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20 Download: 0

포스트-미디어 시대 참여예술의 담론과 양상 연구

Title
포스트-미디어 시대 참여예술의 담론과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rticipatory Art Discourse and Aspects in the Post-Media Era : Focusing on N. Bourriaud’s Aesthetic Perspective
Authors
조주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동시대 미술계의 가장 주요한 범주로 떠오른 참여예술이 새로운 미디어 환경으로 확장되어 나타난 변화의 양상들을 규명하여, 오늘날 예술적 ‘참여’의 진정한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본격적으로 동시대 미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었던 ‘관계미학’을 비롯한 1990년대 이후의 참여예술 실천들이 전통적 미학의 한계에 부딪혀 어떻게 새로운 예술 생산 양식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둘러싼 여러 논쟁들이 어떠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펼쳐졌는지 고찰함으로써, 이를 종합한 변증법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참여예술 분야에서 벌어진 논쟁들은 각각의 이론가들이 서로 다른 사상적 기반을 바탕으로 상이한 접근법들을 적용함에 따라 발생된 것이다. 이로 인해, 오늘날 참여예술의 범주는 그 구분이 모호한 채, 매우 폭넓은 스펙트럼을 갖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처럼 다양한 참여예술 이론들의 혼재로 인해, 진정한 참여의 ‘의미’와 역할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으며, 특히 최근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가져온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예술 이론들이 지닌 이러한 한계와 비판점들을 극복하고자, 오늘날 컴퓨터 미디어에 의해 변화된 기술적 조건을 반영한 '포스트-미디어' 담론들을 기존의 이론적 틀에 적용하여, 참여예술이 갖는 새로운 예술적 의의를 모색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먼저,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참여예술에서 제기된 주요한 미학적 문제들과 그 논쟁적 양상들이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을 중심으로 전개된 점에 주목하여, 예술의 ‘사회적 전환’ 이후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서 참여예술의 의의와 쟁점들을 다룬다. 이러한 논쟁들의 주요 쟁점은 첫째, 관객의 역할에 의해 작품의 형태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 그 자체를 예술의 형태로 표방한 관계미학이 미학적 기준을 윤리적 기준으로 대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작품에 대해 어떠한 심미적 판단을 내릴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동시대 조화로운 ‘합의’의 공동체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참여예술 전반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전환’과 관련된 문제로, 프랑스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의 사상과 그의 정치적 예술론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며, 이후 클레어 비숍의 참여예술 비평의 근간이 된다. 둘째, 1990년대 이후 참여예술은 협업적 예술 생산의 형식에 의해 여러 명의 비-예술가들이 ‘공동 저자’로서 그 지위를 획득함으로 인해, 새로운 ‘저자성’의 개념을 둘러싸고 서로 다른 관점들에 따라 이론적 대립 구도를 형성한다. 즉, ‘단일 저자’의 서명이 의미를 상실한 오늘날의 예술실천에서 창작자란 어떠한 존재인가에 대한 것이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이러한 논쟁의 근원이 각각 서로 다른 주체성 개념에 근간함으로 인해 비롯된 것으로 본다. 즉, 부리오의 관계미학이 지닌 예술의 정치성은 가타리의 ‘생성으로서의 주체성’ 개념을 근거로 유토피아를 ‘생성’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인 반면, 비숍을 비롯한 비판론자들은 “상상 속의 이상”으로 존재하는 유토피아 개념을 그대로 인정하면서, 사회적 실효성과의 긴장 관계 속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강조점을 두는 것으로서, 이들이 전혀 다른 층위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가타리의 ‘생성으로서의 주체성’ 개념을 오늘날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가 더욱 강화된 사회적 상황과 포스트프로덕션 문화와 같은 최근의 네트워크 환경을 중심으로 가속화된 기술적 조건의 변화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사상적 패러다임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타리가 제시한 ‘윤리적-미학적 패러다임’을 받아들이면서, 관계미학에 대한 비판론이 새로운 매체 환경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기존 이론들의 한계를 극복하여 기술적으로 확장된 최근의 다양한 실천들을 포괄할 수 있는 분석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법론으로 참여예술 이론들에 ‘포스트-미디어’ 담론들을 적용시켜, 온라인 집단협업예술과 같은 대중에 의한 예술 창작 활동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인터넷 네트워크의 특성을 바탕으로 그 참여의 질적 수준과 단계들을 구분해 봄으로써 오늘날 참여의 진정한 (정치적) 의미를 도출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SNS 등을 예술의 플랫폼으로 적극 이용해 참여자들의 역할을 극대화시킨 대표적인 동시대 참여 프로젝트들인 아이웨이웨이의 <동화>와 칼라이넨 부부의 <불만 합창단>의 사례 분석을 통해 확장된 예술적 참여의 특성들을 보다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주제어 참여예술, 포스트미디어, 협업적 예술 생산, 정치적 예술, 관계미학, 니콜라 부리오, 클레어 비숍;This study aims to draw out the true meaning of artistic “participation,” shedding light on changes caused by the extension of the domain of participatory art, the most significant category in the current art scene pertaining to the new media environment. It considers how participatory art practices since the 1990s, including “relational aesthetics” that led an aesthetic paradigm shift, have developed new modes of artistic production since reach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aesthetics and what disputes pertaining to this matter have developed, thereby attempting a dialectical analysis by