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2 Download: 0

고등학교 문법 학습자의 품사 및 문장성분 혼동사례 분석을 통한 교육내용 구성 방안 연구

Title
고등학교 문법 학습자의 품사 및 문장성분 혼동사례 분석을 통한 교육내용 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plan for grammar learners in highschool through the analysis of confusion cases in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Authors
김미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learning relevance of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by analyzing the confusion cases in distinguishing the two concepts with close correlations. The objectives of grammar education are not only limited to acquire normative knowledge and to intentionally utilize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cultivate annalistic attitude and unitary thinking by recognizing language as unit structure in the process of learning grammar.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belong to the concepts of morphology and syntax respectively, which occupy the major part of word and sentence. Discriminative thinking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word classes according to specific standards such as forms, functions, meanings and structural thinking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components of sentence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istinguishing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is the process of categorizing sentence structures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 dimensions of these two concepts are word and sentence. This study focuses that many learners confuse the categories of words and sentences, although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themselves are titled as significant educational contents and these concepts allow structural analysis by concentra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In Chapter Ⅱ of this study, the special features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in terms of their functions were examined and the necessity to distinguish these two concepts was investigated. The 64 confusion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4 on-line education companies to comprehend how actual high school learners felt difficulties in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in Chapter Ⅲ. Chapter Ⅳ of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plans considering the learning relevance between words and sentence compone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fusion aspects described above. As the plans to deal with the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of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and the utilization of predicates, the plan to suggest the educational content combining the two concep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the utilization of predicates through inquiry learning were understood. By concentrating on the fact a lot of learners have difficulties confusing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to educat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and investigated the actual educational situations through the analysis on textbooks. This study has implication to closely analyze the confusion aspects by investigating the question cases of actual learners and to present the development plans for educational contents considering the learning relevance between word class and sentence component.;본 연구는 밀접한 상관성을 지닌 품사와 문장성분의 혼동 양상을 분석하여 두 개념의 학습 연관성을 고려한 교육내용 구성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법 교육의 목적은 단순히 규범적 지식을 익히고 의식적으로 우리말을 더욱 잘 부려 쓰기 위한 것에 그치지 않는다. 학습자는 문법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분석적인 태도를 기르고 언어를 구조체로 인식함으로써 단위적인 사고까지 할 수 있다. 품사와 문장성분은 각각 형태론과 통사론에 해당하는 개념이며, 단어와 문장 영역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무를 종류별로 분류하고, 숲에서 각 나무들이 어떠한 구성을 이루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처럼 품사와 문장성분의 관계를 살펴보는 과정도 이와 다르지 않다. 형태·기능·의미와 같이 특정 기준에 따라 품사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변별적 사고가 필요하고 이후 문장 차원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구조적 사고가 필요한 것이다. 즉 품사와 문장성분을 구별하는 과정은 두 개념이 단어와 문장 차원이라는 것을 인지하여 문법 구조를 범주화하는 과정이 된다. 본고는 이처럼 품사와 문장성분이 그 자체로 중요한 교육내용으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개념들이 국어의 속성에 주목하여 구조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주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습자가 단어와 문장 범주를 혼동하여 어려워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Ⅱ장에서는 품사와 문장성분이 기능 측면에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특수성을 살펴보고 두 개념을 구별해야 하는 필요성을 재고한 뒤 교육과정과 2009 개정 <독서와 문법> 교과서를 통해 품사와 문장성분의 교육실태를 분석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을 살펴보면 많은 학습자가 용언의 활용형을 혼동하는 점을 예로 들며 품사와 문장성분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명하는 것을 성취기준으로 삼았다. 하지만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 <독서와 문법Ⅰ>과 <독서와 문법Ⅱ>가 통합되면서는 품사와 문장성분의 성취기준을 각각 제시하였으며 두 개념의 연계 내용을 따로 밝히지 않았다. 여섯 종의 교과서 중 품사와 문장성분의 혼동 가능성을 언급한 교과서는 한 종에 불과하며 두 개념을 변별할 수 있는 학습활동이 온전히 구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실제 고등학교 학습자가 품사와 문장성분과 관련하여 어느 지점에서 어려움을 겪는지 살펴보기 위해 네 곳의 온라인 교육업체에서 64건의 혼동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품사와 문장성분 혼동사례 양상은 크게 본질적 앎의 양상과 구조적 앎의 양상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본질적 앎의 양상은 용어의 혼동과 개념의 혼동으로 나뉘며 개념의 혼동은 정의 혼동, 범위 혼동, 기능의 혼동으로 세분된다. 구조적 앎의 양상은 범주의 혼동과 메타지식의 불충분으로 인한 혼동으로 나뉘며 범주의 혼동은 용언의 활용형 혼동, 격조사의 결합형 혼동, 기타 혼동으로 세분된다. 가장 많은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은 유형으로는 정의를 혼동한 경우와 용언의 활용형을 혼동한 경우이며 이는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대다수의 학습자가 품사와 문장성분과 관련하여 세부적인 지식과 개념에만 집중한다는 분석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메타지식이 부족함을 역으로 추적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혼동양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품사와 문장성분의 학습연관성을 고려한 교육내용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품사와 문장성분의 정의 혼동을 처치하기 위한 방안으로 품사와 문장성분의 온전한 정의를 재기술할 것과 두 개념의 밀접한 상관성과 혼동에 유의하는 교육내용을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용언의 활용형을 혼동하는 경우 탐구학습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가설을 검증해나감으로써 품사와 문장성분이 다른 범주라는 것을 스스로 경험하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는 많은 학습자가 품사와 문장성분을 혼동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두 개념을 구별하여 교육해야 하는 필요성을 재고한 뒤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육실태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실제 학습자의 질문사례를 분석하여 혼동 양상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는 점과 이를 바탕으로 품사와 문장성분의 학습연관성을 고려한 교육내용의 구성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