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자존감, 사회적 지지, 돈에 대한 몰두 간의 관계

Title
자존감, 사회적 지지, 돈에 대한 몰두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Preoccupation with Money : Mediation Effect of Responsiveness to Support
Authors
조영선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types of social support, and preoccupation with money along with mediating effect of responsiveness to social support, therefore fin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coping strategy the individual uses when she perceives herself deprived of social support. A sample of 326 undergraduates(153 men and 173 women) in their twenties completed self-report surveys that measured self-esteem, money attitudes, and hypothetical scenario about failure and following support. The survey was taken in October, 2015 arou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The analysis was taken through SPSS 18.0. 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ve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upport. Finally,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mediation effect of responsiveness to support on the self-esteem and preoccupation with mon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elf-esteem predicted the responsiveness to offered social support, but the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upport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negative response to social support of both personal failure scenario and bad day scenario mediated between self-esteem and preoccupation with money, thus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low levels of self-esteem affects negative response to social support, leading to increased preoccupation with money. This study shows how self-esteem, a personal variable, affects the receptivity of social support, and how the preoccupation with money changes along with levels of the receptiv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is a few empirical and quantitative study which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and responsiveness to social support, and the connection of those two variables to preoccupation with money which is relatively new to researchers. Further study will have to consider the limitations of money attitude scales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and should investigate which type is the most effective support, and how it is specifically related to money attitudes.;본 연구의 목적은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의 유형이 돈에 대한 몰두와 어떠한 관계를 이루는지 알아봄으로써,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사회적 지지가 자존감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 따라서 그 효과가 달라지는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를 받지 못한 개인이 돈을 어떻게 바라보게 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32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자존감, 돈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 및 사회적 지지에 관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및 간접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부트스트래핑이 이루어졌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은 지지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 돈에 대한 몰두와 모두 연관되어 있었다. 돈에 대한 몰두는 지지에 대한 부정적 반응과 연관이 있었으나, 운 관련 시나리오와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자존감의 높고 낮음은 개인이 지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나, 사회적 지지의 유형은 지지에 대한 반응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후 자존감, 지지에 대한 반응, 돈에 대한 몰두 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적 실패 시나리오와 운 관련 시나리오 모두에서, 지지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이 자존감과 돈에 대한 몰두 사이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즉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주어진 사회적 지지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이는 돈에 대해 더 몰두하게 만든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변인인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 그리고 이러한 반응이 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하여 지지를 제공할 때 자존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비교적 최근에 사회적 지지와 관련되기 시작한 돈이라는 변인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경험적인 방법으로 입증한 연구라는 데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물질주의와 사회적 소외를 연결 지음으로써 내담자에 대한 더 깊이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리라 기대된다. 이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언급된 측정 도구의 보완과 고려하지 못했던 사회문화적 변인들까지 포함하여, 가장 효과적인 지지 유형이 무엇인지, 또한 사회적 지지가 돈에 대한 몰두와 어떻게 더 구체적으로 연결되는지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