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제영-
dc.contributor.author정예화-
dc.creator정예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6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622-
dc.description.abstractAcademic achievement has significanc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cademic achievement is not only used as basis to understand students' current learning level, but also utilized as a criteria to assess students' learning potential. In recent years, since academic achievement is used to evaluate educational accountability,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 of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is needed. Much research about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In terms of analysis target, most of the research analyzed one or two levels of school students. In order to help improve meet the student'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et up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academic achievement, most of the research was to define the average of multiple subjects’score or one subject’score to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each subject,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subject-specific influencing factors in order to provide concrete help to the students. In terms of classification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each study was using a variety of criteria. Becaus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re student level factors, systematic analysis of student level factor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level of school. Academic achievement is defined by the average grade of the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scores combined, Korean score, mathematics score and English scor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re analyzed by 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chool life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hree sides, this study looks for way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 policy.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r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s ‘GEPS(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data and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are 2,899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3,319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3,522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tical methods are utilized to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onal factors, education aspirations of students have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elf-study tim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nglish score of elementary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omework time and private tutoring time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playtime with friends has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from the family factors, multicultural famil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Korean sco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with both par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scor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nd educational expectations of par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from the school life factor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has a positive impact on Korean sco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scrimination experienced has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o increase the level of education aspirations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for career explo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cultivate the habit of self-study and fost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ability to manage time to adjust the time for playing with friends. Fourth, there is a need for care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ifth, at the school level it is required to support single-parent families so that parents can have an interest in their child's academic achievement. Sixth,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tudents from experiencing discrimination in the school.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limits in choosing a variable from the limited questions due to utilizing existing data. Second, because this study analyzes the longitudinal data by using cross-sectional analysis,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to analyze the longitudinal data by using panel analysis. Third, because this study takes advantage of the student-level survey, which did not reflect the impact of school level, there are limitations.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udent-level survey and school-level survey b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Fourth, this study set as a target becaus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e findings to students across the country. Follow-up studies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ill be able to more clearly reveal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우리나라에서 학업성취도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학업성취도는 학생들의 현재 학습 수준을 파악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잠재력을 파악하는 척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학교 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학업성취도가 활용되고 있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분석 대상의 측면에서 대부분의 연구는 하나 혹은 두 개의 학교급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정책적으로 학생의 상황에 맞는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모두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변수로 설정한 학업성취도는 하나의 과목이나 여러 과목의 평균을 학업성취도로 정의하고 있었다. 하지만 각 과목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목별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비교할 필요가 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류 측면에서는 연구마다 다양한 분류 기준을 사용하고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생 수준의 변수들이기 때문에, 학생 수준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학교급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업성취도는 국어·수학·영어 과목의 평균 점수와 함께 국어, 수학, 영어 과목별 성적으로 보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생 수준의 변수 중에서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생활요인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세 가지 측면에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899명, 중학교 2학년 학생 3,319명,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522명이고, 분석방법은 t 검정과 F 검정,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 중에서 학생의 교육포부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은 초등학생의 영어성적,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제시간과 학원과외시간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친구들과 노는 시간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요인 중에서 다문화가정은 초등학생의 국어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친과 동거하는 것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중학생의 수학 성적,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부모의 교육적 기대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학교생활요인 중에서 교사와의 관계는 초등학생의 국어 성적,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경험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길러 나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친구들과 노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간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움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부모가 자녀의 학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부모 가정에 대한 학교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생들이 학교 현장에서 차별을 경험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변수를 제한된 문항들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종단연구 자료를 횡단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패널분석 등을 활용한 종단적 분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수준의 설문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학교수준의 영향력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수준의 설문을 포함하여 위계적 선형 모형(HLM) 등을 활용한 다차원적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경기도의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전국의 학생들에게 일반화 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한다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학업성취도 관련 선행연구 5 B.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 C.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 D.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Ⅲ. 연구방법 27 A. 연구 대상 27 B. 연구 모형 및 측정 변인 29 C. 분석방법 36 Ⅳ. 초중고등학생 학업성취도의 영향 요인 분석 40 A.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0 B.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3 C.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5 D. 학교급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비교 78 Ⅴ. 요약 및 결론 80 A. 요약 80 B. 결론 82 참고문헌 86 ABSTRACT 93 감사의 말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51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dc.creator.othernameJeong, Yehwa-
dc.format.pageviii, 97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650-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contributor.examiner김성기-
dc.contributor.examiner박주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