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3 Download: 0

미각에 관한 감각형용사와 연상색채

Title
미각에 관한 감각형용사와 연상색채
Other Titles
A Study on sense adjective and color association According to Taste sense
Authors
손정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본 논문은 미각에 관한 감각형용사와 연상색채에 대한 연구로 단어의 의미변화인 따른 색채의 범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기본 4원미에 대해 미각이미지로만 연구해왔던 연구와는 다르게 단어들을 미각이미지 중에서도 감각형용사로 한정하였으며, 기본 4원미를 기준으로 어휘들을 감칠맛의 [-], [+], 최상급의 강도로 정밀하고 세분화하였다. 또한 기본 4원미로 표현이 불가능한 미각인 보조미각 및 혼합미각을 설정하여 색채의 연상 범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색채 지각 및 공감각의 특성에 대해 문헌조사 후, 색채와 미각의 기존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연구자료에서 미각의 형용사 및 분류를 진행하였으며, 미각에 관한 감각형용사로 본 연구의 단어들을 한정시켰다. 둘째, 이론적 조사를 바탕으로 감각형용사의 단어를 추출하였으며 이에 해당되는 연상색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색상과 색조에 대해서 가장 잘 표현이 되는 도구중 하나로 종이나라 200 Color의 컬러칩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도구는 PCCS와 KS를 이용하였다. 톤그래프와 색상그래프를 통해서 색상과 색조에 대해 단어별로 나눠 빈도분석을 진행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미각의 감각형용사 단어에 따른 연상색채 분석조사로서 감칠맛의 여부와 최상급의 강도에 따른 색채범위와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각형용사와 연상색채에 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감각형용사의 어휘가 감칠맛의 여부에 따라 색채 연상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색조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대분류의 색조를 분석한 결과, ‘단맛’계열의 감각형용사 어휘에서는 Tint의 색조, ‘쓴맛’계열에서는 Shade의 색조, ‘짠맛’계열에서는 Tone의 색조, ‘매운맛’계열에서는 Color의 색조로 나타났다. 하지만‘신맛’계열에서는 여자에서만 Color의 색조로서 감칠맛의 여부와 최상급의 강도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떫은맛’에서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색조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감칠맛의 [-]인 단어들은 상대적으로 감칠맛의 [+]의 단어들에서 나타나는 색조에 비해 명도와 채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어의 의미변화에 따라 남자와 여자가 연상하는 색채 범위에서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혼합미각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공통적으로 표현가능한 색상이 존재하지만, 색조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리적인 현상에서는 매운맛을 제외하고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각의 감각형용사에 대해 연상색채를 감칠맛의 여부와 최상급의 강도로 색채 범위를 찾아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색상과 색조 그래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미각의 감각형용사에 대한 색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Common analysis of the tone of the large category appear, "sweetness" in the sense of the adjective vocabulary of the series, tone, 'bitter' series of Tint Shade of Hue, the 'salty' series color in tone, in the 'spicy' series hue of the Color It was. However, the 'sour' family only women showed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the highest intensity of flavor as the hue of the Color, 'astringency' was found in no hue appearing in common. And the savory taste [-] words are relatively showed lowered contrast and the brightness and color saturation compared to the hue appearing in the words of the [+] on the savory taste, according to the mean variation of the word a man and a woman in a colorful range of associations. Also mixed taste in men and women are commonly represented as the color is there, bu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one. In addition, the physiological phenomenon showed that except for the spicy. Throughout the process, associative color for the adjective sense of taste through this study to find whether the color range and intensity of the superlative flavor, color and hue graph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By using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e standards of color sense of taste adjective expresses the intention that match the color in each of the design disciplines and expected to use as a base mater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