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REN YUTONG-
dc.creatorREN YUTONG-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8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 more efficient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reading with academic purpose for Chinese learners who study Korean to study undergraduate or graduate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mplete their successful academic goal. In chapter Ⅰ, as an introduction, I showed the objectivenes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lso, reviewed the pre-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In chapter Ⅱ, as a theoretical basis, I examined the theories about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nd study skills for academic situation as well. Also, to grasp the development status of Korean reading textbook, I analyzed 4 reading textbook and 3 reading-writing textbook which compiled and publish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of korean universities in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 In chapter Ⅲ, as a needs analysis,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Chinese learners to find out their needs for the academic situation, an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survey was taken by 92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Ewha Womans University and other 14 korean universities, 46 of them are undergraduate students and others are graduate students. And this survey was used to analyse their basic information, satisfaction in academic performance, needs of academic accomplishment and reading ability. And I carried on the analysis and statistics to the valid questionnaires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9.0 program. In terms of the concrete statistical method, I mainly used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xt. In chapter Ⅳ, I presented goal of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based on the result of needs analysis to set up the standard for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 and show specific examples qualify for this. In addition, derived the principle of content composition in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material for academic purpose and also present an example of unit composition in order to be helpful to compose a teaching material for Chinese academic purpose leaners. In chapter Ⅴ, I summarized this study and the continued study o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for Chinese korean leaners is necessary. Key words: Korean reading for academic purpose, Korean teaching material, Chinese learners, needs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 reading skills, study skills;이 논문은 한국 대학 혹은 대학원에 진학할 목적으로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의 학업 수행에 대한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반을 두고 한국어 교육의 내용 구성 원리를 마련한 후 단원 구성 체제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설명하였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최근,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한·중 양국 간 경제적·문화적 교류가 활발해지는 시점에서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의사소통 목적의 한국어 교육이 특수 목적 학습자의 실제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 및 특성, 학문적 상황에서 요구된 학업 기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재 개발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 대학교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에서 편찬하고 출간된 4권의 학문 목적 읽기 교재와 3권의 읽기·쓰기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크게 외적 구성과 내적 구성의 면에서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학문적 상황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실제 요구를 알아내기 위하여 설문지를 도구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이화여자대학교를 비롯한 총 15개 대학교에서 수학 중인 중국 국적의 학부생과 대학원생 각각 46명으로 선정되었다. 조사 내용은 응답자의 기본 정보, 자신의 학업 수행에 대한 만족도, 학업 수행 능력에 대한 요구, 학문적 읽기 능력에 대한 요구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유효 설문지를 코딩하고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를 실시하였다. 통계 방법에 있어서는 각 문항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빈도 분석, 응답자의 소속 학업 과정과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른 차이를 알아내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의 이론적 검토와 Ⅲ장에서의 학습자 요구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학문 목적 읽기 교재 내용 선정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 구성의 원리는 학문용 도구적 지식 제시의 원리, 실제성의 원리, 수준별 차별화의 원리이다. 먼저 학문용 도구적 지식 제시의 원리는 전공 진입 전 단계에서 한국 내 대학 혹은 대학원 과정의 예비 학습자에게 학업을 수행하는 데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초적·도구적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실제성의 원리는 크게 두 차원으로 나눠 볼 수 있다. 먼저, 실제 읽기 상황에서는 읽기 기술이 독립적인 하위 단위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읽기 기술 및 학습 상황에 필요한 학업 기술들을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전공별 학문 목적 읽기 상황에 적합한 실제적인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준별 차별화의 원리는 학업 과정에서의 학업 수행 양식의 차이와 학습자의 수준을 같이 고려하여 공통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서로 차별화된 특성적인 요구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필요한 교육 내용, 학업 단계와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실제 교재로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어하는 학문 목적 읽기 교재의 설계안을 제시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단원 구성 체제 모형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한국어 교재, 중국인 학습자, 요구분석, 설문조사, 읽기 기술, 학업 기술-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의 대상 및 방법 8 II. 이론적 배경 10 A.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 10 1.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의 개념 10 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학업 기술 16 B.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재 22 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 22 2. 한국어 읽기 교재의 유형과 특징 26 III.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의 읽기 요구 조사 분석 54 A. 연구 설계 및 내용 54 1. 조사 도구 및 내용 54 2. 조사 대상 및 절차 56 B. 조사 결과 분석 59 1. 대상자 기본 자료 분석 59 2. 학업 수행에 대한 만족도 61 3. 학업 수행 능력에 대한 요구 64 4. 학문적 읽기 능력에 대한 요구 77 IV.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의 개발 방향 89 A. 학문 목적 읽기교재 내용 선정 89 1. 교육 내용 선정의 원리 89 2. 교육 내용의 상세화 92 B. 학문 목적 읽기 교재 개발의 실제 108 1. 학문 목적 읽기 교재의 설계 108 2. 단원 구성 체제의 모형 112 V. 결론 117 참고문헌 119 부록 125 Abstract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63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Development of Korean Reading Teaching Material for Academic Purpose : Focused on Chinese Learners-
dc.format.pagevii, 143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423-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