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이미지의 친숙도가 화질선호에 미치는 영향

Title
이미지의 친숙도가 화질선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amiliarity on Image Quality Preference
Authors
박다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현재의 디스플레이 시장은 대상의 사실적인 재현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화질선호도를 중요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화질의 색 재현과 선호도 관련 연구는 주로 기억색이 형성되어 있는‘익숙한 자연물’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다. 현대 사회는 디지털 혁명 시대로 새로운 트렌드와 낯선 대상을 찾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TV, 스마트폰 등으로 소비하는 이미지·영상 콘텐츠에는 익숙하게 알고 있는 자연물뿐만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자연물과 인공 그래픽이 나타나는 콘텐츠도 무수히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익숙한 자연물 이미지’과 함께 ‘익숙하지 않은 자연물’과 ‘인공 그래픽 이미지’의 색 재현에 따른 화질선호 경향을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화질평가에 들어가기에 앞서 실험 이미지를 친숙도 평가 실험에 따라 나누었다. 이를 통해 실험 이미지를 자연물 이미지 중‘선경험’과 ‘기억색’이 형성되어 있는 ‘친숙도가 높은 이미지’, 자연물 이미지 중‘선경험’과 ‘기억색’이 미미하거나 없는‘친숙도가 낮은 이미지’, ‘선경험’과 ‘기억색’이 전혀 없는 ‘인공 그래픽 이미지’로 나누어서 주관적 화질평가를 진행하였다. 주관적 화질 평가 결과를 통해 첫째로 이미지의 친숙도 별 화질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을 비교분석하였고 둘째로 이미지의 친숙도가 이미지의 지각속성 변화에 따른 화질선호 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미지의 친숙도 별 화질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화질선호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평가항목의 수는 이미지의 친숙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이미지의 친숙도가 낮아질수록 화질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의 수가 증가하였다. 둘째, ‘사실적이다’, ‘자연스럽다’, ‘친숙하다’ 항목과 같은 감정형용사 항목은 이미지의 친숙도가 낮아질수록 화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이미지의 친숙도가 이미지의 지각속성 변화에 따른 화질선호 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의 친숙도에 따라 화질선호도 경향에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난 이미지 지각속성은 밝기(brightness)로 나타났다. 친숙도가 높은 이미지는 화질선호도가 이미지의 밝기 증감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친숙도가 낮은 이미지와 인공 그래픽 이미지는 밝기 증감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다. 둘째, 이미지의 대비(Contrast) 증가에 따른 화질선호도 변화는 친숙도가 높은 이미지에서만 확인되었다. 친숙도가 높은 이미지는 이미지의 대비가 증가함에 따라 화질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이미지의 색 포화도(saturation)의 경우 이미지의 색 포화도를 감소시켰을 때는 모든 그룹의 이미지의 화질선호도가 매우 감소하였다. 반면 이미지의 색 포화도를 증가시켰을 때는 친숙도가 높은 이미지의 화질선호도만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동일한 자연물 범주의 대상이 나타난 이미지 중에서도 이미지에 나타난 대상의 친숙도에 따라 화질선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친숙도가 높은 자연물 이미지의 경우 실제적 경험과 선지식, 기대효과 등으로 인해 지각속성 변화에 따른 화질선호 경향에 기억색과 색 항상성과 같은 인지적 반응이 많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친숙도가 낮은 자연물 이미지의 경우 인지적 반응이 적게 작용하여 인공 그래픽 이미지의 화질선호 경향과 매우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Current display market has started to importantly consider realistic reproduction of the object and the image quality preference of user along with it. Research on color reproduction of image quality preference mainly has conducted on 'familiar natural objects' that have formed with memory color. In modern society, there are countless contents that have unfamiliar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graphic, besides well known natural objects in image picture contents that are consumed through TV, smart phone, etc. according to new trend and consumers' desire to search strange objects as the digital revolutionary age. Here, this research studied the tendency of image quality preference according to color reproduction of ‘unfamiliar natural object image' and 'artificial graphic image' along with 'familiar natural object image'. Here, this research divided the experimental image according to degree of familiarity evaluation test before subject quality assessment. Through this, this research divided the experimental image into ‘the image with high familiarity’ formed with ‘prior experience’ and ‘memory color’ among natural object images and ‘the image with low familiarity’ with little of low ‘prior experience’ and ‘memory color’. Also, conducted subject quality assessment by adding ‘artificial graphic image’ which has no ‘prior experience’ and ‘memory color’. This research firstly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valuation items that influence image quality preference per degree of familiarity of image, second, analyzed the effect of image familiarity on tendency of image quality preference along with perceived attributes change of image.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of evaluation items that influenced image quality preference per image familiarit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number of evaluation items that greatly influenced image quality preference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image familiarity. As the degree of familiarity of image decreased, number of evaluation items that influenced image quality preference increased. Second, emotional adjective items such as the items, ‘realistic’, ‘natural’, ‘familiar’, were determined to have bigger influence on image quality preference when familiarity of image decreased. Nex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image familiarity on image quality preference tendency along with perceived attributes change of image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 perceived attribute that displayed biggest difference in image quality preference tendency along with image familiarity appeared brightness. The image with high familiarity was little influenced with image quality preference by increase or decrease of brightness of image, however the image with low familiarity and artificial graphic image very sensitively reacted to increase or decrease of brightness. Second, image quality preference change along with increase of image contrast was confirmed in the image with high familiarity. The image with high familiarity was increased with image quality preference along with increase of image contrast. Third, in case of color saturation of image, image quality preference of all image groups greatly decreased when decreasing color saturation of image. On the contrary, only image quality preference of the image with high familiarity greatly increased when increasing color saturation of image. Based on this, it was determined that image quality preference characteristic could appear differently along with degree of familiarity of the object in the image among the images where the object of the same natural object category appeared. In case of natural object image with high familiarity, cognitive reaction as memory color and color constancy greatly influenced image quality preference tendency along with perceived attributes change due to the actual experience, prior knowledge, and expectation effectiveness, etc. On the other hand, natural object image with low familiarity showed very similar tendency to the artificial graphic image’s image quality preference tendency, since cognitive reaction acted litt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