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6 Download: 0

청소년기 친사회적·반사회적 행동의 발달궤적과 학교 영역 예측요인

Title
청소년기 친사회적·반사회적 행동의 발달궤적과 학교 영역 예측요인
Other Titles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Youth'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Focusing on the School Domain Predictor Variables
Authors
이지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youth'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focusing on the school domain predictor variable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LGM). This study also clarified the developmental mechanism that has longitudinally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b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assessed common factor and specific factor that influences on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2nd year to the 5th year(2004-2007) among panel-survey materials for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in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ampling were 3,449 adolescents from all regions of Korea except for the Jeju region from 8th grade in 2003 to 11th grade in 2006.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longitudinally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as well as compared of reciprocal influence on each other. There ar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he prosocial behavior restrained the level of antisocial behavior and antisocial behavior suppressed the level of prosocial behavior. The impact of antisocial behavior that influenced on prosocial behavior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prosocial behavior on antisocial behavior. Second, youth's prosocial behavior and antisocial behavior increased as advanced a senior grade. On the basis of significance of the mean and the variance of intercept and slope for prosocial behavior and antisocial behavior, it can be lead that there are intra individual changes and inter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the two behaviors. Third, the common factors in school domain predictor variable are peer attach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pecific factors for antisocial behavior are teacher attachment and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specific factor for prosocial behavior did not be fou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ndings for youth welfare were as follow as, first intervention for preventing of youths' antisocial behavior will be put a dominant position compared with an intervention for increasing of youths' prosocial behavior. Simultaneously efficient strategy for considering of peak age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of antisocial behavior is needed. Second,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strategy for improvement in prosocial behavior and prevention for antisocial behavior should be differential. Youth's prosocial behavior should be improved by learning some many modeling cases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 Youth's antisocial behavior is the indicator of low school adjustment. So teacher should function as a secure base to aid and abet youth's school adjustment. The teacher should accurately perceive the youth's needs and desires and behave in a supportive and caring manner. At the same time, school should consider student's opinion on forming schooling schedule. It can give them a sense of belonging and it can be connected to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limitation is that this study did not fully think over various aspects of youth's prosocial behavior on the grounds that this study used a second data collected from panel-surve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s findings for youth welfare would provide for preventing of youth's antisocial behavior and promote youth's prosocial behavior.;청소년기에 구축해야 하는 사회성 발달 역량은 이후 성인기 사회생활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과 부정적인 발달의 특성은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으로 표출되는데 두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이 존재한다면 두 행동은 연속선상의 양극단에 위치하는 것이며 공통요인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두 행동은 별개의 각각 독립적인 속성을 지닌 행동일 것이다. 청소년기 두 행동을 검증한 다양한 선행연구는 독립적인 학문 영역에서 각 행동에 대해 개별적인 단일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고 각 행동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력을 보고하였다. 이와는 차별적으로 본 연구는 두 행동 간 종단적인 상호관계를 동일한 연구모형에서 동시에 검증하였고 두 행동의 발달궤적과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교영역 예측요인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고 판단된다. 청소년의 발달과 관련한 기존의 이론적 패러다임에 차별적인 관점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은 종단적인 상호적 인과관계가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호 영향력에 대한 두 행동 간 비교도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사회적 행동이 반사회적 행동을 억제시키는 영향력보다는 반사회적 행동이 친사회적 행동을 저하시키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발달궤적을 검증한 결과, 두 행동은 상위 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증가 양상은 특히 고등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 시기에 친사회적 행동의 평균은 크게 증가하였고 반사회적 행동은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평균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영역 공통요인(Common Factor)과 각 행동에만 영향을 미치는 고유요인(Specific Factor)을 검증하였다. 