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효정-
dc.contributor.author안선영-
dc.creator안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6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6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여성 당뇨병 환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S 상급종합병원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외래에 통원치료 중이고 배우자가 있는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여성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8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였다. 성기능은 Rosen 등(2000)이 개발한 Female Sexual Function Index(FSFI) 도구로 측정하였고, 성스트레스는 Derogatis 등(2002)이 개발한 Female Sexual Distress Scale(FSDS)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WHOQOL-BREF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Window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기능은 평균 12.99±9.11였으며 하위 영역별 평균 점수는 만족감 2.82±1.28점, 성욕구 2.19±1.15점, 질윤활 2.11±2.04점, 절정감 2.03±1.90점, 성교통증 2.04±2.33점, 성적흥분 1.89±1.73점이었다. 나이(t=4.168 p=.001), 최종 학력 (F=5.426. p=.005), 직업(t=-2.551, p=.012),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시기(F=4.619, p=.004), 합병증 개수(F=6.628, p=.002), 자가 혈당 측정 여부(t=2.615, p=.010), 폐경유무(t=-4.221, p=.001), 당화혈색소 결과(t=3.410, p=.001)에 따라 성기능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성스트레스는 평균 26.99±16.88점이었으며 68.1%가 성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3. 삶의 질의 전체 총합 점수는 79.12±14.30점이었고 4가지 하위 영역의 점수는 신체적 영역 21.58±4.98점, 심리적 영역 17.77±4.27점, 사회적 관계 영역 9.75±2.01점, 환경 영역 24.34±4.95점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F=4.114, p=.018)에 따른 삶의 질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성기능은 성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r=-.463 p=.001) 삶의 질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321, p=.001). 성스트레스는 삶의 질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369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년여성 당뇨병 환자의 성기능 점수가 높을수록 성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삶의 질은 높았으며 성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삶의 질은 높아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여성 당뇨병 환자의 성기능을 증진시키고 성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Study tools used for measurements included questionnaires for 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Female Sexual Function Index(FSFI) for sexual function, Female Sexual Distress Scale(FSDS) for sexual stress, and WHOQOL-BREF for quality of lif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21.0 Windows ver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exual function score was 12.99±9.11. In regards to subcategories of sexual function, the mean scores were 2.82±1.28 for satisfaction, 2.19±1.15 for sexual desire, 2.11±2.04 for vaginal lubrication, 2.03±1.90 for orgasm, 2.04±2.33 for sexual pain, and 1.89±1.73 for sexual arous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function were shown according to age(t=4.168 p=.001), level of education(F=5.426. p=.005), employment status(t=-2.551, p=.012), time of being diagnosed with diabetes(F=4.619, p=.004), number of complications(F=6.628, p=.002),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t=2.615, p=.010), menopausal status(t=-4.221, p<.001), and glycosylated hemoglobin ((t=3.410, p=.001). 2. The mean sexual stress score was 26.99±16.88 and 68.1% higher in sexual stress. 3. The quality of life score was 79.12±14.30. In regards to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the scores were 21.58±4.98 for physical, for 17.77±4.27 psychological, 9.75±2.01 for social relationships, 24.34±4.95 for environment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were shown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F=4.114, p=.018). 4. Sexual fun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stress(r=-.463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r=.321, p=.001), while sexual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r=-.369 p=.001). Based on the study results shown above, higher sexual function in middle aged female patients with diabetes were correlated with lower sexual stress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while lower sexual stress was correlated with improved quality of life.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increase sexual function and decrease sexual stress are needed for middle aged female patients with diabet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당뇨와 성기능, 성스트레스 7 B. 당뇨와 삶의 질 11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도구 15 D. 자료수집 절차 및 방법 17 E. 자료 분석 방법 17 F. 연구의 제한점 18 G.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1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21 C. 대상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 정도 23 D.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 31 F. 대상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의 관계 43 Ⅴ. 결론 및 제언 46 A. 결론 46 B. 제언 48 참고문헌 50 부록 57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67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중년여성 당뇨병 환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xual function, sexual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female patients with diabetes-
dc.creator.othernameAhn, Sunyoung-
dc.format.pagevi, 78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dc.contributor.examiner정덕유-
dc.contributor.examiner박효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