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이성수-
dc.creator이성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96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에 발간된 「교원신문」 학교체육 기사 분석을 통해 해당 시기 북한의 보통교육 부문 학교체육의 내용을 밝히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우선 북한에서 사회주의 교육이 초석을 다져나가던 시기인 1950년대 체육교육의 모습을 재구성한다. 이 자료를 토대로 북한 당국의 체육교육 목표인 “전면적으로 발전된 건전한 일군” 양성 과정을 밝히는 동시에 북한 학교체육의 초기 모습을 찾고자 한다. 전후 복구 시기는 북한 당국이 전쟁의 혼란을 수습하고 사회주의 체계를 잡아가던 때이다. 이 시기 북한은 교육 부문에서 보통교육에 해당하는 초·중등교육이 급격히 팽창하고, 전쟁의 발발로 유보했던 의무교육과 무상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회주의 교육의 기초를 다져나갔다. 특히 체육교육에 있어서 해당 시기는 북한 당국이 전쟁으로 인해 약화된 인민의 체력을 회복하고 증진시키는 것을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던 때이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전 인민의 체력 증진을 위한 각종 체육 활동을 권장하면서,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체육도 강화하는 노선을 추구하였다. 전후 복구 시기 북한 학교체육 연구는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고 사회주의식 개조를 해나가던 과정에서 북한 교육의 한 면을 드러내는 작업으로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북한 체육의 하위 주제로 다루어지거나, 정규 체육 교과목에만 주목해 온 기존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학교체육의 범위를 재설정하고 그 내용을 좀 더 입체적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교원신문」 1954년 2월 6일자 제 244호부터 1960년 9월 10일자 제 892호까지 기사 중 학교체육과 관련한 기사를 연구범위로 한다. 기사의 제목과 부제, 본문에 학교체육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기사를 ‘학교체육 기사’로 분류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학교체육 기사 내용을 체육사업, 교육내용, 체육교원, 인민체력검정, 체육시설로 나눌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전후 복구 시기 북한 학교체육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우선 학교체육의 형식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의 대중화·생활화라는 북한 당국의 체육정책이 학교체육 부문에도 녹아든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1950년대 후반 천리마운동의 영향으로 집단 달리기와 같은 군중체육의 성격을 더하였다. 둘째, 조선민주청년동맹(민청)과 조선소년단(소년단) 조직단체를 매개로 각종 학교체육 활동이 이루어졌다. 민청은 초급단체 회의 등을 통해 학교체육 사업을 논의하였고, 학교와 연계하여 인민체력검정과 같은 사업에 참여했다. 소년단은 민청의 지도를 받아 과외체육 활동을 실시했다. 셋째, 교원과 학생을 비롯하여 학부형과 학교 후원단체의 연계 하에 학교체육 사업을 시행하였다. 학부형의 경우 학생 지도와 같이 좀 더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었다. 학교체육의 내용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북한 당국은 교육의 목표에서부터 형식과 내용, 방법에 이르기까지 소련의 체육교육을 모델로 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현실에 맞게 일부를 수정하여 도입하였으며, 이것은 민족주의와 집단주의의 강조 등에서 드러났다. 둘째, 체육교육은 신체단련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애국주의, 민족주의, 집단주의 등 사상교양과 결합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195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혁명전통에 대한 교양을 강화하였다. 셋째, 학교체육을 포함하여 오늘날 북한 체육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국방체육과 민족체육을 보급하고 장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북한 당국은 학생이 어린 시절부터 군대식 문화에 익숙해지도록 하였으며, 각종 민족경기를 통해 “조선민족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교육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교원신문」 학교체육 기사 분석을 통해, 북한 당국이 ‘전면적으로 발전된 건전한 일군’ 양성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도록 학교체육을 구성하여 운영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흐름은 마침내 북한의 교육 이념과 원칙으로 이어졌다. 다시 말해 전후 복구 시기는 북한 당국이 북한식 학교체육의 토대를 만들어가던 과도기적 시기였으며 이 시기의 특징이 이후 체육교육에서도 나타난다고 분석하였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e section of general education in North Korea by analyzing the articles in the education-specialized newspaper, Kyo-won Shinmun, during post-war rehabilitation period. This study reconstructs the aspec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of the 1950s in which socialist education strengthened its basis in North Korea. Based on this material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ultivating ‘fully developed communist’ which was the objective of physical education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to examine the initial aspec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established as ‘the thesis of the education of socialism.’ During post-war rehabilitation perio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disentangled the chaos after the war and built the socialism system. The primary·secondary education corresponding to general education was rapidly expanded in the section of education, and compulsory education that had been delayed due to the outbreak of war and free education was executed,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socialist education. In particular, recovering and improving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people which had been weakened owing to the war w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issue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u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ncouraged various physical activities to enhance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entire people, seeking to reinforce school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The investigations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North Korea during post-war rehabilitation period suggest a dimension of education in North Korea during the process of socialist reform and damage restoration after the war.