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미숙-
dc.contributor.author이효원-
dc.creator이효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7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785-
dc.description.abstract육체와 정신의 조화로운 성장을 위해서는 아동기의 올바른 식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시기는 식생활을 습득하는 최초의 시기로써 한 번 길들여진 식습관은 교정하기가 어려우며, 평생의 건강을 좌우한다. 하지만 최근 첨단 기술이 가져온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의 정신적 사고는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으며, 우리의 식탁에서는 균형을 우선으로 하는 전통식을 대신하여, 서구화된 간편식이 자리를 잡고 있다. 고열량·고지방 위주의 식사로 인해 비만, 당뇨와 같은 현대인들의 고질적인 생활습관병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아동 또한 그 위험의 범주에서 벗어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한 문제점으로 인식된 아동의 비만 실태와, 과거에 중시하던 가정에서의 밥상머리 교육의 역할이 축소됨으로써 야기되는 부정적 인성 발달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 사회 전반적으로 아날로그식의 사유와 가치관을 지양하는 슬로운동이 확산되면서 우리의 식탁에까지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오고 있다. 새로운 방향으로써 가정 및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건강하고도 바른 식생활 중심으로 구성된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 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은 슬로라이프라는 가치에 기반을 둔, 식이를 포함한 전반적 생활의 변화를 추구하는 식생활교육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체적인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을 통해 육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에서는 교수체제개발 모형을 토대로 다섯 단계에 걸쳐 체계적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아동 개인의 건강한 식습관 고취, 가족식사를 통한 가정에서의 올바른 인성 함양, 지역사회의 농업과 환경의 소중함 인식, 전통음식을 통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여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아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매 차시 이야기하기 활동과 이론 학습 활동, 감각체험 활동, 조리 및 조형 활동 등의 흥미로운 교육 전개를 통해 아동의 지식 습득과 더불어 식행동 변화 면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5차시의 “이야기 톡톡 오감만족 슬로라이프 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약 130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의 효과 판정을 위해 같은 지역 소재의 초등학교 동일 학년생 10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교육은 제공하지 않되 교육 전과 후 같은 기간 동안 같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는 기존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내용을 반영하는 문항을 추출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의 변수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 및 보완의 단계를 거쳐서 개발되었다. 교육군과 대조군이 사전, 사후 응답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SPSS 19.0을 사용하여 교육 전·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의 모든 변수에 있어서 교육군은 교육 전과 후에 유의적인 점수 차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은 일부 변수에 있어서만 그 차이를 나타냈다. 즉,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교육군은 지식,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지각된 행동 중요도, 행동 의도, 행동 변수에서 교육 전·후 유의적 점수 차를 보였다. 반면, 대조군은 지식, 행동 의도를 제외하고는 유의적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적합하며 효과적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흥미로운 활동 위주의 수업과 다양한 교육 자료 활용을 통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교육의 내용이 정형화되지 않고 교육 대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특화되었다는 점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다. 대상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반영하여 교육의 효과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성별에 있어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다르지 않았으나 학년별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학년이 6학년에 비해 교육 효과가 더 확연히 나타난 것으로 보아 5학년 아동이 6학년 아동에 비해 교육을 더 잘 흡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의 효과가 아동의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 행동으로 이어지는지를 예측해보고자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지식→행동 의도, 주관적 규범→행동 의도의 경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가설이 채택되어 연구 설계 모형의 적합성을 증명하였다. 연구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식생활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단기 교육이기 때문에 그 효과 또한 일시적일 수 있다는 데에 한계를 나타낸다. 때문에 효과의 지속성 여부를 밝히기 위한 추후 교육 및 유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프로그램이 특정 지역에 특성화된 교육이기 때문에 타 지역에서의 활용이 일부 제한되므로 추후 지역별 특성화된 식생활교육이 더욱 요구된다. 즉, 연구를 통한 향후과제로 대상의 특성과 지역적 특색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활발한 개발과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겠다.;Healthy eating habits developed during childhood promote balanced physical and mental growth. However, Korean's eating habits have become westernized with rapid social changes due to the globalization and technology advancement. At this momen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 balanced diet as people skip meals or have convenience food or fast food more frequent than traditional or home-cooked meals. This social trend causes lifestyle diseases of children such as obesity, and negatively affects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s food education during meal times is diminishing. To address the issues, education system with healthy eating habits in both schools and homes is required more than ev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food education program which can be implemented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value of 'slow life' to facilitate lifestyle changes including eating habits. This program targets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address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dietary changes. Based on ADDIE as an instructional system design (ISD) model,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well-organized food education program in five stages and verifies its effect.