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난숙-
dc.contributor.author박재은-
dc.creator박재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7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mong self-identity,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family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and examine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self-identity,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family social capital depending on the gender.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elf-identity and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was also examin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assist with the positive formation of self-identity in adolescents by providing a reference material for developing the upcoming 2015 Home Economics textbook and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s. Data used for analysis was from the 3rd panel for 7th grade student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2. The data areas chosen for analysis were self-identity,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and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0) statistical program. Demographic analysis was present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including self-identity,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and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Self-identity,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family social capital based on gender were examined with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significa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based on gender was examin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impac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on self-identity and modera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if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had a moderating effect or not.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results of the average of self-identity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are as follows: The average was slightly higher for self-identity,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The average was lower for misconduct experienc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Second, the analysis outcome of the correlation among self-identity,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and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are as follows: There w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identity and victimiz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identity and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Third, results for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depending on gender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in misconduct, victimization, and parents’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classification ('no experience', 'misconduct experi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both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depending on gender were that ‘no experience’ was the highest for both males and fema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with males having a higher number in 'misconduct experi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both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than females. Fourt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on self-identity, control variables (gender, parents’ education level, annual income, and peer attachment), independent variables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and moderating variables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were inputted in stages for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or control variables, gender,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eer attac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identity; Misconduct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self-identity and victimization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influence on self-identity; Both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self-identity. Fifth,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misconduct and victimization) and self-identity are as follows: Interaction between misconduct/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misconduct/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and victimization/awareness of their child’s friends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self-identity;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self-identity. Therefore, it signif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 and self-identity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which means that the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elf-identity of the adolescents who were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Although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i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who were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It is necessary to deeply find the reason why parents’ affectionate attention lowered the self-identity of students who were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Through parents’ honest affectionate attention, negative effect on the self-identity must be restor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on developing self-identity in Home Economics classes need to be developed,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 가족 내 사회자본의 기술적 통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 가족 내 사회자본이 다른 지 살펴보았으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기 자신에게 나타나는 변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아정체감 발달 과업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여 가정교과 수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2015 기술·가정 교과서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청소년기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에서 중1패널 3차년도(2012)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선택한 자료는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을 대변할 수 있는 비행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 가족 내 사회자본을 대변할 수 있는 부모의 관심애정 및 부모의 친구인지 등에 대한 설문 내용이었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2.0 version이었으며, 인구통계학적 분석은 빈도 및 백분율과 평균 및 표준편차로 제시하였고 중요 변수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 계수를 사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 가족 내 사회자본의 검정은 독립 t검정을 통해 살펴보았고,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에 대한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 가족 내 사회자본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는 평균보다 다소 높았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행피해, 부모의 관심애정, 부모의 친구인지가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이 낮을수록 비행 피해경험이 높아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부모의 관심애정과 부모의 친구인지가 높아지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비행가해와 피해의 관계에서도 비행 가해경험이 높을수록 비행 피해경험도 높아지고,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도 부모의 관심애정이 높을수록 부모의 친구인지도 높아지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에 대한 t-검정 결과, 비행가해, 비행피해, 부모의 친구인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경험 유형(경험없음, 가해경험, 피해경험, 가해 및 피해경험)에 따른 카이제곱 검정 결과, 남녀모두 경험 없음이 가장 높았고, 비행 가해, 피해, 가해 및 피해경험에서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더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통제변수(성별, 부모의 최종학력, 연간소득, 또래애착), 독립변수(비행가해 및 피해), 조절변수(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를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 모친의 최종학력,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유의미하였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가해는 정적 관계로, 비행피해는 부적 관계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으며, 가족 내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도 모두 정적 관계로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관심애정,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 비행피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행피해와 부모의 관심애정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부(-)의 상호작용 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비행피해와 자아정체감간의 관계가 부모의 관심애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하며, 부모의 관심애정은 비행피해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부(-)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부모의 관심과 애정이 높은 학생들이 비행피해를 받게 되면, 비행피해에 의해서 하락되는 자아정체감보다 더 큰 폭으로 자아정체감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으로 해석 할 수도 있고, 비행피해를 경험한 학생들이 부모로부터 받는 관심애정이 자아정체감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은 형태의 관심애정일 수도 있을 것이라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가족 내 사회자본의 부모의 관심애정은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주지만 학교폭력의 피해를 경험한 학생들에게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므로 비행 피해를 경험한 학생들에게 부모의 관심과 애정이 자아정체감을 낮추는 이유를 찾아볼 필요가 있으며 올바른 부모의 관심애정을 통해서 부정적 자아정체감을 회복시키고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을 도울 수 있는 구분된 교육 프로그램과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자아정체감 7 B. 학교폭력 11 1. 학교폭력의 개념 11 2. 학교폭력의 실태 12 C. 가족 내 사회자본 15 D. 선행연구 고찰 18 1.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18 2. 학교폭력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21 3. 가족 내 사회자본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24 Ⅲ. 연구방법 27 A. 분석대상과 자료수집 27 B. 측정도구 30 1. 자아정체감 30 2. 학교폭력 경험 31 3. 가족 내 사회자본 32 C. 자료 분석 34 IV. 연구결과 36 A.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적 통계 36 B.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 가족 내 사회자본의 상관관계 분석 37 C. 성별에 따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 가족 내 사회자본 38 D.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40 E. 자아정체감에 대한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44 V. 결론 및 제언 49 A.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49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3 참고문헌 54 부록1.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청소년용 설문지 63 부록1.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보호자용 설문지 67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02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elf-identity of adolesc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mily social capital-
dc.creator.othernamePark, Jae Eun-
dc.format.pagevi, 7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622-
dc.contributor.examiner채정현-
dc.contributor.examiner유태명-
dc.contributor.examiner유난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