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윤설아-
dc.creator윤설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0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009-
dc.description.abstract북한 당국은 1955년 결성한 조총련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대상 정책을 구체적으로 시행하고 재일조선인 사회에 그 영향력을 확대했다. 재일조선인 사회를 통하여 북한 당국은 대외에 체제를 선전하고 대내 발전을 위한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재일조선인 사회에 세대교체가 거듭되면서 북한 당국의 영향력은 약해졌다. 세대교체로 등장한 새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조국 인식이나 민족의식이 희박했고, 조총련 조직과 재일조선인 사회를 이탈하는 정도가 심해졌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북한 당국은 새 세대를 포섭하여 재일조선인 사회가 담당하던 역할을 다음 세대가 이어가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세대교체 상황마다 재일조선인 새 세대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 정책의 변화를 주었다. 특히 세대교체가 반복될수록 북한 당국은 새 세대 대상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재일조선인 새 세대 연구는 주로 새 세대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실상을 파악하는 사례가 많았다. 북한 당국의 새 세대 정책 연구는 재일조선인 정책의 부분이나 재일조선인 새 세대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 다루어졌다. 앞서 밝힌 것과 같이 북한 당국은 조총련 결성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새 세대 대상 정책의 중요도를 높여왔다. 이 논문에서는 조총련 결성 이후부터 60년 기간 동안 북한 당국이 추진해 온 재일조선인 새 세대 정책을 분석하고 변화를 밝혀 보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1955-2014년 기간으로 총 60년이다. 이 기간을 재일조선인 새 세대 집단의 구성원이 변한 것을 기준으로 세 시기로 나누어서 연구를 진행했다. 각 시기별로 북한 당국이 재일조선인 세대교체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새 세대 정책에 어떤 변화를 시도했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북한 당국이 재일조선인 새 세대 집단에 기대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추측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로 조총련 중앙위원회 전체대회 사업보고문을 활용한다. 조총련 중앙위원회 전체대회는 1955년 조총련 결성대회를 시작으로 2014년까지 총 23차에 걸쳐 열렸다. 조총련 중앙위원회는 조총련의 활동방침과 사업을 계획하는 역할을 한다. 북한 당국의 지도를 따르는 단체라는 조총련 조직의 성격으로 미루어 보아 전체대회 사업보고문은 북한 당국의 재일조선인 정책이 드러나는 공식 문헌임을 알 수 있다. 1955년부터 2014년까지 총 60년의 기간을 중앙위원회 전체대회에서 세대교체 상황을 언급하고, 새 세대 구성원이 다음 세대로 변했음을 강조하는 1974년과 1995년 전체대회를 기준으로 하여 세 시기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시기에 다수를 차지하는 재일조선인 새 세대의 특징에 따라 시기별 이름을 붙였다. 1955-1973년 기간을 ‘조국 지향적 새 세대’시기, 1974-1994년 기간을 ‘정주 지향적 새 세대’시기, 1995-2014년 기간을 ‘재일 지향적 새 세대’시기라고 부른다. 1955-1973년 기간 재일조선인 새 세대는 1·2세대인데, 이들은 조국 지향적인 특징을 보인다. 북한 당국은 한반도 체제 경쟁 상황에서 일본 사회에서 해방과 한반도 분단을 경험한 이들에게 진정한 조국은 북한이라고 선전하고 애국주의를 강조했다. 또한 북한 당국은 재일조선인 새 세대를 대상으로 사업하기 위하여 새 세대 관련 산하 단체를 조직하고 사업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하여 북한 당국은 재일조선인 사회를 조총련 조직에 포섭하여 지지 세력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1974-1994년 기간 재일조선인 새 세대는 2·3세대이다. 이들은 일본 사회에 정주하고자 했고, 이를 위에 일본으로 귀화하거나 동화하기를 지향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새 세대의 조총련 조직 및 재일조선인 커뮤니티 이탈이 발생했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북한 당국은 새 세대 집단 내에 조국 인식과 민족의식이 약해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애국애족의 기치를 내세웠다. 한편 이 시기에는 재일조선인 새 세대 집단에 상공인과 일본학교 재학생이 증가하면서 구성원의 계층이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재일조선인 새 세대 정책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고, 각 계층의 구성원에 맞추어 정책을 실시했다. 재일조선인 새 세대 대상 산하 단체와 조총련 새 세대 활동가가 각 계층의 전문지식을 쌓고 새 세대에게 접근하도록 지도했다. 1995-2014년 기간 재일조선인 새 세대는 3·4세대이다. 이들은 재일 지향적 특징을 보인다. 재일 지향적인 새 세대는 재일조선인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민족문화에 관심을 갖는다. 한편 일본 사회에 동화하기보다 재일조선인으로서 정체성을 지키면서 공생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조총련 조직 및 재일조선인 커뮤니티의 약화 현상은 그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 시기에 들어 더욱 강해졌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재일조선인 새 세대에게 체제 정통성을 선전하며 애국주의를 강조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재일조선인 새 세대에게 애족의 기치를 먼저 내세워 민족문화를 가르치고 민족성을 회복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 재일조선인 새 세대를 대상으로 애국주의 교양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북한 당국은 애족은 마침내 애국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하며 새 세대에게 애족애국을 강조했다. 재일조선인 새 세대와 조총련 조직 및 재일조선인 커뮤니티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하여 새 세대 대상 정책을 다양하게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시기가 지날수록 북한 당국은 재일조선인 새 세대 대상 정책을 더욱 강조하고 변화를 주었음을 확인했다. 