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김한영-
dc.creator김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조선 후기 자연시조 속에 등장하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통해 자연시조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자연이 단순한 소재적 차원에서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가 자연을 어떠한 대상으로 여기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 시조를 자연시조라 정의내리고 그에 따라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조명해볼 수 있는 조선 후기의 자연시조를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에서 추출하여 각 시조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해보았다. 최근 ‘자연’이란 주제는 문학교육 내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현대문학 영역에서는 ‘생태문학’으로 언급될 정도로 논의가 활발한데 그에 비해 고전문학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빈약한 편이며, 고전문학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조선 전기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이 많아 사실상 조선 후기 자연시조를 포함하거나 현대의 생태문학과의 전체적인 흐름을 관통하여 현재적 문제에 답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기에 문학 교육 속에서 조선 전기 중심의 자연시조와 현대의 생태문학의 연속적 이해가 단절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또 ‘연속적 이해’라는 측면을 더 살펴보면 문학교육 속에서 ‘자연’이 중심 주제로 표현된 것은 고전의 자연시조와 현대의 생태시 외에 1950~60년대 청록파의 자연시도 존재하는 상황인데 이들 간의 상관성에 대한 통시적 조명도 부족한 상황이라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진단으로 현재 문학교육에 나타난 자연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의 대표성을 가진 두 시조집에 나타난 자연시조를 통해 조선시대 전반에 나타났던 인간과 자연 관계의 변화 양상을 살펴 한국 자연시가라 할 수 있는 자연시조, 자연시, 생태시의 통시적이고 연속적인 흐름을 관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보았다. 그리하여 이 과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연관은 자연을 단순한 휴양지로 여기거나 환경 보호 차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았고 문학교육에 등장하는 자연과 관련된 내용을 확인해보니 ‘자연, 공동체, 생태, 환경’이라는 핵심 단어로 표현할 수 있었는데 이 용어들이 가진 상식적인 의미 파악 외에 문학 교육 속에서 의도한 바와 이것이 실질적으로 반영된 교과서의 양상을 살핀 결과, 교과서 상에서 조선 전기의 자연시조를 중심으로 가르치다보니 천편일률적으로 자연이 화자에게 유교적 깨달음을 주는 곳이거나 조화로운 이상향의 모습으로 도식화되어 실질적인 학습자들의 현실 인식과 문학 교육 속에서 제시되는 자연시조 사이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자연을 다룬 한국 자연시가가 교육적으로 어떻게 접근 되어야 하는지 탐색하기 위해 조선 후기 시조집 속에 나타난 자연시조를 시적 화자와 자연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크게 7가지 자연관이 발견되었는데 조선 전기에는 자연이 주로 절대적인 대상으로 여겨지거나 조화로운 대상으로 획일화되어 있었다면 조선후기에는 주관적 감정을 토로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관계를 맺는 등 자아와 자연이 매우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조선 후기로 갈수록 개인적 감정의 속성을 지니는 자연관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선 전기의 유교적 자연관을 여전히 수용하고 있지만 조선 후기 자연시조에서는 더욱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 즉 조선 전기의 자연관도 잔존하지만 그 외에도 조선 후기 자연시조에서는 매우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 전기 자연시조 속 화자들의 세계가 정치현실이었다면, 조선후기 자연시조에서는 정치라는 직접적인 현실 외에 자연이라는 것을 자신의 세계로 바라보고 이 ‘세계’와 어떠한 관계를 맺을 것인지 고민하고, 이것을 문학으로 다양하게 표현하며 나아가 자신이 세계로 인식한 대상과의 다채로운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이 조선후기 자연시조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주요 내용인 것이다. 셋째, 이렇듯 조선 후기의 다변화된 자연관은 학습자에게 조선 후기 자연시조를 통해 여러 양상으로 세계와 관계를 맺는 문학적 경험을 제공하여 현재 개인의 삶 속에서 만나게 되는 여러 ‘세계’에 대하여 탐구하고 어떠한 관계를 맺을지 모색해보는 중요한 기회를 갖게 한다. 나아가 조선 후기의 이러한 다양한 관계 맺음은 조선 전기의 자연시조를 통한 도식화된 교육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관계에 대한 성찰을 표현하는 문학이라는 장르의 본질을 더욱 풍부하게 탐구할 수 있게 하는 등 인간과 자연의 관계 재정립을 모색하는 현대의 생태문학으로 연결되어 ‘문학’이라는 특성을 관통해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체험이 된다. 그러나 이 연구는 작자 미상의 작품에 대한 분석을 자세히 다루지 못한 것과 논의에서 제외된 더 많은 시조집을 포함한 자연시조의 양상을 모두 다루지 못하였다는 연구의 한계점을 지닌다. 그렇지만 ‘자연’에 대한 문학교육 내의 현재적 관심사에 대하여 문학교육의 내용을 토대로 자연이라는 주제 속에 담긴 의도와 용어의 변천 과정을 비교적 충실히 살펴보아 문학교육과정 상의 수록 의도가 교과서 상에서도 잘 발현될 수 있도록 자연시조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그 문제점을 밝히고 대안을 모색해봄으로써 고전 시조를 통해 현재에도 고전이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 한국 자연시가사의 통시적 조망과 더불어 문학교육의 본질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소략하나 앞으로 고전 문학 작품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하나의 의미로 우리 삶에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적극적으로 인식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주요어] 조선후기 자연시조, 자연관, 관계, 문학의 본질, 문학교육, 한국자연시가;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ducation plan of Si-jo on nature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men and nature in Si-jo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fine