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8 Download: 0

협력학습에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력학습에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on outcom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uthors
고경이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These days the society has been demanding that higher education should shift away from the instructor-centered education towar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o meet the social need, the higher education has paid attention to collaborative learning. However, it is not enough simply applying the methods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a real class to guaranteed the effects of it (Cohen, 1994). The possibility of the learning process led by instructors cannot be ruled out. Also, active interactions could not be guaranteed (Dillengourg, 199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on how the learning processes create the successful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In literature reviews, interactions have been emphasized as learning processes. However, not only interactions but also personal internalization should be entailed to create and construct the meaningful collaborative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the main variables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Biggs’s 3P model and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in depth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offering some suggestions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 achievement motivation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fluence on deep approach to learn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2. Do achievement motivation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fluence on peer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3. Do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4. Do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influence on personal performa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To verify them, 154 students enrolled ‘Sharing Leadership’ in A university completed surveys and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motivation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fluenced on deep approach to learning. Second, achievement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fluenced on peer interaction. Third,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influenced on team performance. Last,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peer interaction influenced on pers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strategies. The institutional strategy and learning culture which encourage students to experience some achievements should be built in class. Also, instructional design should be considered the components of quality of teaching. And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evaluate levels of learning activities focusing on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to introduce how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collaboration. In sum,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which it showed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collaborative learning by employing 3P model. Also, it presented some practical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would be further expected to become fundamental materials on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For further study, the proposed model may be tested in different context. It would be interesting to study different variables or employ other study methods.;사회는 대학교육이 교수자 중심의 방식에서 학습자 중심의 방식으로 전환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대학은 협력학습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 수업환경에서 단순히 협력이라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만으로는 협력학습의 효과를 보장하지 못한다(Cohen, 1994). 교수자 주도에 의해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원활한 상호작용을 보증하지 않을 수 있다(Dillenbourg, 1999). 따라서 협력학습 성공을 위해 학습과정이 어떻게 학습성과에 연결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학습과정에서 상호작용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나 유의미한 협력적 지식을 구성하고 창출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뿐 아니라 개인의 내면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학습의 수업방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Biggs(2003)의 3P 모형을 토대로 협력학습의 주요 변인을 상정하고 이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협력학습에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은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협력학습에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협력학습에서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협력학습에서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개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A대학교 '나눔리더십' 수강생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와 교수학습 질이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취동기와 교수학습 질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층적 학습접근방식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팀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심층적 학습접근방식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개인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성공을 널리 경험할 수 있는 교수전략 및 학습문화를 조성하고 교수학습 질의 요소를 고려한 교수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학습과정에서 심층적 학습에 초점을 두어 학습활동의 수준을 평가하고 효과적인 소통방법을 소개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3P모형을 활용하여 협력학습에 대한 통합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후속연구로 다양한 연구환경에서 모형을 반복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변인을 추가하거나 연구방법에 변화를 준다면 흥미로운 연구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