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백지은-
dc.creator백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1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143-
dc.description.abstract작가의 ‘감각’으로 인지되는 공간에서의 ‘경험’은 회화(繪?)에 구현 될 때 개인의 사유를 기반으로 자유로운 형상을 구성하게 되고, 이는 고유의 심상(心象)적 이미지라고 볼 수 있다. 늘 우리와 함께하는 빛은 단순히 시각적인 밝기로만 인식하기엔 너무 큰 내면적 힘을 가지고 있다. 빛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삶과 자연의 근원으로서의 물리적 속성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상징성을 내포한다. 일찍이 철학자 헤겔(Hegel, George Wilhelm Friedrich; 1770-1831)은 “눈에 보이지 않는 신적이고 정신적인 것을 표현함에 있어서 빛보다 더 적합한 것은 없다.”고 하였다. 감각의 근원으로서의 정신적 속성까지 갖추어, 우리가 빛을 바라봄에 있어서 무한한 사유의 확장을 열어줄 수 있다. 이러한 속성을 바탕으로 빛은 문학, 철학, 종교, 예술을 막론하고 중요한 소재로 많은 영감을 주어왔다. 본인 또한 빛과 만나 이루어진 심상(心象)표현을, ‘샹들리에(chandelier)’의 빛의 공간에서 느꼈던 주관적 감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샹들리에는 인테리어 공간에 장식적인 분위기 조성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명기구이다. 호화로운 공간의 심볼(symbol)로서 많은 크리스탈(crystal)에 의해 빛이 산란하면서 장식미를 만든다. 본인은 샹들리에에서 퍼지는 장식적 빛에 집중하던 중, 그 이면의 근원적 빛이 비추고 있는 상징성에 의한 다른 미적 사유로의 탐구를 하게 되었고, 이를 숭고에 대한 표현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샹들리에의 장식적 빛에서 숭고의 빛으로까지의 인식의 흐름 변화와 사유 과정을 탐구하여, 빛을 통한 자아(自我)의 내면적 정신성에 집중하는 본인 작업과 관계의 의미를 찾아, 향후 작업의 지향점(指向點)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빛의 공간으로 인한 감각과 경험이 미적 사유의 대상으로서의 샹들리에로 구체화되기까지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샹들리에 빛의 장식성과 정신성, 빛이 주는 색감(色感)과 근원적 빛으로의 묵상(?想)의 경험을 실제 건축 공간 중심으로 탐구하여, 빛의 의미를 찾기까지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고 관련 작가들을 작업연구에 참고하였다. 표현 방법적 연구에 있어서는 사유의 과정 속 샹들리에 이미지(image)를 동양의 미적 색감인 먹의 발묵(發墨)과 한지의 흡수력으로 표현된 농담(濃淡)을 이용하여 빛의 움직임처럼 나타내었다. 산란하는 빛의 시각화에 대한 다각적인 모색을 통해 빛의 입자(粒子, particle) 표현을 집적(集積)하여, 샹들리에로 재구성된 장식적 빛을 형상화하였고 숭고의 빛을 향해 형상을 해체하였다. 또 금분(金粉)과 은분(銀粉)으로 부가적 장식성의 빛과 내적인 정신성의 빛을 은유하였고, 이에 대한 작품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빛을 바라봄에 있어서 형언하기 모호했던 경험들이 하나 둘씩 구체화 되었고, 빛의 영역을 확대해서 감각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야를 탐구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장식적 빛에서 숭고의 빛으로 사유가 흘러감에 따라, 다른 감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미지(未知)의 빛에 대한 사유 확장 가능성을 발견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로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 속에서 수묵화(水墨畵)의 정적이고 부드러운 동양의 미적 감각을 깨우고, 이를 통해 빛을 경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The ‘experience’ in the spaces perceived through the ‘sense’ of artist construct free figures based on individual thoughts when implemented in paintings, which leads to an unique expressional image. Light surrounding us all the time has huge internal power beyond mere visual brightnes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s the origin of life and natur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light implicates a lot of symbolism. According a philosopher Hegel (George Wilhelm Friedrich; 1770-1831), nothing is more suitable for expressing something invisibly spiritual and platonic than light. Since light has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as the source of senses, it can open the expansion of our infinite thinking. As a result, light has inspired many works in literature, philosophy, religion, art as significant material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image expression with light based on the subjective senses and experiences felt through the light-space of chandelier. Chandelier is a lighting equipment to promote decorative atmosphere in interior design. As a symbol of glamorous space, the scattering of light produced by a lot of crystals generates the decorative aesthetics. During the emphasis on the decorative light scattered from chandelier, the author attempted to investigate other aesthetical thinking by the symbol of the fundamental light from the opposite side and to approach the expression of sublim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rections for future works by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the author’s work and its relationship by focusing on the internal spirituality of the self through the light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the change of perceptions and thinking process from the decorative light of chandelier to the light of sublimity. Above all, the general trend in which the senses and experiences from light-space were specified into a chandelier as a subject of aesthetical thinking was examined. In doing so, the decorativeness, spirituality, and the color sense of chandelier light and the experiences of meditation for the primitive light were comprehended centered on the actual architectural spa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levant artists were also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light. In terms of the expressional method research, the image of chandelier was expressed as the movement of light by utilizing the Oriental aesthetical color sense of splashed ink effect and the light and shade from the absorption force of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The decorative light was represented and reconstructed as chandelier by integrating the particle expression of light through the multi-angled explorations for the visualization of light, and the representation was deconstructed toward the sublime light. Moreover, the additional decorative light and internal spirituality was analogized by gold particles and silver particles, and the analysis of work was conduc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gradually specifying the formerly ambiguous experiences when seeing the light and to seeking the insight to sensibly enlarge the realm of light. Furthermor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to find the possibility to amplify the thinking on the unknown light that can be tracked by alternative senses as the thinking flow from the decorative light to the sublime ligh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wake the Oriental aesthetical sense of ink-and-wash painting with subtleness and gentleness in the rapidly changed digital era and make people to experience the ligh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빛의 공간 4 1. 감각과 경험 4 2. 미적 사유의 대상으로서의 샹들리에 7 B. 빛의 감각적 인식 9 1. 장식적 빛과 색감(色感) 9 2. 도쿠진 요시오카 12 C. 빛의 초월적 경험 14 1. 숭고의 빛과 자아(自我)의 내면적 정신성 14 2. 바넷 뉴먼, 마크 로스코 19 Ⅲ. 표현 방법적 연구 23 A. 감각과 경험의 심상(心象)표현 23 1. 사유의 과정 속 샹들리에 이미지 표현 23 2. 동양의 미적 색감인 먹색(墨色) 26 B. 입자(粒子)의 집합체로서 형상화한 빛 30 1. 샹들리에 형상의 재구성 30 2. 숭고의 빛을 향한 형상의 해체 32 C. 금분과 은분으로 은유한 빛 35 1. 부가적 장식성의 빛 35 2. 내적인 정신성의 빛 36 Ⅳ. 작품분석 40 Ⅴ. 결론 71 참고문헌 73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339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빛에 대한 감각과 경험의 심상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mage expression of the sense and experience of light-
dc.creator.othernameBaik, Ji Eun-
dc.format.pagevii, 77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333-
dc.contributor.examiner이종목-
dc.contributor.examiner서은애-
dc.contributor.examiner이기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