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th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the regula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s or covered school physical education as a sub-category of physical education in North Korea by redefining the rang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constructing its contents in more detail. The research target is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Kyo-won Shinmun from No. 244 (dated February 6, 1954) to No. 892 (dated September 10, 1960). The newspaper articles with school physical education contents in their headlines, subtitles, and bodies were classified as ‘school physical education articles’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conten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rticles in North Korea could be categorized as physical education project, physical education contents,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people’s physical strength test,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North Korea during post-war rehabilitation perio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policies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 make physical education become popular and common were extended to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tion. The feature of public physical education such as mass running were added due to the influences of Chollima movement in the late 1950s. Second, a variety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mediated by the organizations of the Democratic Youth League and the Young Pioneer Corps. The Democratic Youth League discussed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jects through elementary group committee and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such as the people’s physical strength test in tandem with schools. Young Pioneer Corps execute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under the guidance of the Democratic Youth League. Third, teachers, students, school parents, school sponsors were linked to perform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jects. More active engagements including student guidance were required for school par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Firs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followed the model of the physical education of the Soviet Union from the objectives, forms, contents to the methods of the education. However, some parts were revised and adapted to the North Korean circumstances, which led to the emphasis on nationalism and collectivism. Second, the physical education was utilized not only for physical training, but also for ideological education such as patriotism, nationalism, collectivism. In particular, the education for revolutionary tradition wa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he late 1950s. Third, the national defense physical education and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regarded as the recent nature of the North Korean physical education was promoted. By doing s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made students accustom themselves to military culture from early childhood, educating them ‘to have self-confidence as Chosun people.’ To conclud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nstructed and managed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attain the goal of fostering ‘fully developed communist’ by analyzing the newspaper articles in Kyo-won Shinmun. It was identified that such trend eventually resulted in the ideology and principle of education in North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선행연구 검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5 B. 분석대상 및 연구방법 8 1. 분석대상의 특징 9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1 Ⅱ. 사회주의 교육과 학교체육 17 A. 사회주의 교육과 학교체육 17 1. 사회주의 교육 일반이론 17 2. 소련의 학교체육 20 B. 북한 학교체육의 형성과 변화 23 1. 북한의 교육 정책 23 2. 북한의 학교체육 정책 25 Ⅲ. 북한의 학교체육 기사 보도 추이 및 내용 분석 29 A. 학교체육 기사 보도 추이 29 B. 학교체육 기사 내용 분석 34 1. 체육사업 37 2. 교육내용 47 3. 체육교원 68 4. 인민체력검정 70 5. 체육시설 74 Ⅳ. 전후 복구 시기 북한 학교체육의 특징 77 A. 학교체육의 형식적 특징 77 1. 체육의 대중화생활화와 학교체육 77 2. 조직단체를 통한 학교체육 활동 81 3. 학생-교원-학부형-후원단체의 연계 85 B. 학교체육의 내용적 특징 88 1. 소련 체육교육의 도입과 응용 88 2. 체육교육과 사상교양의 결합 93 3. 국방체육민족체육의 보급 및 장려 97 Ⅴ. 결론 : 북한식 학교체육 형성 과도기로서 전후 복구 시기 101 참고문헌 106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91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학교체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원신문」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hysical education of primary·secondary school-
dc.creator.othernameLee, Sungsoo-
dc.format.pagevi, 114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153-
dc.contributor.examiner김석향-
dc.contributor.examiner전미영-
dc.contributor.examiner조동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