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인터랙티브 아트 교육용 교구(Tool-Kit)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인터랙티브 아트 교육용 교구(Tool-Kit)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Tool-Kit for Interactive Art : Focusing on the Teaching Program with using ‘Sensor Mobile’
Authors
황연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모든 분야에 급진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최근 전세계적인 교육의 흐름도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인재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정책과 연구가 뒷받침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우리나라의 교육 정책도 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환경 구축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나, 많은 연구결과와 노력에도 수업 현장에서의 활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 원인으로 교실 환경과 맞지 않는 하이테크놀로지 기반의 수업 프로그램과 이것을 활용 할 수 있는 교수·학습지도안의 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의 성취도와 흥미를 모두 만족할 만한 응용 교구 개발의 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수업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한 디지털 매체의 교육용 교구 및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 기기의 핵심 개념인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의 개념을 접근성이 쉬운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찾아보았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기존에 관람자들이 작품을 감상하던 수동적인 형태에서 작품에 참여하고 변화를 주는 능동적인 형태로 변화된 새로운 예술의 장르이다. 관람자는 매개체를 통하여, 작품에 관여하고 작가의 의도에 의해 작품은 관람자에게 참여를 유발하게 되는데 이것이 작품과 관람자가 소통을 하는 상호작용성의 개념이다. 기존 예술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인터랙티브 아트의 기원으로 알렉산더 칼더는 모빌이라는 형태의 작품을 통해 정지한 작품에 움직임을 부여하였으며 관람객이 만져서 움직이는 ‘상호작용성’을 실험하였다. 주변의 환경에 영향을 받으면 그 자체가 예술이 되는 모빌 작품은 인터랙티브 개념을 잘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알렉산더 칼더의 모빌 작품에서 조형적 모티브를 가져와 디지털 센서와 결합한 ‘센서모빌’ 교육용 교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교구를 활용한 수업프로그램을 함께 개발하여, 수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되었다. 수업프로그램은 신혜영의 CIMA 수업프로그램 제작 모형에 적용하여 ‘이해-탐구-제작-감상’의 4단계로 구성하였고, ‘센서모빌'을 활용한 4차시의 교수·학습지도안 개발하였다.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시범 수업을 통해, 개발된 교구와 수업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학습자의 변화된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전과 후의 대표적인 변화는 학습자의 사고 영역의 확장과 학습의 태도이다. 수업 전의 학습자는 대부분 정답을 구하거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켜서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수업 후에는 한가지 해결점을 찾는 경쟁에서 탈피하여 수행과정의 즐거움을 알게 되고 적극적인 참여자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센서모빌’ 교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는 양질의 수업을 제공하고, 창의적 융합사고를 지닌 인재가 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 교사에게는 수업에서의 활용이 용이한 로우테크놀로지 교구를 제공하여, 수업현장에서 보조 학습 도구로 채택되어 활발히 적용되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re is a radical change taking place in all areas in this modern society. To prepare the future global society which focused on education and integrated thinking human resources, a supporting program in policy and research is needed. Even though, the Korea department of policy is committed to build smart learning environment with new technologies in many research and teaching method, the implementation in classroom field situation is still minimal. The problem is high technology-based program does not match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re is a shortage in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al program and education supporting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tool-kit with digital media and teaching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classroom. The main concept is to bring ‘Interactivity’ in interactive art as we found that this field has similar concept to smart device with easy accessibility. The origin of interactive art can be found in the works of Alexander Calder. He applied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to his mobile, and added a motion to a still work which audience can interact with. This research brought Alexander Calder’s formative motive and digital sensor to develop educational tool-kit, ‘Sensor Mobile’. This study also develops a classroom program with ‘Sensor Mobile’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classroom activity. This research apply Hyeyoung Shin’s CIMA class production model that build teaching program with four stages (Concept building-Investigation-Making-Appreciation). Moreover, this study develops a teaching program, with ‘Sensor Mobile’tool-kit for four hour-session class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help student to improve their integrative and creative thinking, as ‘Sensor Mobile’ is a low technology tool-kit, which is easy to app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eachers to use this tool-kit in the future teaching program and classroom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