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정유진-
dc.creator정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69-
dc.description.abstract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have influenced the way how people interact with each other. Wide adoption of technology for learning has introduced new pedagogical strategies utilizing social media to enhance participatory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ttitude, subjective norm,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with Social Network Service. Recent studies that use social network service as a way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reported that the group who used social network service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Fouser, 2010; Shin & Chon, 2013). So we need to examine that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SNS.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SNS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attitude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using SNS? 2. Do SNS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satisfaction have effects on intention to use SN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SNS class from E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NS system quality and attitude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using SNS. However service quality had not significantly effects on satisfaction. Second, SNS system quality,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to use SNS, but service quality had not significantly effects on intention to use. Based on the result,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d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are 286 students in E university. Further research needs to apply this research to other different university or organization. Second, We found that a utilizing way of SNS depends on type of SNS. So follow-up research need to select one particular SNS and examin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현대 사회에서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교육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온라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방식이 교육에 도입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며 관계형성과 상호작용을 강조한 새로운 학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SNS의 특징이 학습자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지식을 생산하는 협력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해준다. SNS를 활용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들은 SNS를 이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학업성과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Fouser, 2010; 신진, 전은화, 2013), 이는 특히 스스로의 참여와 협력을 요구하는 협력학습의 경우 원거리에서 이러한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SNS의 활용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협력학습을 수행할 때 SNS사용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시스템성공모형과 합리적 행위이론을 통합하여 협력과제 수행 시 SNS만족도 및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SNS만족도와 사용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보시스템성공 모형의 시스템품질과 서비스품질을, 합리적 행위이론의 태도와 주관적 규범을 각각 만족도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태도, 주관적 규범, 만족도 및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NS의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과 태도는 학습자들의 협력학습 수행을 위한SNS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SNS의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태도, 주관적 규범 및 만족도는 학습자들의 협력학습 수행을 위한 SNS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E 대학교에서 SNS를 이용하여 협력과제를 실시하는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28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삼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부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먼저 설정된 측정모형 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한 후 구조모형의 부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연구결과 및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학습에 사용한 SNS의 시스템품질과 태도는 학습자들의 SNS사용에 대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NS의 서비스품질은 학습자들의 SNS사용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협력학습에 사용한 SNS의 시스템품질, 태도, 주관적 규범 및 만족도는 SNS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품질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SNS사용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등 시스템품질을 향상시켜야 하며, 교수자도 SNS에 가입하여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해야 한다. 또한 동료학습자가 협력학습에 SNS를 사용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은 경험을 소개한다면 주관적 규범을 통해 사용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는 연구대상의 폭을 넓혀 다른 대학교나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설문조사와 간단한 FGI(표적집단면적법)를 통해 알아본 결과 SNS의 종류에 따라 각각 용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구체적인 SNS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실시해 볼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SNS를 이용한 협력학습 8 B. 정보시스템성공모형 11 1.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의 개념 11 2. 정보시스템성공모형 관련 연구 14 C. 합리적 행위이론 18 1. 합리적 행위이론의 개념 18 2. 합리적 행위이론 관련 연구 20 D. 관련 선행연구 23 1. 만족도와 영향변인간의 관계 23 2. 사용의도와 영향변인간의 관계 28 E. 연구 가설 및 모형 설정 34 Ⅲ. 연구방법 36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36 B. 측정도구 37 C. 자료 분석 방법 41 Ⅳ. 연구결과 42 A. 측정변수 간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42 B. 측정모형의 검증 44 C. 구조모형의 검증 47 D. 수정모형의 검증 50 Ⅴ. 결론 및 제언 54 A. 결론 및 논의 54 B.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8 참고문헌 60 부록1. 설문지 69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5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학생의 협력과제에서 SNS활용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의도의 영향 변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for collaborative learning-
dc.creator.othernameJung, You Jin-
dc.format.pagevi, 72 p.-
dc.contributor.examiner임규연-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contributor.examiner주영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