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원-
dc.contributor.author김종미-
dc.creator김종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7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794-
dc.description.abstract야외조사활동(fieldwork)은 실제적인 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며, 심화된 지리 학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활동이자 하나의 탐구적인 접근법으로, 지리교육에서 오랫동안 강조되어 왔다. 특히 야외조사활동은 학생들의 탐구를 촉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개인적인 경험들을 야외조사활동을 통해 획득한 아이디어들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현재 국내 학교교육에서 운영되고 있는 야외조사활동들은 이러한 기능과 효과를 이끌어내기에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외조사활동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대안적 접근방법으로‘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inquiry-based fieldwork)’의 교육적 효과와 구체적인 특징들을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을 설계 및 운영한 후 그것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또한 그것이 개인별 혹은 모둠별 참여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을 수행하면서 학생들이 경험한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질문지, 면접, 교사의 관찰, 학생들이 작성한 야외조사활동일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특히 면접 및 관찰은 질문지를 통해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특수한 상황이나, 학생의 의견 및 감정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활용하였다. 학생들은 총 2회(서울 서촌, 이태원 우사단길)의 야외조사활동에서 개인 탐구 혹은 모둠 탐구를 선택하여 참여하였으며, 연구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교육적 효과와 그 특징들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을 수행하면서 인식한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조사하고 이와 연관된 상황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을 실제로 운영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방해요인들을 예상해보고 적절한 대안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고 평가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교과적 측면에 대한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사회화 및 개인적 성장 측면, 전이 가능한 기술 측면 순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탐구의 수행과정에서 향상될 수 있는 야외조사활동의 기술 및 탐구 방법의 습득, 독립적 탐구 수행을 위한 기초 제공, 장소·문화에 대한 이해와 공감에 대한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부분은 교사의 설명과 안내가 중심이 되는 야외조사활동에서는 습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질문의 선정부터 자료의 수집과 결과 정리 및 결론 도출에 이르는 과정을 학생이 스스로 수행해 나가는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이 지니는 특징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스스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면서 문제를 논리적으로 풀어가고 규명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해석 능력도 증대시킬 있다. 둘째, 개인 탐구 또는 모둠 탐구의 참여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개인 탐구를 선택한 학생들이 인식한 교육적 효과는 독립적인 탐구 능력이 향상되고,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능력 및 판단력, 책임감 등이 증대되었다는 응답률이 높았는데, 이는 개인 탐구가 주제 선정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결과물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생 혼자 계획하고 수행해야하는 상황과 맥락적으로 연계된다. 한편 모둠 탐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식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개인 탐구의 것과는 다른 특징을 나타냈다. 응답 결과에 따르면, 역할분배 및 조직능력의 향상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는데, 이는 구성원간 역할과 시간 등을 적절히 조직하는 것이 중요함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팀워크 및 대인관계 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의 증대 등에 대한 응답도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이는 모둠 탐구에서 협업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이를 함께 해결해나가면서 의견을 조율하고, 협력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을 수행하면서 학생들이 인식한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구 과정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개인 탐구의 경우는 야외에 나가기 전 수행하는 탐구 계획 단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학생 혼자서 연구할 주제를 탐색하고 탐구 계획을 구성하는 과정이 모둠 탐구에 참여하는 학생들에 비해 심적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는 개인 탐구 지도 시, 계획 단계에서 학생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구체적이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모둠 탐구의 경우 야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정리 및 표현·분석 및 결론·결과물 제작 단계에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모둠 탐구에서는 구성원들 간에 아이디어를 나누고 결론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관계능력, 그리고 자기조절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만약 어떠한 문제 상황을 극복해냈을 때 오히려 이전보다 팀워크가 향상되기도 한다. 또한 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 및 기술(데이터 분석 및 표현 방법 등)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배우며 다양한 자극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세 가지 결론을 통해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수행 과정상의 특징을 근거로 살펴보았다. 또한 그것이 개인 탐구와 모둠 탐구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도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을 수행하면서 단계별로 학생들이 인식한 어려움은 무엇인지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학교교육에서 실행되고 있는 야외조사활동의 모습을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일부 축소되고 왜곡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부분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고찰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사례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한 것이기에 일반화하는 것은 어려우나, 특징적인 상황이나 구체적인 학생 반응들을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직접 이를 바탕으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토대로 국내 교육현장에서 보다 실제적이고 교육적인 학생중심의 야외조사활동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Fieldwork is a method designed to lead to the enrichment of a subject. In the case of Geography, it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real world more in a hands-on way. Numerous studies indicate that it aids students in learning geographical terminology and concep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fieldwork that can be used while learning Geography, however Fieldwork activities are still teacher-led or students’ participation is limited within the country and they are cannot be carrying educational value and functions properly. Many studies explain that the learning effect appears to be higher when students become the core of the lesson and participate actively. This approach is required in activities where the students play the central role as opposed to the the teachers being in that role. In this way, students are able to process the knowledge learnt their own way. In particular, research about fieldwork offer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connect with other students who possess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and ideas well as with their own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promote student inquiry. However, the current fieldwork’s findings, which are being conducted in a domestic educational setting, conclude that fieldwork activities are currently insufficient to accurately elicit whether or not this approach is functional or practical.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se activities in order to try and solve the problem and or fully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reality and fieldwork activities. At first, inquiry-based fieldwork was designed and used in classes and then how the students felt and how they improved overall from this experience was researched. Secondly,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two different types of fieldwork: individual -based inquiries and group- based inquiries. Further research was done to see if there was a preferred way of learning and it that had any influence on the value that the student placed on fieldwork. Thirdly, research was conducted concerning the results of what students experienced and if they encountered any problems while performing fieldwork activities. This paper points to an emergingconcern in regards to effectiveness (knowledge of subjects, transferable skills and social benefits etc.) of fieldwork through practicing inquriy-based fieldwork and to the investigation into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individual-based inquiry activities and ‘grouped-based inquiry’ activities. Based upon this evidence, the current situation seems to have overcome the outdoor research issues in regards to limitations and how it is being practiced within domestic educational settings. Inquiry-based activities seem to be a practical addition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having the student play a more active role can help the realization of more fieldwork experiences to become a reality in the field of Geograph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5 C. 연구의 제한점 6 Ⅱ.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8 A. 야외조사활동의 교육적 의의 8 B.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특징과 주요 단계 9 C.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교육적 효과 19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연구도구 28 C.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수업 지도 34 D. 연구절차 40 E. 자료 분석 방법 41 Ⅳ. 연구결과 43 A. 학생들은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가 43 B. 개인 탐구 또는 모둠 탐구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한 탐구기반 야외조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51 C.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을 수행하면서 학생들이 인식한 어려움은 무엇인가 63 Ⅴ. 결론 및 제언 71 참고문헌 77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05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육적 효과와 수행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ent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inquiry-based fieldwork-
dc.creator.othernameKim, JongMi-
dc.format.pagevii, 8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574-
dc.contributor.examiner이영민-
dc.contributor.examiner강영옥-
dc.contributor.examiner성효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