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박은민-
dc.creator박은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1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1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회상대화 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을 살펴보고,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라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과 이들 간 상관에서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4세 유아와 어머니 46쌍을 대상으로 실험실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와 유아가 함께 공유한 과거의 경험들 중 유아가 행복했던 사건, 슬펐던 사건, 화났던 사건, 그리고 무서웠던 사건 각각 하나씩에 대하여 자유롭게 대화하는 상황인 과거회상대화를 사용하여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을 측정하였다. 대화 유형이란 대화를 나누는 동안 본인이 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혹은 상대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촉진하는 대화 방법을 개념화 한 것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과거회상대화 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을 정교성과 반복성에 기초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대화 내용은 어머니와 유아가 과거회상대화 시 사용하는 정서 단어를 범주와 빈도로 구분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은 Bates, Freeland와 Lounsbury(1979)가 개발한 ICQ 기질 척도를 이용하여 까다로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유아의 과거회상대화의 유형과 내용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의 기질에 따라 유아의 대화 유형 중 대화 이어나가기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즉,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대화 이어나가기 시도를 더 많이 하였다. 둘째, 과거회상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와 유아의 정교성과 반복성, 그리고 평가 유형은 모두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어머니의 정교성은 유아의 대화 이어나가기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성별과 기질은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간 상관관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거회상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내용의 경우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 단어 사용 범주와 빈도 모두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성별과 기질은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 단어 사용 간 상관관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과거회상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의 사용 경향 및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뿐 아니라 어머니와 유아 간 대화 유형 및 내용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또 이러한 상관이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과거회상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에는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어머니와 유아 간 대화의 상관은 유아의 성별 및 기질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유아가 과거회상대화 시 사용하는 대화 유형 및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의 내러티브 발달에 도움이 되는 어머니의 대화 방법에 대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 gender and temperament with mother and child's narrative styles and contents, (2) to examine correlations of maternal narrative styles and contents with child narrative styles and contents, and also examine relations with child gender and temperament. 46 dyads of 4 years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a videotaped laboratory procedure the memory talk. During the laboratory visit, each dyad had conversation about memories of shared experiences which were related to 4 different emotions; happy, sad, angry and afraid. In this study, Narrative styles assorted into two basic styles : elaboration and repetition. Narrative contents were coded for two categories :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e.g., happy, angry, mad) uttered by mothers and children and the frequency of using emotional words during memory talk. This study used ICQ to examine child temperament and calculated a total of difficult tempera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in mother-child narrative styles and contents during memory tal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 temperament with placeholder in child narrative styles. The result reported that high-difficult child tried to hold the conversation more than low-difficult child. Second, maternal narrative sty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 narrative styles in the same categories of each(elaboration, repetition, evaluation). Furthermore, mother's elaboration was significant related to child's placeholder. These correlations were different in the child gender and temperament. Third, maternal narrativ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 narrative contents. Furthermore, these correlation results were different in the child gender and temperament.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uncovered that mother-child narrative styles and contents were correlated and there were both gender and temperament difference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mother-child narrative in memory talk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maternal narrative styles which can promote child narrative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과거회상대화 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 6 B.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른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 11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3 A. 연구문제 13 B. 용어정의 13 Ⅳ.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B. 조사도구 17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2 Ⅴ.연구결과 24 A. 연구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24 B.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른 과거회상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 26 C. 과거회상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 간 상관관계 28 D. 유아의 성별과 기질에 따른 과거회상대화 시 어머니와 유아 간 대화 유형 및 내용 간 상관관계 30 Ⅵ. 논의 및 결론 39 참고문헌 47 부록 54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16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과거회상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유형 및 내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성별과 기질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Mother-Child narrative style and content in memory talk : Relation to child gender and temperament differences-
dc.creator.othernamePark, Eunmin-
dc.format.pageiv, 59 p.-
dc.contributor.examiner한세영-
dc.contributor.examiner박보경-
dc.contributor.examiner신나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