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오선영-
dc.creator오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7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7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에게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인권침해가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을 매개로 심리적인 안녕감(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아동들의 건강할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을 긍정적 측면의 자아존중감, 부정적 측면의 우울로 구성되는 조작적 정의로 한정하였으며, 인권침해는 부모의 학대와 방임, 또래의 학교폭력으로 정의하였다. 인권상황인식은 의사표현, 사회참여와 차별에 관한 인식으로 한정하였으며, 인권감수성은 타인의 어려움을 돕기 위한 측면, 사회참여 측면 등으로 한정하여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 제 40201호) 2013년 데이터로 분석대상은 중·고등학생 6,627명이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18.0와 AMOS 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대는 자아존중감에는 부(-)적인, 우울에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학대는 인권상황인식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나 인권감수성에는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은 자아존중감에는 부(-)적인, 우울에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임은 인권상황인식 및 인권감수성에도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연구와는 다른 결과로 추가적인 분석과 신중한 해석이 요구된다. 넷째, 부모의 학대는 인권감수성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우울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임은 인권상황인식을 매개로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임으로 인해 인권상황인식이 낮아지며, 우울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임은 인권상황인식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임은 또한 인권감수성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데, 방임을 경험할수록 인권감수성은 낮아지나 인권감수성 변인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학교폭력은 인권감수성과 상황인식을 매개로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갖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대와 방임, 또래집단의 학교폭력과 자아존중감과 우울, 인권상황인식, 인권감수성 간 통합적,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므로써 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는 구체적인 개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들이 아동학대와 방임, 학교폭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간과해온 인권감수성과 인권상황인식을 고려하여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아동청소년의 균형적인 발달에 관한 논의를 다각화 하였다. 셋째,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개입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기초적인 개입으로 보고, 이를 통한 학교 및 가정, 사회 전반에 인권기반한 환경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인권주류화 관점을 융합하여 사회복지학적 함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 학대, 방임, 학교폭력, 자존감, 우울, 인권감수성, 인권상황인식;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various human rights violation that occurs to childre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self-esteem, depression) through the medium of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nd present ways to promote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To this end, this study limited psychological well-being to operational definition of self-esteem in positive aspect and depression in negative aspect, and defined human rights violation as abuse and neglect of parents and school violence of peers.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was defined as expression of opinion, social participation and awareness of discrimin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was defined in the aspect of helping others and in the aspect of social participation. The data used for analysis was 2013 data of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and Adolescents’ Human Right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ationally approved statistics, no. 40201 ) and the object of analysis was 6,627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and AMOS 20.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arents’ abuse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However, parents’ abuse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bu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nsitivity to human rights. Second, neglect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lso, neglect had a negative effect on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Third, school violence did not have an impact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neither on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This is a different result from existing studies and requires additional analyses and careful interpretation. Fourth, parents’ abuse had an effect on self-esteem through the medium of sensitivity to human rights bu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depression. Firth, neglect had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rough the medium of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That is, neglect lowers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and raises depression. Also, neglect turned out to raise self-esteem through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Sixth, neglect affected self-esteem through the medium of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long with the experience of neglect, sensitivity to human rights goes down, but through the variable of sensitivity to human rights, self-esteem goes up. Seventh, school violenc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rough the medium of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irst, this study found out the integrated and caus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abuse and neglect, school violence of peer groups, self-esteem and depression,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nd contributed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concrete intervention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that have been negl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abuse and neglect, school viol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helpe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diversified the discussions o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ird, by finding that parents’ abuse and neglect have a direct influence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effective and practical intervention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urth, this study viewed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s the basic intervention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suggested creation of environment based on human rights, in school, home and overall society. In other word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integrated the perspective of mainstreaming of human rights and derived significance in social welfare. Key words: abuse, neglect, school violence, self-esteem, depression,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선행연구 고찰 5 A. 아동인권침해 5 1. 학대 8 2. 방임 11 3. 학교폭력 13 B.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 16 C. 심리적 안녕감 19 1. 자아존중감 19 2. 우울 20 D. 선행연구고찰 21 1. 인권침해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21 2.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 24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모형과 가설 26 B. 연구대상 28 C. 주요변수 28 1. 심리적 안녕감(종속변수) 28 2. 인권침해경험(독립변수) 29 3.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매개변수) 30 D. 자료분석방법 3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3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33 1. 인구통계학적 특성 33 2. 주요 변인 수준 34 3.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35 B. 확인적 요인분석 36 C. 구조모형 검증 42 D. 구조모형 분석 44 E. 매개모형 분석 47 Ⅴ. 결론 49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49 B. 실천적 함의 51 C. 차기 연구를 위한 과제 57 참고문헌 60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76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아동의 인권침해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hildren's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 on paychological well-being: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awareness of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dc.creator.othernameOh, Sun young-
dc.format.pageviii, 7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155-
dc.contributor.examiner어윤경-
dc.contributor.examiner조상미-
dc.contributor.examiner노충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