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JIAN ZITING-
dc.creatorJIAN ZITING-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0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한·중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양국 국어과 교과서의 제재 수록, 단원 목표 및 학습활동 양상 등을 비교 분석하고, 양국 국가 단위 평가인 대학수학능력시험 기출 고전시가 문항과의 상관관계 분석 양상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여 효율적인 고전시가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중 양국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검토하여 양국 국어과 교과서 현황과 고전시가 작품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외국어 학습자들이 외국 문학 작품을 공부할 때 익숙한 자국의 문학작품과 비교하여 공부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교 문학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한중 고전시가를 소개하는 것은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의욕을 향상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 방법론의 측면에서 봤을 때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여겨진다. Ⅱ장에서는 고전시가 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했다.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내용을 살펴보면 많은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현대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요구가 반영된 것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한·중 양국은 비슷한 교육 이념을 가지고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국어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사용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창의성, 사고력과 창의적으로 국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한·중 양국의 교육 사상 차이와 사회 형태 차이로 인해 교과서의 제재 선정, 단원 목표, 학습활동의 양상 등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점들이 보인다. 예를 들어서 한국 문학 교과서는 본문의 주석이 글의 양쪽에 있으며 중국 어문 교과서의 분석이 시가 작품의 밑에 있다. 양국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살펴보면 더 많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 문학 교과서 학습활동에는 첫 번째가 내용 정리가 많고 중국의 일번에는 주로 낭독, 암송이나 토론이다. 특히 낭독과 암송이 압도적으로 많다. 즉 중국은 시를 구술을 통해 학습하게 하고 있고, 반면 한국은 내용 정리를 통해 쓰는 방식으로 학습하게 하고 있다. 또한 나머지 학습활동에는 한국은 거의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이 많고 중국은 시구 번역과 시구의 수사 방법, 작품의 주제와 작가의 사상 감정을 질문하는 것이 더 많다. Ⅲ장은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고전시가 수록 양상 분석이다. 한국 2009개정 국어교과서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작품을 살펴보면 조선시대 작품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 시조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이 수록되었다. 중국 경우에는 당나라, 송나라 때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고, 특히 근체시(절구와 율시)와 송사 작품이 많이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한·중 양국 국가단위 평가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나왔던 고전시가 출제 양상, 문항 현황, 문제 유형, 주요 내용 등을 비교한 결과 중국과 한국 국가단위 평가의 고전시가에는 많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문제 유형 상에 한국에는 다 객관식이고, 중국에는 거의 대부분 주관식 문제이다. 또한 문제 내용에는 중국 시험 문제는 더 다양하게 하고 암송, 시구 빈 간을 채우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 한국은 고전시가의 내용에 대한 이해, 그리고 지정 내용의 해설이 적절하지 안 적절하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양국 고전시가 국가단위 평가의 장점을 파악하여 상호 작용하면 의미가 있는 바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양국 고등학교 국어과 고전시가에 관한 교육과정, 교과서, 국가단위 평가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고전시가 교육의 현황, 방향, 장점을 제시하여 향후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가 교육이 한 단계 발전하는 데 작지만 의미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주요어〕 한·중 고전시가 교육, 교육과정 분석,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고전시가 수록 양상, 고전시가 국가단위 평가;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themes of textbooks of native language according to Education Program, Unit targe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bout the test questions of classical poetry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nd then trying to explore the more effective education methods of classical poetry.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 Program, textbooks and the collection situation of classical poetry in both Korea and China,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foreign literary works and native ones when the students learn the foreign literature helping them with the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 foreign literary works.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both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may arouse the interest and the desire to study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is a meaningful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methodology. Chapter two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ducation of classical poetry. There exist many similaritie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two countries both emphasize the talent cultivation in modern society. Specifically speaking, they both focus on the abilities of the native language of the students including the applying ability, expressive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omprehensive ability which is because of the similar education idea.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differences on the themes of textbooks, unit targets and learning activities between two countries which are due to the different educational thought and social ideology. For example, the annotations of the texts in Korean literary textbooks are on both sides of the texts but the Chinese ones are beneath the texts. There are more differences on the learning activities between two countries. For example,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literary textbooks, the first question is always about the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poetry but in Chinese ones, there is always the reading, reciting and discussion of the poetry. Among them, the reading and reciting are account for the most. It follows that Chinese students learn the poetry by oral practice but Korean students by summarizing the content in the way of writing. In addition, Korean textbooks are aimed at helping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works and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works. However, Chinese textbooks tend to examine the translation, figures of speech, themes and the authors’ thoughts. Chapter three is to analyze the collec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both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of high school. The works of Korean Age are collected the most in the textbooks named Korean and Literature. It should be noted that most of them belong to Korean verse. However, Tang and Song poetry are collected the most in Chinese textbooks, especially modern poetry and Song poetry. Chapter four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test questions of classical poetry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cluding the situation, types, and contents of the test questions. It is found that there exist many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For example, all the test questions in Korea are objective choices items but subjective items in China. As for the contents of the test questions, there are various forms in China, such as filling in the sentences of the poetry and the translation of the poetry. However, Korean textbooks focus on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literary works, and estimating if the explanation of the content is correct.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advantages of educa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both countries could mutually promote and develop together which is a meaningful work.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 Program, textbooks and the test questions of classical poetry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high school of both Korea and China, trying to explore the situation, direction and advantages of classical poetry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may provide an inspiration for the further researches on the educa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Korea and Chi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4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1 Ⅱ.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관 16 1.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16 1) 한국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16 2) 중국 고등학교 어문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21 3) 한중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비교 24 2.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현황 비교. 25 1) 한중 국어과 교과서 현황 비교 25 2)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구성 비교 25 3) 한국 고등학교 국어과 문학 교과서 고전시가 현황 39 4) 중국 고등학교 어문 교과서 고전시가 현황 43 Ⅲ.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고전시가 수록 양상 비교 54 1. 한국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고전시가 수록 양상 54 1) 창작 시대별 수록 양상 54 2) 양식별 수록 양상 55 2. 중국 고등학교 어문 교과서 고전시가 수록 양상 57 1) 창작 시대별 수록 양상 57 2) 양식별 수록 양상 60 3.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고전시가 수록 양상 비교 61 Ⅳ. 한중 고등학교 국가단위 평가의 고전시가 비교 63 1. 한국 고등학교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전시가 문항 분석 63 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전시가 문항의 유형 64 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전시가 문항의 주요 내용 65 2. 중국 고등학교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전시가 문항 분석 66 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전시가 문항의 유형 67 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전시가 문항의 주요 내용 69 3. 한중 고등학교 수능시험의 고전시가 문항 비교 70 Ⅴ. 결론 72 참고문헌 74 부록1. 중국 고급중학 어문 필수 교과서 고전시가단원 단원목표, 본문, 학습활동 78 부록2. 중국교육부(2003), 고중어문과정표준 102 ABSTRACT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703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중 고전시가 교육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Research on Classical Poetry in Korea and China-
dc.format.pagevi, 137 p.-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