공통요인의 확인은 두 행동이 별개의 각각 독립적인 속성을 지닌 것이 아닌 연속선상의 양극단에 위치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공통요인은 학업성적과 또래애착으로 확인되었고 고유요인은 교사애착과 학교생활만족도로 나타났는데 반사회적 행동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사회적 행동의 고유요인은 발견되지 않았고 통제변인 중에서 친사회적 행동에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양육태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제시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두 행동 간 역동적인 상호 관계를 추정한 결과 반사회적 행동이 친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는 영향력이 친사회적 행동이 반사회적 행동을 상쇄시키는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3학년 시기의 반사회적 행동은 다음 학년인 고등학교 1학년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 증가를 가장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의 예방을 위한 실천 개입을 친사회적 행동 증진 전략보다 더 우선시해야 할 것이며 연령을 고려하여 특정 시기인 중학교 3학년 청소년의 반사회적 행동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반사회적 행동군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기 개입은 극단적 반사회적 행동으로의 전이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전략이기도 하다. 반사회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사회적 행동의 유발 요인에 집중하여 예방 차원의 개입을 하는 방안이 효율적이다. 다양한 선행연구 역시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선제적 개입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듯이 본 연구에서도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의 예방을 위한 실천 전략의 중요성을 제안하였고 구체적인 반사회적 행동 예방의 실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일선 학교에 표준화된 반사회적 행동 예방 프로그램이 보급되어 정기적으로 학생들이 반사회적 행동 예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사운영을 조정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반사회적 행동 예방 교육을 위하여 중학교에 입학하는 1학년 시기에 인성 교과목을 필수 과목으로 선정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반드시 이수하도록 하는 것이 권장된다. 청소년의 반사회적 행동 예방 프로그램은 흡연, 알콜, 절도, 성비행, 인터넷 중독과 같이 청소년기 문제 행동 유형별 전문 예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청소년에게 유용한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수준 높은 반사회적 행동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장기적으로 측정될 수 있도록 반사회적 행동 예방 교육과 관련된 특별 예산이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반사회적 행동 예방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실천 전략이 차별적이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학교의 적극적인 역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통요인과 고유요인의 검증을 통해 청소년의 욕구는 관계 욕구와 성취 욕구로 양분되며 두 욕구가 모두 충족될 경우에는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고 충족되지 못할 경우에는 반사회적 행동이 표출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형성 메카니즘에 차별적인 속성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은 지도(teaching)의 방식을 활용한 ‘학습’을 통해 발전하고 반사회적 행동은 정서적으로 충족되지 못한 ‘애착’과 같은 심리·정서가 불리한 학교 환경요인(예: 낮은 학교만족, 소외된 또래관계, 교사의 무관심)과 결부되어 증가한다. 이는 낮은 교사애착과 낮은 학교생활만족도가 반사회적 행동의 고유요인이라는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행동의 공통요인과 고유 요인의 검증을 통해 두 행동의 형성 과정에서 차별적인 기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른 두 행동에 대한 차별적인 개입 전략을 제안하였다. 친사회적 행동은 모델링과 학습을 활용한 개입 전략을 통해 증진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는 자율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며 학교 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학사일정에서 적극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차별화된 초 · 중 ·고 학교 급별 부모 교육프로그램 매뉴얼 제작, 직장 등의 사유로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가 어려운 부모를 위한 온라인 교육 컨텐츠 보급 등 실효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은 낮은 학교적응의 강력한 지표로서‘애착’과 ‘만족’의 결여와 같은 충족되지 못한 불안한 심리에 기인한다. 사회적 관계가 정서적으로 안정적일 때 청소년은 친사회적 행동을 표출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자제한다. 학교 내 교사와 학생 간 구축된 애착관계는 높은 학업성취를 유도하며 학교적응을 높이고 반사회적 행동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교사는 청소년의 요구에 수용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며 학생과의 관계에서 심리적인 친밀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담임교사 또는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생과 교사 간 애착관계가 구축되어야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함을 인식해야 하며 정기적인 학생상담을 통하여 반사회적 행동군 청소년의 불안한 심리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지지자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학교는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기 학교생활만족도는 학교에 대한 학생의 사회·심리적 적응을 반영하는 사회성 발달의 주요한 척도이다(김두환·김지혜, 2011). 학교생활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에 따라 학교에 대한 소속감 및 심리·사회적 안정감이 다르며 학교 내 교우관계의 확장은 학교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이는 높은 학교생활만족으로 이어진다(Moody & White, 2003). 또한 학교 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수록 학교생활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는데(Moody & White, 2003) 자발적인 참여는 소속감을 유도하며 이는 높은 학교생활만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이 주체적으로 다양한 학교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학생들을 대상으로‘학교생활만족도 조사’를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학생들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학사운영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소년기 안정적인 사회·정서의 구축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직결되는 사안이므로 청소년 정신 건강 정책사업의 효과성 있는 실천이 우리나라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 예방에 필수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선 학교 내 상담실 또는 Wee클래스를 활성화시키는 전략이 효율적이다. 전국 초ㆍ중ㆍ고 학교에 의무적으로 상담실 또는 Wee클래스 설치를 권고하고 학생들을 상담하고 그들의 고민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전문 인력을 확충하여야 하고, 이에 필요한 예산을 운용해야 한다. 셋째, 두 행동에 대한 통합적인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공통요인과 고유요인을 고려하여 청소년기 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단일 프로그램만으로는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을 예방하고 동시에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어렵다. 특히 청소년기 반사회적 행동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과의 연계 여부가 관건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는 반사회적 행동 예방 프로그램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을 부모 교육 프로그램과의 동시적인 개입을 통해 지속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두 행동과 관련된 다중요인을 중심으로 하는 동시적인 개입은 확산효과(spillover effect)를 기대할 수 있는데 (Van Doorn et al., 2011) 두 행동의 공통요인인 또래애착과 학업성취, 그리고 고유요인인 교사애착과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동시적인 개입전략은 행동과 관련된 사회성 발달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을 기반으로 하는 청소년의 정신 건강, 그리고 청소년의 학력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안된 반사회적 행동 예방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이라는 목적 하에 통합되어 동시적인 실천 전략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