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2 Download: 0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중등음악교과 협동학습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Title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중등음악교과 협동학습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of Creative Thinking Methodology Applied Cooperative Middle School Music Lessons : Characters and its Significance Appear to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강영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승현
Abstract
이 연구는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중등음악교과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행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탐색하고 그 특성의 의미를 고찰하여 중등음악교과에서의 창의적 사고기법과 협동학습의 실제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8차시의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중등음악교과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2학년의 연구 참여자 13명을 섭외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다중사례연구 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자 윤리성 확보 및 예비연구와 문헌고찰에서부터 연구 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도출 및 작성까지 약 1년 소요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성별에 차이를 두고 구성한 소집단을 사례의 경계로 설정하고 소집단 A, B, C로 명명한 세 개의 사례를 탐색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연구는 먼저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중등음악교과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제작을 위해 예비연구와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2009 개정교육과정의 내용과 중학교 2학년의 음악교과활동에 적합한 창의적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1차 수업지도안 개발 후 전문가의 검토와 시뮬레이션을 거쳐 총 8차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8차시 프로그램은 두 개의 하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학교생활 캠페인 송 제작하기’와‘창의적 음악학습 구성하기’로 명칭을 선정하고‘함께 협동하기(LT)’ 와 ‘집단탐구(GI)’라는 협동학습 모형에 총 6개의 일반적 창의성 사고기법과 1개의 창의적 문제해결방법(CPS)을 적용하였다. 이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검토와 내용타당도 검증에 참여한 음악교육 전문가 집단은 음악교육을 전공한 현직 교수 2명과 초, 중, 고등학교의 음악교사로 재직중인 교사 5명이며, 이들의 조언을 수정하고 보완한 최종 수업지도안으로 연구 참여자들과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서울시 K구에 소재한 S중학교의 허락을 받아 협동학습의 특성을 살린 집단상담 음악프로그램의 형태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사회성과 학교생활에 이질적인 학생을 중심으로 섭외하였다. 섭외한 13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프로그램 적용 전 연구참여에 따른 동의와 서명을 구하였으며 학부모들에게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실행기간 동안 자료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졌고, 관찰을 위해 각 사례 별로 활동을 녹화하였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개별 심층 면담은 평균 약 40~60분으로 실행되었으며, 수집된 현장 녹화영상과 면담녹음은 전사하여 자료화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시 발생된 활동지와 평가지, 연구자의 반성저널 등도 분석자료에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Hatch(2008)가 보완한 귀납적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Bogdan과 Biklen(2011)이 제시한 자료 분석의 원칙을 따르고 Yin(2009)의 논리 모델 방법을 일부 채택하였으며, 다중 질적 사례연구로서 Glaser의 지속적 비교방법을 활용하여 사례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음악교과 협동학습에 참여한 중학교 2학년들에게서 발견된 특성은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실과 현상에서 발생하는 학습 수행의 특성이며, 이 특성을 반영한 은유적 범주의 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 4명으로 구성된 소집단 A의‘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라는 주제에는‘놀이와 학습의 그 어디쯤’,‘성장과 발견’,‘손에 손잡고’라는 하위 주제가 생성되었으며, 여학생 5명의 소집단 B는‘극복하기’라는 주제 아래‘눈치보기’,‘발견하기’,‘이해하기’라는 하위주제가 도출되었고, 남학생 2명과 여학생 2명의 소집단 C에는 ‘미완성 교향곡’이라는 주제를 따라 ‘Allegro Moderato’,‘Andante con moto’,‘미완성의 재발견’이라는 하위 주제가 나타났다. 이 주제에 내포된 특성으로는 토의나 토론을 통한 의견 도출, 새로운 아이디어의 발현과 사고의 공유, 소집단 내 역할 분담, 목표 달성 후 느끼는 동질감과 성취감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의 의미는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하는 창의성 교육과 협동학습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학술적 이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각 소집단 간 협동학습과 창의성 사고기법의 수행에서 발견되는 공통점과 차이점에서는 성별이나 소집단의 구성원 개인의 성격, 교우관계, 학교생활, 평소의 학습방법과의 차이에 따른 경험의 반영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중등음악교과의 내용을 중심으로 협동학습 모형과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중학교 2학년 대상의 학습 지도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다중 사례연구 방법으로 실행의 과정을 분석한 연구로서 연구적 가치를 지닌다. 이것은 음악교육연구자들과 창의성 교육 연구자들이 언급하는 다양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의 일환이며, 여러 음악교육 연구자들이 요구하는 음악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질적 연구의 필요성에도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 이와 같은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학습대상의 범위를 넓혀 협동학습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의 확장으로 중등음악교과에서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며, 음악교육의 현장과 실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질적 연구의 수행이 다양한 관점에서 많아지기를 기대한다.;This research is purposed to study creative thinking methodology and reality of cooperative music lesson through characters and its meanings appear to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music cooperative programs designed in this program where a creative thinking methodology is applied. There were total of eight creative thinking methodology applied cooperative music lessons with thirteen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nclusion was drawn from analysis of collected data applying multiple case methods amongst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research designs. This research took approximately eleven months from January to November in 2015 and during this period preliminary research,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conclusion were carried out.