Sijo on nature emphasizing how the speaker of Si-jo considers the nature, not regarding the nature as the topic of Si-jo, and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 man shown in Sijo by extracting it in [Cheong-Gu-Yeong-Eon] and [Ka-Gok-Wol-Ryu] as the examples. Recently, “nature” is an important theme for an objective of study and also very lively considered as much as it is referred “Ecological Literature” i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However, in the field of classical literatu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relatively poor and even if the research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conducted, the research is mainly on the works in early Chosun dynasty as the object of the study. Actually, the study including Si-jo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or the study pursuing the answers of the questions on current issues through the overall flow of the ecological literature is uncommon, and so the Si-jo on nature in early Chsun dynasty and continuous understanding of current ecological literature in the aspect of literature education is in disconnected situation. Also, reviewing in the aspect of “continuous understanding”, “nature” is expressed as the main theme in Si-jo on nature of classical literature, ecological poem of contemporary literature and natural poem of Cheong-Rok-Pa(School of Blue-Green Color) in the 1950s and the 1960s and also the diachronic aspects among the relationship of those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s of nature appeared in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by diagnosing it, and to review the changes between the man and nature appearing in Chosun dynasty through Sijo on nature in the two Si-jo (Books of Si-jo) that represents late Chosun dynasty and to find the point usefully affecting to the learners by including diachronic and continuous flow of Si-jo on nature, natural poem and ecological poem.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steps and suggested as follows. At first, views of nature that can be seen in the aspect of adolescents through a survey have a tendency to regard natural as a simple resort or recognized as environmental protected factor, and when reviewing the contents regarding nature in literature education, those can be expressed to the core words such as “nature”, “community”, ”ecology” and “environment” Other than identifying the common meaning that those terms have, when reviewing how those terms are intended i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actually reflected in the text book, the problems ma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ctual learners’ recognition of reality and Si-jo on nature suggested in the literature education can be found forming that nature gives the Confucian enlightenment of the speaker or harmonious utopia because the teaching in the textbook is focused on Si-jo on nature in early Chosun dynasty. At second, to explore how the Korean poem mainly about nature will be approached educationally, Si-jo on nature in the poetry of Si-jo (book of Si-jo) was analyze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of the poem and the nature. Mainly seven views of nature were found as a result. In early Chosun dynasty, if nature was regarded as manly an absolute thing or unified as harmonious thing,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was identified possibly to make a various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oneself by being regarded as the thing to express subjective emotion. This not only shows that view of nature changes to property of personal emotion in late Chosun dynasty, but also including the Confucian view of nature in early Chosun dynasty and shows that Sijo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making more various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views of nature in early Chosun dynasty has been existed, but Si-jo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was making various relationships. Therefore, if the world of speakers in Si-jo on nature in early Chosun dynasty was the political reality, mature, other than the directive reality called politics, was seen as