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최유정-
dc.creator최유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88-
dc.description.abstractMultimodal literacy is steadily gaining accepta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carry these academic discussion into effect in education field, structura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one,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 on understanding how students show the aspects of reading when they actually faced with the multimodal text should be undertaken as well. In particular, a set of standard is required to a teacher who practices the education in school, as to estimate the ability of students and to make assessment and feedback on how they comprehended the multimodal text. This study agrees on the necessity to research at this part, thus aims to observe the aspects of rea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ltimodal text reading.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is structured as follows. The Chapter Ⅱ falls under the category of theoretical basis for multimodal text reading eduction. The verse A begins from social semiotic which is the basis of multimodal theory, then consider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ext. Since multimodal text consists of several modes that have a variety of senses, it requires the ability to use the modes and construct the meaning in coherent manner. In this context, the verse B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multimodal text reading and the role of multimodal text reader. The Chapter Ⅲ elaborates the experimental design for observing the facet on how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s the meaning of multimodal text. Put concretely, it determines the grounds of selecting the object of study. In addition, this chapter deals wit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ool that were used in deducting result of the experiment. Subsequently, it also covers a procedure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s well as the procedure for selection, design, and analysis of the text that were used in experiment. The Chapter Ⅳ,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in foregoing chapter, analyze the aspects of utilizing strategie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read the multimodal text. With the practical use of arrangement, these students comprehended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multimodal text. Moreover, when reading the letters, students recognized the mode of expression of letters in terms of multimodal theory. They used this recogni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corresponding contents. Students' ability to figure out the relations among the modes were differed by the relations between letters and pictures. When they read the text related with the modes other than letters, they understood more precisely. Capacity for understanding and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particularly plays a key role in the process of learning new concepts through texts. This chapter interpret the four kinds of reading asp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each. The Chapter Ⅴ attaches the significance to this research, and discusses the limit of this study, proceeding from the method of study. In fac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is issue mainl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relevant with respect to the reading education of multimodal text, because this article targe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collecting and analyzing positive research data.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suggested the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multimodal text reading,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over as readers. For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it is needed to expand sample to more varied grades of students, and to further research dealing with the other types that are not used in this study. [Keywords] reading education, multimodal literacy, multimodal text, coherent meaning construction, eye-tracking, middle school student reader, reading aspect, reading education contents.;국어교육에서 복합양식 문식성에 대한 수용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학계에서의 이론적 논의들을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는 작업과 동시에 실제 학생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대면했을 때 어떠한 읽기 양상을 보이는 지 파악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현장에서 교육을 실행하는 교사가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는 학생의 능력을 가늠하여 학생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해석한 내용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적절히 피드백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지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공감하여 중학생 독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조화되었다. Ⅱ장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을 위한 이론적 전제에 해당한다. A절에서는 복합양식 이론이 뿌리를 두고 있는 사회기호학에서 출발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여러 양식들이 의미를 나누어 지니고 있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은 양식들을 활용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응집적으로 구성하는 능력을 요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B절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비선조적인 형태를 보이는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특성과 그에 대한 독자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중학생의 복합양식 텍스트 의미 구성 양상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 설계에 대해 자세히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연구 대상에 대한 선정의 근거를 밝히고 실험 결과 도출을 위해 활용한 연구 도구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검증 과정을 다루었다. 이어서 자료 수집과 분석의 절차와 더불어 실험 텍스트의 선정 및 설계 과정과 분석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선 장에서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중학생들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에서 보인 전략 활용의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학생들은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배치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의미 구조를 파악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를 효율적인 텍스트 내용 이해에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문자 텍스트에 대해서도 복합양식의 관점에서 문자 텍스트가 표현되는 방식인 진하기, 크기, 색상 등을 인식하고 이를 해당 내용의 중요도 판정에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양식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은 문자와 그림이 맺는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문자 뿐 아니라 문자 외의 양식과 관계지어 텍스트를 읽는 경우 내용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텍스트에 여러 양식으로 표상된 정보들을 이해하고 종합하는 능력은 텍스트를 통해 새로운 개념에 대해 학습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이러한 4가지 읽기 양상을 해석하여 각각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에 대해 살피고 연구 방법에서 비롯되는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논의가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던 것과는 달리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중학생 이상의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을 대상으로 표본을 확장하고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텍스트 유형을 활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읽기 교육, 복합양식 문식성, 복합양식 텍스트, 응집적 의미 구성, 시선추적 기법, 중학생 독자, 읽기 양상, 읽기 교육 내용-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3 1. 읽기 교육 대상 텍스트 확장에 관한 논의 4 2.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에 관한 논의 5 3.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에 관한 논의 7 Ⅱ.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이론적 전제 10 A. 복합양식 텍스트의 기본 개념 및 특성 10 1. 양식의 개념 및 특성 10 2. 복합양식 텍스트의 개념 및 특성 13 B.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성격 16 1. 비선조적 읽기 경로 16 2. 복합양식성과 응집적 의미 구성 19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31 A. 연구 대상 및 연구 도구 31 1. 연구 대상 31 2. 연구 도구 33 B. 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37 1. 자료 수집 절차 37 2. 자료 분석 절차 40 C. 실험 텍스트의 선정 및 분석 41 1. 실험 텍스트의 선정 41 2. 실험 텍스트의 분석 44 Ⅳ. 중학생 독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및 교육 내용 51 A. 양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양상 51 1. 텍스트 구조 파악에서의 배치의 활용 51 2. 문자의 복합양식성 인식 및 활용 54 B. 양식 간 응집적 의미 구성 양상 57 1. 문자-그림 관계 유형에 따른 읽기 양상 57 2. 양식을 활용한 응집적 의미 구성 67 C.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인식 72 D.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 74 Ⅴ. 결론 84 참고문헌 88 부록1. 실험 텍스트 96 부록2. 사전 설문지 98 부록3. 활동지 101 부록4. 인터뷰 질문지 107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83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학생 독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및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 Reader's Multimodal Text Reading Aspects and Education-
dc.format.pagevi, 111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