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3 Download: 0

초기 성인기 여성의 애착 차원이 이성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기 성인기 여성의 애착 차원이 이성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전현덕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여성의 애착 차원(애착 회피 및 애착 불안), 정서표현 양가성이 그들의 이성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초기 성인기 여성 255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Korean-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K-AEQ), 결혼 만족도 척도(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MSI)를 이성 관계에 적합한 내용으로 수정 및 명칭 변경해 만든 이성 관계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주요변인 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성인애착 차원(애착 회피 및 애착 불안)이 이성 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이 매개변인의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Sobel의 test를 차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먼저, 성인애착의 두 차원(애착 회피 및 애착 불안)이 이성 관계 만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애착의 두 차원(애착 회피 및 애착 불안)이 정서표현 양가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정서표현 양가성과 이성 관계 만족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성인애착의 두 차원(애착 회피 및 애착 불안) 즉, 애착 회피와 이성 관계 만족 및 애착 불안과 이성 관계 만족 간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차례로 실시한 결과, 애착 회피와 이성 관계 만족 간 관계 및 애착 불안과 이성 관계 만족 간 관계 모두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개입에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서 논의하였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dimensions(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early adulthood females. The participants were 255 females in Seoul and Kyung-ki.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adult attch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by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both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ly,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showed tha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wo attachment dimension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