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following aims: to promote healthy dietary life for children; to foster upright personality through family meal at home; to recognize the value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ie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with traditional foods. Also, it incorporated activities to stimulate children's interest such as stories, sensory education, cooking or crafting activities in every lesson. This is not only to encourage children's knowledge acquisition but also their positive change in dietary behavior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approximately 130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study selected another 100 students in the same grades and the same region as a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dietary education. Both group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during the same period. The assessment tool for evaluation was developed by extracting corresponding questionnaires from preceding studies; modifying them to match with the 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revised after preliminary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 from the educ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paired T-Test in SPSS 19.0 comparing the survey results of pre- and post data showed that the education group was identifie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all variables of extended TPB, whereas the control group appeared to have meaningful data for some variables only. To provide a detailed explanation, the educat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in knowledge,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havioral importance,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variables.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demonstrated no significance except for knowledge and intention. Therefore, the developed program was an appropriate program for the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proved to be effective. This attributed to the activity-centered curriculum, specialized program for the local community where the education group locates.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children did not present differences in gender but grades: the education effect on 5th graders was higher than 6th graders. This demonstrated that the dietary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in 5th graders than 6th graders. To identify if the effect of education leads the change of children's dietary lifestyle behavior, this study used AMOS 18.0 to verify the extended TPB model. Most hypotheses of the model were adopted, except the path 'from knowledge to behavioral intention' and 'from subjective norm to behavioral intention.' This verified the conformity of research design model. The developed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was proved to be effective for the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education period. The effect might be temporary as it is short-term education. To identify its sustained effectiveness,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education or similar researches. As the education program was specialized for a specific region, it also requires to develop a specialized food education program for other regions. Also, to evaluate accurate effectiveness for dietary education program, tools using various approach and theory are needed to be developed. This study suggests to conduct activ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ood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tailor-made to studen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조작적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식생활교육 8 1. 식생활교육의 개념 8 2. 식생활교육의 현황 9 B.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Dietary education focused on slowlife) 17 1. 슬로라이프의 개념 17 2.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19 C.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27 1. 계획행동이론(TPB)의 개념 27 2. 계획행동이론(TPB)의 구성요소 30 3.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34 4. 계획행동이론(TPB)의 교육에의 적용 사례 36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37 A.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37 1.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37 2.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39 B.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43 1. 연구 내용 43 2. 연구 방법 49 C. 연구의 엄격성 59 Ⅳ. 연구 결과 60 A.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60 1. 분석 단계 60 2. 설계 단계 63 3. 개발 단계 66 4. 실행 단계 71 B.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72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72 2. 계획행동이론(TPB) 변수를 이용한 교육 효과 분석 74 3. 계획행동이론(TPB) 모형의 적합도 검증 97 4.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104 5. 가설 검증 결과 분석 105 Ⅴ. 결론 및 제언 110 A. 연구 결과 요약 110 B.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114 [참 고 문 헌] 115 <부록 1>. 설문지 123 <부록 2>. 연구 설명문 및 동의서 132 <부록 3>. 교육 자료(활동지 예시) 142 <부록 4>.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활동안의 예시(1차시) 144 <부록 5>. 교육 활동 사진 147 <부록 6>. 교육 후기 148 ABSTRACT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86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슬로라이프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in School Children-
dc.creator.othernameHyowon Lee-
dc.format.pageviii, 152 p.-
dc.contributor.examiner정서진-
dc.contributor.examiner김주현-
dc.contributor.examiner조미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