부모-자녀 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13 C. 완벽주의 성향 17 D. 학교적응 21 E.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24 Ⅲ. 연구 방법 28 A. 연구 대상 28 B. 연구 절차 30 C. 연구 측정도구 31 D. 연구 모형 및 가설 35 E. 자료 분석방법 39 Ⅳ. 연구 결과 40 A. 기술통계와 전체 측정변인의 상관관계 분석 40 B. 구조방정식 검증 결과 분석 44 C. 중등 영재가 지각한 부-자녀와 모-자녀 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완벽주의 성향, 학교적응 간의 관계 53 D. 중등 영재가 지각한 부-자녀와 모-자녀 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완벽주의 성향의 매개효과 56 Ⅴ. 결론 및 제언 58 A. 결론 58 B.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1. 연구참여안내서 72 부록2. 일반적 사항 설문지 73 부록3.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 74 부록4.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 76 부록5. 완벽주의 성향 78 부록6. 학교생활적응 80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43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등 영재가 지각한 부-자녀와 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완벽주의 성향을 매개로 하여-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father, mother-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erceived b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 Perfectionist tendencies as a mediating factor-
dc.creator.othernameSon, Jee Hee-
dc.format.pagevi, 85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447-
dc.contributor.examiner임미연-
dc.contributor.examiner김민경-
dc.contributor.examiner염현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