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1 Download: 0

성서 『아가서』의 알레고리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아가(雅歌)」에 관한 연구

Title
성서 『아가서』의 알레고리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아가(雅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Aga(雅歌)」Based o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Song of Solomon in Bible
Authors
오정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 광고, 문학 등은 항상 사람들로 하여금 의미를 해석하게 하는 과제를 준다. 특히 성경말씀이나 예술작품은 해석방법에 따라 많은 의미를 내포하며, 여기서 우리는 그것이 담고 있는 진정한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겉으로 드러나 있는 그대로를 해석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 숨겨져 있는 깊은 의미를 찾아 낼 필요성을 갖는다. 알레고리(Allegory)는 ‘풍유’, ‘우의’, ‘다르게 말하기’라는 뜻으로 돌려 말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 비유법의 하나이다. 추상적인 표현으로 인해 있는 그대로가 아닌 확장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알레고리는 다양한 의사소통을 유도하며 다른 차원의 의미를 가져온다. 또한 비유적으로 나타냄으로써 거부감이 있을 수 있는 어떠한 사상이나 주장을 부담 없이 드러낼 수 있으며, 해석과 표현 방식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아가서는 이러한 알레고리적 해석을 담고 있는 구약성경의 일부분으로서 그 저자는 솔로몬 왕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가서는 하나님의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말씀으로 그 주제는 사랑이다. 아가서는 솔로몬 왕과 술람미 여인 간의 사랑을 통해 이상적 부부의 사랑을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하나님과 자기 백성 이스라엘의 사랑의 관계,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사랑의 관계를 알레고리적 해석으로 묘사한 것이다. 아가서는 고대의 랍비들로부터 현대의 성경해석학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들로 해석되어 전통적인 알레고리해석, 문자적 해석, 역사적 해석, 고대 문화적 관점에 근거한 해석 등 여러 방법론들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아가서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의 사랑’을 무용창작작품「아가(雅歌)」에서 그리도인의 신앙적 체험을 알레고리적 접근방법에 근거하여 예술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안무된 작품을 주제 및 내용, 이동경로와 움직임, 의상 및 오브제로 나누어 분석하여 사랑은 하나님의 특성이고 성품이며 진정한 사랑의 완벽한 예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무용수의 믿음과 태도의 변화를 총 3장으로 구성하였다. 각 장면의 주제는 안무자의 알레고리적 해석에 따라 ‘욕망의 늪에서 - 방황하는 영혼 - 빛 가운데로’를 통해 나타난다. 공간적 측면에서도 각 장면별 주제에 따라 미성숙의 공간, 고통의 공간, 변화의 공간으로 설정하였고, 이러한 무대 공간 사용을 통해 무용수는 움직임을 표출하며 의미를 전달하였다. 1장의 ‘욕망의 늪에서’에서는 무용수의 미성숙한 믿음을 표현하였다. 이 장면에서는 하나님이 부어주시는 사랑에도 불구하고 세상적인 유혹에 이끌려 하나님의 말씀을 외면한 채 자신의 욕망에 빠져 들어가는 상태를 묘사하였다. 탐욕에 갇혀있는 무용수의 안일한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무대 중앙에 둥근 탑 조명을 비추고 그 정해진 공간에서만 움직임으로써 동작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서히 탐욕에 젖어드는 모습을 나타내기 위해 매우 느린 속도의 움직임으로 이미지화하였으며, 하나님의 말씀에 둔감해진 상태는 곡선적인 형태의 움직임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낮은 레벨의 동작으로 하나님께 적극적이지 못한 무용수의 무심함과 방심함을 표현하였다. 2장의 ‘방황하는 영혼’에서는 세상적인 유혹으로 하나님을 외면했던 무용수가 하나님과의 단절된 상태로 인해 공허함과 고뇌에 사로잡혀 있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변화를 결단하는 순간을 나타내었다. 무대 상수 쪽을 고통의 공간으로 설정하여 세로의 길 조명을 비추었고 그 안에서도 계속적으로 낮은 레벨의 동작이 이루어지지만 1장보다 강하고 확장된 동작으로 아픔과 슬픔의 깊이를 더하였다. 세상 유혹의 짐을 떨쳐버리고자 믿음의 방해물로 상징한 카디건을 벗어 바닥에 떨어뜨리고, 하나님의 음성이 들리는 하수 뒤를 향해 걸어가는 움직임으로 무용수는 거듭남에 이르러 순종의 길로 들어섬을 나타내었다. 2장 후반은 하나님에 대한 갈망을 드러내기 위해 전체적으로 상체를 길게 뻗어서 사용하며 박진감 있는 움직임으로 주님을 향한 적극적인 열망과 단장된 모습을 표현하였다. 3장의‘빛 가운데로’에서는 시련과 연단을 통해 성숙한 믿음으로 변화된 무용수가 이제 진정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일어나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조명의 범위를 부분에서 무대 전체로 확장시켜 밝은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세상의 빛이신 하나님의 영원하고도 놀라운 사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최대한 높게 상승된 신체 레벨과 확장된 동작의 범위로 그 사랑을 깨달은 무용수의 넘치는 기쁨을 최고조로 표현하였다. 마지막에는 상수 앞 쪽에 벗어 던진 카디건에 둥근 탑 조명을 비추고 그 안에서 무용수는 의상을 밟으며 이제는 죄로부터 떠나 하나님의 완전하신 사랑에 거하며 보답하는 성숙한 삶을 살겠다는 결단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무용창작작품「아가(雅歌)」는 하나님 안에 있는 사랑의 관계성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은 자신의 죄성과 타락으로 하나님과 멀어지게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사랑은 변하지 않는다는 하나님의 속성을 밝힌다. 그리고 점점 왜곡되고 변질되어가는 사랑의 개념으로 혼란스러워지는 현대사회에서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는 숭고한 사랑으로만 아름답고도 건전하게 형성됨을 재 각인시키고자 하였다.;Movies, advertisements, literature, etc., which can be easily accessed in routine life presents people with a challenge of interpreting the meaning. Particularly, Bible and art works have many different implications, depending on the approach to interpretation. Here, we need to explore and identify profound meaning hidden internally in order to find true meaning, rather than merely interpreting the meaning superficially. Allegory means 'exhortation by insinuation', 'talking around', 'paraphrasing' and is one of metaphorical methods for circumlocution. Particularly, allegory enables extended interpretation based on abstract expression, rather than expressions as things currently are, and induces various communications and at the same time brings out meaning of different dimensions. Moreover, allegory enables metaphorical revelation of certain ideology or assertion that might be otherwise repulsive and can be used effectively for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The Song of Solomon is part of Old Testament which contains such allegorical interpretation and was authored by King Solomon. However, Song of Solomon is the words