각 시기별 새 세대 정책의 강조점은 애국주의, 애국애족, 애족애국으로 변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 재일조선인 새 세대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변하지 않았다. 북한 당국은 이들이 조총련 조직의 애국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어나갈 것을 기대했다. 이를 통해 북한 당국은 재일조선인 사회에게 얻었던 체제 선전과 경제적 지원 효과를 유지하고자 하였다.;North Korean authorities embodied and implemented its policies on Koreans in Japan led by Chongryon(a federation of Koreans in Japan) founded in 1955, and spread its influence within the society. Through the society of Koreans in Japan, North Korea propagated its system, which led to financial support for its domestic development. However, as generations of the society has passed, the influence of NK authorities grew weak. As the result of the generation change, the new generation had weaker sense of homeland and weaker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made more and more people to stay out of the society and of Chongryon. To account this, North Korean authorities tried to win the new generation to its side and induce them to take over what the previous Korean society in Japan had been doing. North Korean authorities, when facing generation changes, apprehended new generations and changed its policies accordingly. Especially, NK authorities reinforces policies for new generations as generation changes go on. A study on New Generations of Koreans in Japan has been mainly conducted by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new generations. Studies on new generations by NK authorities were dealt with as a part of the Koreans in Japan policies or as an element of identity of the new generation. As stated above, NK authoritie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new generation policies since the foundation of Chongryon. However, there has been no advanced study focused only on this subject.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ies that NK authorities implemented over 60-year time frame after the foundation of Chongryon, and clarifies how it has changed. This study ranges for 60 years, from 1955 to 2014. This timeframe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as the study analyzes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members of the new generation. Each phase is analyzed how it tried bring changes. Based on these analysis, this study aim to surmise how the NK authorities expect the new generations of Koreans in Japan. This study avails itself of the business report of the congress of Chongryon as a major material. this congress started in 1955 at first time and has held the 23rd congress until 2014. The Chongryon central committee play its role in planning Chongryon’s activity policy and its business. Provided that Chongryon works under the commands of NK authorities, The Chongryon central committee congress report published by Chosonsinbo(the official newspaper of Chongryon) is regarded as a formal document that reflects NK’s policies on Koreans in Japan. This 60 year’s timeframe - from 1955 to 2014 -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marked by 1974 and 1995, which were the years that emphasizes that the existing generations have passed and the new generations have come. Each phase was named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s of Koreans in Japan; 1955-1973 was named as ‘homeland-oriented new generation phase,’ 1974-1994 ‘settlement-oriented new generation phase,’ and 1995-2014 ‘Koreans in Japan-oriented new generation’. The homeland-oriented new generation consists of 1·2 generation, who shows orientation toward their mother country. NK authorities, during the system competition, propagated and emphasized to Koreans in Japan who experienced liberation and separation in Japanese society that their true homeland is North Korea. NK authorities also organized subordinate unit and established business foundation in order to conduct business for the new generations of Koreans in Japan, through which the authorities tried to expand support