the world the speaker and how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the world will be made and it will be expressed in the literature and the fact that nature is making a various relationship with the thing that was regarded as the world was the main theme of Si-jo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At third, the view of nature variously changed in late Chosun dynasty provides learners with experiences in literature making a relationship in a various aspect through Si-jo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and has opportunities exploring various worlds to meet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finding how to make the relationship. Furthermore, making such various relationships in late Chosun dynasty was moved forwarded from schematized education through Sijo on nature in early Chosun dynasty and to become an important experience to view as a feature of literature by connecting with modern ecological literature finding the identity between a man and nature that makes the essence of literature, expressing introspection on the relationship, more abundant.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 that the works that the writers have not been identified were not accurately analyzed and the identification of Si-jo on nature excluded from the argument including poetry of Si-jo was not treated. However, regarding the current concerns in literature education on nature, relatively faithful review of changing process of intention and terms in the theme of nature based on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was conducted, and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Si-jo on nature was analyzed so that the intention to be suggested in literature education is expressed in the textbook, to make classical literature is reflected in the present through classical Si-jo by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finding the solution, and to confirm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diachronic view of Korean poetry on nature can be accomplished. Even if the amount of the study is small, hopefu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ctively recognized for the application to our lives as one meaning for the works of literature to find the current problems. [Key words] Si-jo on nature, view of nature, essence of literature, Korean poem on nature, Education of Si-jo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5 1. 조선 후기 자연시조 5 2. 시가(詩歌)교육에 나타난 자연 9 C. 연구 대상 및 방법 15 1. 「청구영언」과 「가곡원류」 15 2. 조선 후기 자연시조의 정의 20 3. 조선 후기 자연시조의 분석 방법 23 Ⅱ. 조선 후기 자연시조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26 A. 자연을 다룬 한국자연시가사의 연속적 이해 26 B. 문학교육에 나타난 자연의 양상 30 1. 문학교육과정에 나타난 ‘자연’ 30 2. 문학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활동을 통한 자연시조 교육의 진단 37 3. 문학교육 속의 ‘자연, 생태, 공동체, 환경’의 전개 45 C. 자연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51 1. 연구 절차 및 방법 52 2. 여가, 환경보호의 대상으로서만 머물고 있는 자연관 53 3. 환경, 과학 과목과 차별되지 않는 문학교육의 문제 인식 54 Ⅲ. 자연관에 따른 조선 후기 자연시조의 분류 57 A. 조선 후기 자연시조 작품의 분류 기준 및 분류 결과 58 B. 자연관에 따른 조선후기 자연시조의 작품 세계 64 1. 이념적 대상의 자연시조 64 2. 자족적 공간의 자연시조 65 3. 자기 존재 모색의 자연시조 68 4. 생활 터전을 노래한 자연시조 70 5. 심미적 공간으로서의 자연시조 71 6. 취흥적 배경으로서의 자연시조 72 7. 이상향으로서 존재한 자연시조 72 8. 복합적 성향의 자연시조 74 C. 조선 후기 자연시조의 관계맺음 양상 분석 74 Ⅳ. 조선 후기 자연 시조의 교육적 가치 80 A. 자연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 및 태도의 신장 80 B. 시조에 나타난 심미적 인식 변화 과정 탐구 88 C. 서정시의 본질에 대한 이해 능력 신장 94 D. 자연시가의 시가사적 변화 과정 이해 101 Ⅴ. 결론 107 참고문헌 112 부록1.『청구영언』에 수록된 자연시조의 시대별 목록 122 부록2.『가곡원류』에 수록된 자연시조의 시대별 목록 125 부록3.『청구영언』에 수록된 자연시조의 원문 127 부록4.『가곡원류』에 수록된 자연시조의 원문 131 부록5.『청구영언』에 나타난 자연시조의 자연관 분류 135 부록6.『가곡원류』에 나타난 자연시조의 자연관 분류 136 부록7. 학습자의 자연관 파악을 위한 설문지 137 ABSTRACT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811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조선 후기 자연시조 교육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청구영언』,『가곡원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ducation Plan of Si-jo (Korean poem) on nature in late Chosun dynasty : Concentrated on [Cheong-Gu-Yeong-Eon] and [Ka-Gok-Wol-Ryu]-
dc.creator.othernameKim, Han Young-
dc.format.pagevii, 144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421-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