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경-
dc.contributor.author차민경-
dc.creator차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0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01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관심중심수용모형(CBAM: 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 수준 및 실행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현 상태를 진단하고, 이 세 가지 측면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발전적 실행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1-1. 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어떠한가? 1-2. 교사들의 개인변인(담당학년, 교직 경력,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관심도에 차이가 있는가? 2. 초등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실행 수준 및 실행 형태는 어떠한가? 2-1. 교사들의 실행 수준은 어떠한가? 2-2.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각 구성요소별 실행 형태는 어떠한가? 2-3. 교사들의 개인변인(담당학년, 교직 경력,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실행 수준 및 실행 형태에 차이가 있는가? 3.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 실행 수준 및 실행 형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 형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교사들의 실행 수준과 실행 형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우선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문헌연구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토대로 관심중심수용모형(CBAM: 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편의 표집 된 서울시내 16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23명에게 배포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16부의 연구 자료가 수집되었다. 먼저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는 ‘관심도 설문지 채점표’에 따라 상대적 강도로 환산하고 프로파일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실행 수준 및 실행 형태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관심도, 실행 수준 및 실행 형태별 교사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차분석(χ2 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χ2 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해 전체 교사 집단이 가지고 있는 관심은 ‘지각적 관심’으로 이는 비실행자의 프로파일과 유사하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들의 관심 단계 프로파일에서 나타난 대안적 단계의 꼬리 올리기(tailing-up of Stage 6)현상은 스토리텔링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잠재적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가 0단계인 지각적 관심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4단계인 결과적 관심과 5단계인 협동적 관심에는 낮은 반응을 보였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담당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교직경력과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의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문제 2인 초등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실행 수준과 실행 형태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실행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계적 실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갱신의 단계는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초등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실행 형태는 이상적인 실행 형태와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실행 형태의 각 구성요소를 교육의 편성, 운영, 평가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편성’과 ‘운영’의 구성요소는 대부분 수용할만한 실행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는 수용할 수 없는 실행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실행 수준은 담당학년과 스토리텔링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영향을 받지만, 교직경력에 있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 형태를 각 구성요소별로 살펴본 결과, 초등 교사의 개인변인 중 실행 형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변인은 스토리텔링 관련 연수경험 유무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문제 3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은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라 실행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 형태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의 편성과 운영의 구성요소 대부분은 관심도에 따라 실행 형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실행 수준에 따라 실행 형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대체적으로 교사들의 실행 수준이 높아질수록 이상적인 실행 형태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는 아직 실행 초기 단계에 있으며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이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 교사들이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발전적 실행을 위해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의 현 상황을 제고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을 현장에 맞게 재정비하고, 교사들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의 세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교사들에게 필요한 적절한 지원전략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nd analyze the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s and the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of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mong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And then the researcher derives support strategies for the education by empirically examining at which levels and how actual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nd also how they adopt it. In addition, the researcher l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seeking proper supporting strategies for helping elementary teachers implement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nd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teaching activities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concern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 1. How much concerns is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1-1. How much concerns is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on the whole? 1-2. How much concerns is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individually? 1-3. How much difference concerns is shown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grad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training programs? 2. What is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of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by the elementary teachers like? 2-1. How high or low is the level of use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2-2. What is innovation configurations in the each component in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like? 2-3. How much difference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is shown in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grad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training program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s of concerns,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th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3-1.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3-2.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3-3.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 In order to examine stages of concern,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this study randomly chose 323 elementary teachers located in Seoul as of 2015 as subjects. As for research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through dividing them by teachers’ grad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training programs. 316 returned questionnaires in total of 326 distributed ones were used for research material and analyzed by SPSS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χ²-test, One-way ANOVA, with the .05 significance level and the concerns profile. The abstract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following summary : 1.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tages of concern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we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overall teacher group’s degree of concern for th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was Stage 0(awareness), thus showing a profil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non-users. Moreover, the phenomenon of tailing-up of Stage 6 (refocusing), as shown in the participants’profiles, may be interpreted as a sign of latent warning indicating the extent to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ist to the use of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Secondly, of the stages of concern for th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Stage 0 (awareness) attracted the highest response, and low responses were shown for Stage 4 (consequences) and Stage 5 (collaboration). Thirdly, analysis of the stages of concern expressed by the particip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background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ern the grades in charge,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years of teaching career and training experience or absence thereof. 2. The results of the study on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regarding the mathematics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were like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levels of use of th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mong the particip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 3 (mechanical use) and Level 7 (renewal) accounted for the highest and lowest proportions, respectively.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representing the level of use of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iated from an ideal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Looking at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under the three aspects of curriculum organization, management, and assessment,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spects were confirmed to be reasonably applicable, whereas the assessment aspect was not. While the levels of use of th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grades in charge, training experience and years of teaching career did not exert any significant influenc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revealed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the variable that exert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was the training experience or absence thereof. 3.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regarding the mathematics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were like the following. The level of use of th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was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the stage of concer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oncer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were revealed to show differences in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cern.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was revealed to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u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tending to draw nearer to the ideal state as the level of use increased. On the whole, the fact that the teachers do not have enough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is obvious. It has also become know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and innovation configurations shown by the elementary teachers, that they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ssential intervening strategies to the elementary teachers in orde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e of educational process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10 A. 수학교육과 스토리텔링 10 B.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32 Ⅲ. 연구 방법 56 A. 연구 대상 56 B. 연구 방법 및 절차 58 C. 연구 도구 60 D.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6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69 A.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 69 B. 초등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실행 수준 및 형태 76 C.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 실행 수준 및 실행 형태의 관계 98 Ⅴ. 결론 및 논의 113 A. 요약 및 논의 113 B. 결론 및 제언 117 참고문헌 122 부록1.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실행 형태 130 부록2. 설문지 133 부록3. 관심도 설문지 채점표 142 ABSTRACT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55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CBAM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s and the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shown by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based on CBAM-
dc.creator.othernameCha, MinKyung-
dc.format.pagevii, 147 p.-
dc.contributor.examiner최진영-
dc.contributor.examiner노선숙-
dc.contributor.examiner김민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