of God written by inspiration of Holy Spirit and focuses on love. Although Song of Solomon seems to depict ideal love of husband and wife through the prism of love between King Solomon and Shulamite Woman, it is a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relation of love between Jesus Christ and church and between God and His people called 'Israel'. The Song of Solomon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many intellectuals ranging from rabbis of ancient times to contemporary Bible scholars. As a result,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presented for interpretation of the Song of Solomon, including traditional allegorical interpretation, literal interpretation, historical interpretation, interpretation based on ancient cultural perspective, etc. Thus, this researcher took allegorical approach to religious experience and testimony based on “Aga(雅歌)”, a creative dance work, to render artistic expression of the love of God, the key subject of the Song of Solomon. Moreover, the choreographed work was analyzed based on theme, contents, movement path, motions/movements, costumes, and objects in order to show that the love is the attribute and characteristic of God represents perfect example of God's love. In the first place, this researcher was called and portrayed as a girl in terms of contents. The faith of the girl in God and changes in her attitude were described in 3 Chapters. The themes of each scene are highlighted through 『Summon of Desire - Dark Night of Soul - Into the Light』 based o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choreographer. For spatial aspect, we configured the space of immaturity, space of pain, and space of transformation, depending on the themes of respective scenes. Based on such spatial configuration of stage, dancers conveyed the meaning through expression of motions and movements. The 'Summon of Desire' in Chapter 1 expressed immature faith of girl. This scene depicts people succumbing to secular temptation, ignoring the words of God and consequently, obsessed with desire, despite the love lavished on them by God. To describe the easy-going tendency of girl who became a slave to her greed, the round tower was lit up at the center of stage. By limiting the movement to the predetermined confines, the scope of movement was restricted. To depict the girl who slowly surrendered to her greed over time, the movements were made very slowly for visualization of such psychological state. The imperviousness to the words of God was expressed by the movement of curved shape. Moreover, the indifference and carelessness of girl inactive towards God was expressed by low-level motions and movements. The "Dark Night of Soul' in Chapter 2 showed the moment that the girl who succumbed to secular temptation and consequently ignored God finally made decision to change after going through emptiness and anguish arising from estrangement from God. The upper part of stage was configured as a space of anguish, illuminated by road-like vertical light. Although low-level motions/movements continued in that space, the pain and sorrow became more profound through more intensive and expansive motions/movements compared to Chapter 1. The girl took off cardigan, a symbol of obstacle hindering the faith in God, to the floor to relieve herself of the load of secular temptation. The decision of the girl to obey God was ex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girl walking towards the rear side on lower part of stage where the voice of God was coming from. The latter part of Chapter 2 showed the dancers stretching the upper body in overall way to express the craving for God. The dynamic motion and movements showed enthusiasm and faith towards God. The "Into the Light" in Chapter 3 depicts the girl who has been transformed into a true servant of God through mature faith after going through hardship and ordeal. The reach of lighting was extended to cover whole stage, presenting a bright atmosphere, to express eternal and amazing love of God who is the true light of the world. The physical level rising as highest as possible and the scope of expanded motions/movements marked climactic moment in expressing overflowing joy of girl who realized the love of God. The cardigan thrown into the front side of upper stage was illuminated with round tower light. There, the girl trod the clothes, showing her determination to desist from coming sins, and accept and reciprocate the perfect love of God. As mentioned above, Aga(雅歌), a creative dance work, reveals the attribute of God who shows unchanging love although human beings living in relationship of love with God are estranged from Him due to sin and depravity. Moreover, Aga(雅歌) was intended to reiterate that beautiful and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uld be formed through the noble love alone in contemporary society often confused by the concept of love that is increasingly distorted and turns 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