group by winning the society of Koreans in Japan into the side of Chongryon organization. The settlement-oriented new generation consists of 2·3 generation, who tried to settle in Japanese society and for this end they were naturalized as Japanese and tried to fit themselves in the society. This had led a massive breakaway from Chongryon and the community of Koreans in Japan. With the situation, NK authorities pointed out that the new generation is having weakening consciousness of their homeland and nationalit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ir devotion to their country. Meanwhile, this phase experienced diverse social classes within the community as the new generations had increased number of businessmen and students in Japanese educational institutes. So the NK authorities expanded the range of the target of the new generation policy and implemented the plans according to the classes of the members. They also had the subordinate organization and Chongryon new generation activists study about all the social classes of Koreans in Japan before they approach them. The Koreans in Japan-oriented new generation consists of 3·4 generation. They are interested in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s in Japan and the culture of the people. They seek to find the way to coexist in Japanese society as Koreans in Japan rather than try to fit in Japanese society. This phase experienced weakening of Chongryon organization and the community of Koreans in Japan ever increased than before. As a result, it became harder for NK authorities to emphasize patriotism by propagating legitimacy of NK system to Koreans in Japan. Therefore, the authorities sought to teach them national culture by first setting forth the importance of loving their country and tried to restore their nat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this did not mean they have given up on propaganda of patriotism to Koreans in Japan. NK authorities asserted that loving their country ultimately leads to patriotism, emphasizing loving their homeland and devotion to the country to the new generation. They also tried different policies for the new generations in order to build ties among new generations of Koreans in Japan, Chongryon, and Korean community in Japan. This study confirmed that NK authorities put more and more emphasis on policies for the new generations of Koreans in Japan and amended them over the course of time. Emphasis of each phase has changed from patriotism to patriotism before loving their people, and to patriotism as the result of loving their people. However, the roles that NK authorities have expected Koreans in Japan stayed the same; they expected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patriotic movement of Chongryon organization continuously, through which the authorities wanted to propagate their system and maintain financial support that they had with Korean community in Jap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4 C.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7 1. 연구자료 7 2. 연구방법 11 D. 시기구분 14 Ⅱ. 재일조선인 사회 형성 21 A. 재일조선인 사회 형성의 역사적 배경 21 B. 재일조선인의 법적 지위 변화 23 C. 재일조선인 단체 결성 26 Ⅲ. 재일조선인 새 세대 특징 37 A. 조국 지향적 새 세대: 1955-1973 37 B. 정주 지향적 새 세대: 1974-1994 39 C. 재일 지향적 새 세대: 1995-2014 43 Ⅳ. 북한의 재일조선인 새 세대 정책 50 A. 조국 지향적 새 세대 대상 정책: 1955-1973 50 1. 애국주의 강조 52 2. 재일조선인 새 세대 대상 사업 기반 마련 61 B. 정주 지향적 새 세대 대상 정책: 1974-1994 65 1. 애국애족 강조 68 2. 재일조선인 새 세대 정책 대상 외연 확장 82 C. 재일 지향적 새 세대 대상 정책: 1995-2014 87 1. 애족애국 강조 89 2. 재일조선인 새 세대 대상 정책 다양화 103 Ⅴ. 결론: 애국자 육성을 위한 재일조선인 새 세대 정책 109 참고문헌 113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08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북한의 재일조선인 새 세대 정책 변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New Generations of Koreans in Japan-
dc.creator.othernameYoon, Seola-
dc.format.pagevii, 121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152-
dc.contributor.examiner김석향-
dc.contributor.examiner조동호-
dc.contributor.examiner전미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