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71 Download: 0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 연구

Title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unctional priority of smart home service for single-person household : focusing on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Authors
임세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ctional priority to increase probability to be adopted by single-person household by designating single-person household as potential early adopter of smart home service. Smart home service is not provided without purchasing expensive smart home appliances due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diffusion of smart devices. Smart home service of which purpose is to relieve household work and give convenience is spread slowly for its value. Especially in case of local market related to smart home, it is stagnated in introduction stage. This study applied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by Rogers(1995)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theory, it was fou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ervice to bring out positive adoption response upon the adoption. Probability of adoption is increased when need for potential adopter matches value for the new service. That is why single-person household who has no other family member who can take care of household is chosen as potential early adopter. The study has applied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by Rogers(1995) which predictable response of adoption about new service in the acceptability study of which purpose is to get accepted easily. The study is proceed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ly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by Rogers was reviewed and factors to greatly influence on rate of adoption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the study. Referring to preceding study, three factors-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and complexity-were chosen. Among these, complexity which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rate of adoption is replaced by simplicity and set to has positive relationship. Secondly suitable target was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tudy in single-person household and voluntary single-person household among young adults in urban area was selected as the target. Also representative attributes for those selected targets through preceding study were sorted out and measur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were recomposed based upon preceding study. This is to find out the attributes of the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Thirdly concept and status of smart home service were reviewed. Analysis was made based upon representative cases in smart home services to be measur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Measuring questionnaire were made where factors for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were applied. After that, questionnaire for single-person household was proceeded and responses with lower reliability were removed and remaining 62 responses were analyzed. Suggestion alone for the whole single-person household cannot be enough ground to suggest priority. So differences coming from demographic attributes and attributes of each single-person household were analyzed from various angle so that grounds for functional priority a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mote control function and security monitoring func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functions in domestic smart home service had lower points than expected which says any special values are not perceived with these functions.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smart alert function was found to be most valuable func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 over the representative functions. Functions such as user sharing and scene setting didn’t get high point in any category and excluded. Except these excluded functions, other 9 functions have the following priorities. [Smart alerts -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 Automated on·off timer - Home condition monito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 grouping - Security monitoring - remote control - Scheduling, Setting rules (additional function)] These functional priorities obtained from these studies will play a role as fundamental data to provide valuable service to single-person household and have a meaning as a starting point to increase rate of adoption for smart home service. It can be said to be limitation in this study that ground for other priority couldn’t be found through procedure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from multi-person household. In the future it will be required that studies to complement this and on interface where these functions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priorities are effectively realized.addition to this, if opportunity for test use in single-person household is provided so that new meaning to this new service can be given, possibility to play a role as early adopter will be even more increased.;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의 잠재적 초기 수용자로서 1인 가구를 선정하여, 1인 가구의 채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적 우선순위를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스마트 홈 서비스는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현재 큰 비용을 들여 스마트 가전을 갖추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가사의 부담을 덜어 편리함을 주는 목적을 가진 스마트 홈 서비스는 그 가치에 비해 확산이 매우 더디며, 특히 국내 스마트 홈 관련 시장의 경우 도입기에 정체되어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로저스(Rogers, 1995/2005)의 혁신 확산 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론을 살펴본 결과, 채택과 동시에 긍정적 수용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잠재적 수용자의 니즈가 새로운 서비스의 가치와 부합할 때 채택의 가능성이 커지므로, 자신이 아니면 따로 가정을 관리할 가족 구성원이 없는 1인 가구를 스마트 홈 서비스의 잠재적 초기 수용자로 선정하였다. 이에 채택률을 설명함과 동시에, 채택되기 쉽도록 하는 목적을 지닌 채택 가능성(acceptability) 연구에서 새로운 서비스의 수용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로 역할 하는 Rogers의 인지된 혁신 특성을 적용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먼저 로저스(Rogers, 1995/2005)의 혁신 확산이론을 살펴본 후 채택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려 본 연구에 적용했다. 그 요소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 이렇게 총 세 가지 요소로 선정하였다. 이 중 채택률과 부(-)의 관계에 있는 복잡성은 단순성으로 대체하여 정(+)의 관계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 1인 가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그 대상은 도시지역의 청년층 자발적 1인 가구로 선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선정된 대상에 대한 대표적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그 특징에 따른 측정 문항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의 설문 응답자가 지닌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세 번째로 스마트 홈 서비스의 개념 및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측정될 스마트 홈 서비스 기능들을 선정하여, 인지된 혁신 특성 요소를 적용한 측정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1인 가구에 설문을 진행하여 신뢰가 떨어지는 응답 등을 제거하고 총 62개의 응답을 두고 분석하였다. 1인 가구 전체에 대한 시사점만으로는 우선순위를 제안하기에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없으므로, 인구학적 특성 및 1인 가구가 지닌 특징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기능 우선순위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국내 스마트 홈 서비스에서 대표적인 기능으로 내세우는 원격 제어 기능과 보안 모니터링 기능이 예상보다 낮은 점수를 띄고 있어, 해당 기능에 대해 별다른 가치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 기능을 제치고, 스마트 알람 기능이 오히려 1인가구에게 가장 가치 있는 기능으로 역할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외, 사용자 공유 기능과 장면 설정기능의 경우 어떤 항목에서도 높은 결과값을 찾을 수 없었기에 제외되었다. 이렇게 제외된 두 기능 외의 9가지 기능은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구성된다. [스마트 알람 -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 자동 온·오프 타이머 - 내부컨디션 모니터링 - 그룹제어 - 보안 카메라 모니터링 - 원격제어 - 스케줄링/규칙설정] 이상의 연구 과정을 거쳐 구성된 기능 우선순위는 1인 가구에게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이며, 스마트 홈 서비스의 채택률을 높이는 출발점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한편, 다인 가구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또 다른 우선순위의 근거를 찾아보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겠다. 향 후 이를 보완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구성된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하여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1인 가구에 시험 사용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스마트 홈 서비스의 초기 수용자로서 역할 하게 될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