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호-
dc.contributor.author노은지-
dc.creator노은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9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912-
dc.description.abstract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쉬워지면서 가치 있는 정보가 되기 위한 데이터의 재배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헬스케어 서비스는 모바일이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개인의 활동량,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어떻게 보여 줄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정보 시각화에 따르면 같은 데이터라고 할지라도 어떤 형식으로 보여주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고 하였다. 헬스케어 데이터는 사람들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만큼 왜곡이나 오류 없이 정보 수용자에게 전달되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계측 할 수 있게 되었고, 계측한 수치데이터를 시각화하는데 필요한 가이드를 제안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가이드를 제안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명확한 정보디자인을 위한 원칙을 정리하고, 지속적인 헬스케어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동기부여 요소를 바탕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시각화 기준을 정립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모바일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시각화의 문제점을 발굴하고, 서비스를 구성하는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자동생성데이터, 생체측정데이터, 큐레이션데이터, 정보 및 지식데이터의 4가지로 유형화하고 특성을 정리하였다. 시각화 가이드를 제안하기 위해 앞서 정리한 자동생성데이터, 생체측정데이터, 큐레이션데이터, 정보 및 지식데이터를 현재값, 누적값, 처방값, 정보 및 지식데이터로 분석하고, 각 데이터들의 특성에 따라 시각화 방향을 설정하였다. 현재 값은 실제수치를 입력하는 것이 좋으며, 누적값은 데이터간의 관계, 비교, 분포를 시각화해야 한다. 처방값은 사용자의 동기부여에 관여하는 값으로 현재값이나 누적값과 비교되어 시각화 되어야 한다. 헬스케어에서 정보 및 지식데이터는 정보의 특성을 반영하여 시각화되어야 한다. 시각화 방향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시각화를 제안하기 위해 현재값, 계측값, 상대값, 관계데이터, 예상값의 다섯 가지 데이터를 모바일 헬스케어의 지속적인 사용에 필요한 값으로 설정하고, 헬스케어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준인 명확성, 변수비교, 간결성, 연관도, 신뢰성, 자결성, 맥락성을 적용하여 구체적으로 시각화를 제안하였다. 헬스케어 서비스의 목적은 사용자가 건강한 삶을 영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의 목표는 경향이나 현상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수치데이터 시각화와는 달리 사용자로 하여금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시각화가 필요하다. 최근 헬스케어 서비스의 범위가 운동에서 의료로 확장되면서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를 활용하여 의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헬스케어 서비스가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자의 삶에 개입하게 되었을 때 사용자 입장에서 필요한 시각화 가이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As collecting data and information has become easier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a study on data rearrangement for valuable information is now needed. Healthcare service helps users’ health management by collecting anindividual user’s activity and biometric data from mobile devices and by providing them to the user. As a result, it has become necessary to perform a research on how to show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information visualization, the same data can have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how they are represented. Healthcare data must be delivered to information acceptors without errors or distortion as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people’s health. With the expansion of healthcare service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is study could measure various data from users and was started to provide a necessary guideline for the visualization of measured numerical data. To propose a guideline, this study organized rules for clear information desig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stablished the standard of mobile healthcare visualization based on motivation elements to use healthcare service continuously. The study figured out the problems of data visualization on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extracted the data of service to divide them into four categories-automatic creation data, biometric data, curation data, and information and knowledge data-and organized their characteristics. Before proposing a visualization guideline, the study analyzed the values extracted from automatic creation data, biometric data, curation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data by present value, accumulation value, prescription value, information and knowledge data. After, it set the visualiz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ata. An actual numerical value should be inputted for the present value, while the relationship, comparison, and distribution of data must be visualized for the accumulation value. The prescription value must be visualized by being compared to the present value or accumulation value, as it is a value concerned with a user’s motivation. In healthcare, information and knowledge must be visualiz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To propose a specific visualization by applying the visualization direction, 5 types of data including present value, measured value, relative value, relation data, and prediction value were set as the value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Visualization was proposed concretely by applying clarity, variable comparison, brevity, relation, reliability, independence, and contextuality, which are the criteria for vitalizing the healthcare service. Since the purpose of healthcare service is to enable users live a healthy life, healthcare needs visualization that can motivate users unlike the general visualization of numerical data that shows a tendency or phenomenon. As the range of healthcare service is expanding from exercise to medical scienc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ttempt to provide a medical service by using mobile healthcare service.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 visualization guideline that is necessary from users’ perspective when the healthcare serviceis involved more actively in user life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방법 및 범위 3 C.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5 A. 정보 시각화 5 1. 데이터와 정보의 이해 5 2. 정보의 구분 6 3. 정보 시각화의 개념 8 B. 데이터 종류와 시각화 11 1. 수치데이터 유형 11 2. 수치데이터 시각화와 목적 15 Ⅲ. 모바일 헬스케어 현황 16 A. 모바일 헬스케어 16 1.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 현황 16 2. 모바일 헬스케어 유형 21 B. 모바일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필요성 25 Ⅳ. 모바일 헬스케어 사례분석 27 A. 모바일 헬스케어와 데이터 27 1. 모바일 헬스케어와 데이터 수집 27 2.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구성요소 28 B. 모바일 헬스케어 시각화 30 1. 모바일 헬스케어 주요 데이터 30 2. 모바일 헬스케어 시각화 현황 및 문제점 32 Ⅴ. 모바일 헬스케어 시각화 가이드 38 A. 데이터 시각화 기준 38 B. 데이터에 따른 시각화 방향 41 C. 모바일 헬스케어 시각화 제안 45 VI. 결론 51 참고문헌 54 부록1. 사례조사 57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887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roposing a Guideline for Healthcare Service Visualization : focusing on th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dc.creator.othernameRoh, Eun Ji-
dc.format.pagevi, 6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008-
dc.contributor.examiner류한영-
dc.contributor.examiner여운승-
dc.contributor.examiner박승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