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raw a conclusion from three small groups, namely A, B and C that were divided amongst thirteen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Firstly, literature review and preliminary research were done to design a cooperative music program that a creative thinking methodology is applied. Consequently, a creative program which suits the 2009 amended curriculum and 2nd year music activity was drawn. After the first draft of a teaching guide, it was reviewed and suggestions were given by supervisors. This program is made up of two subprograms. One is composing a school life campaign song and the other one is cooperative learning model. Both programs include Learning Together (LT) and Group Investigation (GI) and six general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one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were applied in LT and GI. Superviso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were two current music professors and five current music teachers from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y reviewed the teaching guide for its validity and the finalized teaching guide was used in the research. This program was conducted as an applied collective counseling music program characterized as a cooperative learning with permission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students who were disparate in sociality and school life. Participants have signed terms and conditions for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and their parents were also informed and agreed before the case was commenced.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ook place throughout the research period and each case was recorded for observation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40-60 minutes long on average and video and audio records were documented. Activity materials, evaluations and self-reflections created from the cases were also included in materials for analysis. The logic model analysis suggested by Yin(2009), which is following principles of data analysis by Bogdan and Biklen (2011) and founded on inducted data analysis by Hatch (2009), was used in the research. Glaser’s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applied as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to comparatively analyze each case. As a result of analysis, characters appeared from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haracters and reality that arise from conducting learning programs. Topics and subtopics that metaphorically reflected these characters in the case were as follow. A topic given to group A which consisted of four male students was ‘To me you are…, To you I am…’ and three subtopics, ‘Somewhere between learning and playing’, ‘Growth and discovery’ and ‘Hand in hand’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topic. A topic, ‘To overcome’ was given to group B which consisted of five female students and three subtopics ‘Reading one’s mind’, ‘Finding one’s mind’ and ‘Understanding one’s mind’ were created accordingly. To group C which consisted of two male and two female students, a topic ‘Unfinished symphony’ was given along with three subtopics ‘Allegro Moderato’, ‘Andante con moto’ and ‘Rediscovery of unfinished’. Characters implied in the topics were expression of opinion through discussions, sharing of new ideas and thoughts, role assignment within a group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teamwork from accomplishment. Significances of its characters were found from previous studies that conducted creative educ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s. On the one hand,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characters were found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der, personality, friendship, school life and learning method. This research is valued as a study which established a teaching guide for 2nd year middle school music program applying cooperative model and creative thinking method based on current music curriculum and its data analysis throughout the research period using multiple case studies. This is an attempt to establish music education related programs that were emphasized by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creativity education researchers. It is significant in response to a music education researchers’ proposal of developing music education related programs and further necessity of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further advanced cooperative and creativity education to take place actively in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and expects further conduct of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that observes and understands current music education reality from diverse asp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