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손지유-
dc.creator손지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1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1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자기소개서에 관해 고찰하고 자기소개서 쓰기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여 중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소개서 쓰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은 정규 교육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교사의 일방적인 쓰기지도 방식인 결과중심 접근법을 사용했거나, 자기소개서라는 장르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과정중심 접근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접근 방법으로는 글이 쓰이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자기소개서 쓰기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소개서의 장르적 특수성에 주목하고 그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자기소개서와 그 근본적 특성이 유사하다는 점과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에 SNS를 활용하는 방안을 선정하였다. SNS를 활용한 교수·학습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매체를 이용하여 자기표현, 타인과의 의사소통, 자아 성찰과 자아정체성 구성의 특성을 지니는 자기소개서 쓰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Ⅰ장에서는 자기소개서와 SNS를 활용한 쓰기 교육과 관련한 선행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연구물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기소개서 쓰기교육의 도구로 매체에 주목한 연구는 아주 미흡하였다. Ⅱ장에서는 사전적 정의 및 다른 연구물들의 정의를 살펴봄으로써 아직 모호한 자기소개서의 개념을 구체화시키고, 다른 글쓰기와 구별되는 자기소개서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자기소개서와 근본적인 유사성을 지니는 SNS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기소개서와 SNS의 상관관계에 대해 밝히었다. 또한 현재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자기소개서와 매체 관련 쓰기의 양상을 살펴 본 연구가 제시하는 교육 방안이 교육과정에서의 성취 요건의 맥락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자기소개서 쓰기의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고 그것을 적용한 후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안한 교수·학습 방법은 먼저 자기소개서의 장르적 특수성과 자기소개서가 갖추어야 할 내용요소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SNS를 활용하여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활동들을 통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SNS를 통한 활동은 초고를 작성하기 전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글감을 찾으며 잘된 자기소개서의 요건을 학습하고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이 후 수업내용과 활동내용을 바탕으로 자기소개서 초안을 작성한 후 SNS를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활발한 피드백을 거쳐 자기소개서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구안한 모형으로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자기소개서 쓰기 수업을 한 결과 기존의 결과중심 방법의 쓰기 지도를 통해 작성한 자기소개서 보다 자기소개서의 내용, 조직, 표현적 측면의 평가 점수에서 세 영역 모두 향상을 보였다. 또한 자기소개서 쓰기 능력뿐 아니라 쓰기 태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학습자들은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학습 환경을 통한 쓰기 능력 향상으로 인해 자신의 쓰기 능력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타인으로부터의 정서적인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구성하고,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학습 환경을 통해 활동 자체에 대한 동기부여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기소개서 쓰기에 자신감을 가지고 내용, 조직, 표현 부분에서 좀 더 완성도 높은 글을 쓰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되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writing self-introductions, which training·teaching is little discussed though its need increases in the modern society and help middle schoolers write self-introductions by presenting its training teaching methods. Existing training on writing self-introduction has either used the result-centered approach, which is a one-sided writing training given by teachers due to the practical difficulty in setting aside much time off the regular educational curricula or used the process-centered approach, which little considers the specificity of the genre called self-introduction but both methods find it hard to effectively train·learn writing self-introductions that vary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y are writeen. For this reaso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genre’s specificity and tried to present a training learning method that can keep its specificity intact and alive. In this regard, having got a hint that self-introductions and its fundamental features are similar and that it can be used unlimited by time and space, the current study selected a way to use SNS to train writing self-introductions. Training·learning using SNS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write self-introductions that contain self-expression, communication with others, introspection and self-identity. ChapterⅠ looked into self-introductions and the flow of foregoing studies on writing self-introductions using SNS, as a result of which it was found that not many studies present concrete ways to write self-introductions. Especially, few studies paid attention to social media as a means of writing self-introduction. Chapter Ⅱ concretized the still vague concepts of self-introduction by looking into the definitions made by the dictionary and other studies and looked into the features of self-introduction that differ from other writings. And then, it looked into the concept and features of SNS that have fundamentally similar to self-introduction, based upon which it revealed corelation between self-introduction and SNS. Besides, by looking into how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a present writing self-introductions and media-related writing of them, it checked if the training way presented by this study meets the context of accomplishment requirements reveal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a. Chapter Ⅲ, based on this perspective, looked into the effectiveness found after this study’s training·learning way was devised and applied. The devised training·learning method first leads leaners to gain theoretical knowledge on the genre specificity of self-introduction and the content elements that self-introductions should have, based upon which and using SNS, it helps write self-introductions through activities necessary to write self-introductions. Activities using SNS were planned with a goal to help introspect, find writing subjects, learn the requirements of well-written self-introductions and reduce learners’ burden to write before self-introductions are drafted. Later on, after self-introductions are drafted based on training and activity contents, it leads self-introductions to be completed through lively feedback among trainers and learners and among learners themselve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ised model to high school second graders for writing self-introductions showed more improvement in all the three areas; contents, organization and expression of self-introductions than in those written through the existing result-centered metho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ethod affects not only their writing skills but also their writing attitude, which indicates that learners got to have self-confidence on their writing skills thanks to their writing skills improved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here open and continuous feedback is possible. Also, the emotional feedback from others was confirmed to have motivated their activities themselv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unlimited by time and space. It’s expected that this study’s discussion will substantially help learners have confidence in writing self-introductions and write higher level of contents, organization and 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검토 3 C. 연구의 개관 및 연구방법 9 Ⅱ. 이론적 배경 11 A. 자기소개서의 개념 및 특성 11 1. 자기소개서의 개념 11 2. 자기소개서의 장르적 특성 13 B. 자기소개서 쓰기와 SNS 18 1. SNS의 개념 및 특성 18 2. 자기소개서 쓰기와 SNS의 상관관계 21 3. 실험도구로 선정한 SNS 24 C.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자기소개서 쓰기와 매체 활용 쓰기 교육 양상 28 1. 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성취 기준 28 2. 2011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Ⅰ 국어Ⅱ 화법과 작문의 성취 기준 29 3. 2015 개정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국어화법과 작문의 성취 기준 31 4. 중등 교과서에 나타난 자기소개서 쓰기와 매체 관련 교육 양상 34 Ⅲ. SNS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의 실제 38 A. 교수학습방법의 구안 38 1. SNS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교수학습 모형 38 2. SNS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교수학습지도안 45 3. SNS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학습 활동 방안 48 B. 교수학습방법의 적용 및 효과 70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70 2. 연구의 제한점 71 3. SNS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평가 72 Ⅳ. 결론 및 제언 87 참고문헌 91 부록1. SNS활동 전후자기소개서 쓰기 결과물 95 부록2. 고등학생의 자기소개서 쓰기 교수학습 실태에 관한 설문지 114 부록3. SNS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학습 후 쓰기 태도에 관한 설문지 117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83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SNS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raining how to write self-introductions using SNS-
dc.creator.othernameSohn, Jiyu-
dc.format.pagevi, 12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559-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