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순경-
dc.contributor.author박은희-
dc.creator박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5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52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사회변화의 가능성으로서 정치적 실천이나 저항이 어떻게 형성되며, 어떤 방식일 때 가능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는 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들의 저항에 주목하여 이들의 정치적 실천과 연대의 힘은 무엇인가를 밝혀 나가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여성들의 생애 전 과정으로서 삶의 역사와 현재의 일상, 환경적 조건으로서 삶터라고 하는 물리적 토대에 주목한다. 둘째, 밀양 싸움의 또 다른 주체라 할 수 있는 연대 활동가들과 맺은 관계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감정과 감수성이 어떻게 정치적 실천과 역동적으로 관계 맺을 수 있는지를 살핀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olitical practices or resistances are generated as well as how they are possible as possibilities of social chang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ir political practices and the power of solitary with a focus on the resistances by women who participated in Anti Miryang Power Transmission Tower Mov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ighlighted their entire life histories, daily liv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as a physical founda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ir relations with activists in solitary who were other agents of the mov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motions and sensitivity were dynamically linked to political pract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자원 4 1. 기존논의 검토 4 2. 이론적 자원 10 C.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22 1. 연구방법 22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25 3. 연구과정 28 Ⅱ. 송전탑 건설 배경과 반대 운동의 전개과정 33 A. 송전탑 건설의 배경 33 1. 밀양 송전탑 경과지 마을의 사회문화적 배경 33 2. '법초월적 법과 제도에 근거한 발전(developing) 동력 송전탑 36 3. 악의 연대체계와 송전탑 40 B. 반대 운동의 전개과정 42 1. 송전탑 건설 계획의 인지와 초기 저항(2005~2012) 42 2. 분신(self-burning)과 공권력의 개입(2012~2014) 46 Ⅲ. 할매 그리고 저항의 원천으로서 삶과 살림 54 A. 저항의 원천으로서 삶과 일상 55 1. 생명의 순환토대땅 55 2. 전 생애와 미래를 투영하는 땅 57 3. 성별 통합적 자급노동 60 B. 통합적 삶의 운용으로서살림 63 1. 노동의 통합성과 연속성 64 2. 생태적 조건과 감성을 체화한 몸, 언어, 통찰적 지식 66 3. 통합적 삶의 운용으로서 살림 74 Ⅳ. 또 다른 저항의 힘 - 연대 78 A. 여성주체의 부상과 이면 79 1. 여성주체의 부상 79 2. 대표성의 변화와 행위주체로서 여성의 가시화 80 3. 저항의 성별성 83 B. 밀양 연대의 구성 과정 85 1. 인식과 실천의 사이 : 현장 85 2. 모셔라는 말과 짐짝 취급, 온 몸을 던진 다는 것의 의미 89 C. 밀양 연대의 성격 93 1.일상적관계맺음과 당사자성 획득의 맥락 94 2. 연결성 - 연대의 확장 105 Ⅴ. 살림과 연대의 형성을 통해 본 밀양송전탑 반대운동의 의의 110 1. 지금 이대로 - 성장과 발전에 대한 대안적 원칙 110 2. 애통의 정치학에서 애통의 윤리학으로 113 Ⅵ. 결론 119 참고문헌 124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60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밀양송전탑 건설을 둘러싼 여성들의 저항과 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애통의 정치학에서 애통의 윤리학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sistance and empowerment of women in Anti Miryang Power Transmission Tower Movement : from politics of lamentation to ethics of lamentation-
dc.creator.othernamePark, EunHee-
dc.format.pagev, 135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138-
dc.contributor.examiner장필화-
dc.contributor.examiner허라금-
dc.contributor.examiner조순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