synthesizing all these aspects. Arguments in the field of participatory art have been aroused because theoreticians have applied different approaches based on their mutually different thoughts. With this, the category of participatory art today is ambiguous and has a wide spectrum. This thesis derives from a consciousness that the true “meaning” and role of participation has not yet been clearly investigated due to excessively diverse participatory art theories, and this category cannot reflect recent changes caused by the new media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applies discourse on “post-media” reflecting on the altered technological conditions caused by the new media, the preexisting theoretical frame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critical points of participatory art theories, thereby presenting alternatives to explore the new meaning of participatory art. This thesis first of all takes note of aesthetic issues and controversial points raised in participatory art since the 1990s, focusing primarily on Nicolas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and deals with the meaning of and issues in participatory art as a new art form after art’s “social turn.” The key issues concerning this are as follows. First, relational aesthetics that claims to represent the “process” of the form of artworks constantly changing by the role of viewers replaces aesthetic criterion with ethical criterion, consequently causing the impossibility of any esthetic judgment of artworks. This matter is associated with the “ethical turn” addressed in participatory art that aims to form a community of harmonious “consensus.” This issue was intensively addressed in French philosopher Jacques Rancière’s thought and his theory on philosophical art and was the basis for Claire Bishop’s participatory art criticism. Second, a theoretical conflict composition was formed about the concept of new “authorship” as many non-artists acquire the status of “co-authors” thanks to the form of collaborative artistic production in participatory art since the 1990s. That is, this issue concerns what a creator is in artistic practice today when a sole author’s signature has lost its meaning. In this regard, this thesis considers that the source of such arguments have derived from the fact that each theoretician was predicated upon different concepts of subjectivity. Art’s political nature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retain highlights the “production” of a utopia based on Félix Guattari’s concept of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whereas critical theoreticians like Bishop embrace the concept of utopia as the “imaginary ideal” and put emphasis on keeping a balance in the tensive relation with social pragmatism. With these notions they form completely different paradigms. Guatttari’s concept of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is thought of as a new ideological paradigm that underpins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the globalized capitalistic system has been further consolidated and the change in the technical condition that has accelerated in the recent environment of networks as in the postproduction culture. This thesis regards that critical theories on relational aesthetics have not put the new media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Accepting Guattari’s “ethico-aesthetic paradigm,” it presents an analytical frame encompassing the latest practices that are technically expande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stablished theories. It analyzes cases of activities for artistic creation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online collective collaborative art, applying discourse on “post-media” to theories on participatory art as its methodology and classifies the participation’s level of quality and stage anchored in the features of the Internet network, thereby extracting the true (political) meaning of participation. It also intends to concretize the hallmarks of expanded artistic participation through analyses of cases such as Ai Weiwei’s Fairytale and artist duo The Kalleinen's The Complaints Choir that have maximized the role of participants through an active utilization of SNS as a platform for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