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태제-
dc.contributor.author김태연-
dc.creator김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2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283-
dc.description.abstract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 which is to make a harmonious human being by changing students’ potential characteristics such 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 education on each domain should be done. In order to judge whether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domain are achieved, a learning-oriented evalu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Not only to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cognitive domain but also to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affective domain, formative evaluation which can be applied frequently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should be used because it is possible to give well-timed feedback to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confirming the effect of teacher’s feedback on homework, which is based on formative evaluation, in order to recognize how formative evaluation affects the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in the school field.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sophomore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of Korean middle school. Their response to a poll and the students’ achievement score are analyzed. First of all,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i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variable of five feedback activities such as "teacher corrects students' homeworks", "students modify their homeworks for themselves", "students discuss about homeworks in class", "teacher checks whether students have finished their homeworks", and "teacher uses homeworks as a base data for evaluating students' performances“. Furthermore, in order to establish and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erest, achievement and teacher’s feedback, a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used reflecting teacher-student data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 is deducted as follows. It is analyzed teachers' feedback on homework and influence variables to investigate variables influencing all the teachers' feedbacks. "Checked homeworks" was excluded only because it is not meaningful with a multinomial logistic model. The more teachers provide feedback for students, the more "the type of activities in class" has a relevant effect on teaching. The more teachers leads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teachers' feedback, the higher debating homeworks in class, had odds ratios for teachers making students have little or no debate, especially. And the most distinctive factor between teachers "often", "little" or "no" give feedback is "confidence in teaching". It is examined structural inter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feedback and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study. The result showed goodness of fit in model is satisfactory. After analyzing equation between variables, all the element in affective domain such as family resources, interest, confidence, and sense of the value, is relevant excluding gender and attitude in class at students' level. School girl and family resources negativel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other hand, confidence, sense of value and attitude in science class positively have a meaningful impact. "The type of activities in class" has a impact on feedback at teachers' level. This showing fits the result analyzed with a multinomial logistic model. But teachers' feedback has little relevant impact. As a result, the result showed teachers' feedback on student's homework has little impact. This might be limited to sophomore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their science learning. But we can deduce formative evaluation is yet working given the result of a precedent study that students-centered activity such as experiment, research, and observation can have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due to the nature of science learning. Thus, teachers have a better chance figuring out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psychomotor domain totally with formative evaluation by offering activities which students can recognize their learning process such as experiment and research. And educational authorities need to give proper support for promo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teachers can offer various activities for students. And teacher training is needed to improve teaching and testing competence so that teachers can understand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교육의 목적은 학생의 잠재적 특성인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을 종합적으로 변화시켜서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 영역을 가르치고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은 개선하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 영역이 목표에 모두 도달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 관심을 두는 학습 지향적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의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습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수시로 적용이 가능한 형성평가를 활용하게 되면 학생에게 시기적절한 피드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형성평가가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형성평가에 기반한 교사의 숙제에 대한 피드백 활동이 학생의 과학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TIMSS 2011을 치른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 및 과학교사로, 학생과 과학교사의 설문 응답 결과와 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점수를 분석하였다. 숙제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활동인 ‘숙제를 교정하여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줌’,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숙제를 수정하게 함’, ‘수업 시간에 숙제에 대해 토론함’, ‘숙제를 다 했는지 점검함’, ‘숙제를 학생들의 등급 및 성적 산출 자료로 활용함’으로 구성된 5가지 피드백 활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탐색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학생의 흥미, 학업성취도와 교사의 피드백 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였고 교사-학생 자료가 위계적 구조임을 반영하여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숙제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활동 5가지에 영향을 주는 교사수준의 변수를 분석한 결과, 이 중 ‘숙제를 다 했는지 점검함’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이 유의하지 않았다. 나머지 피드백 활동에 대해서는 대체로 각 피드백 활동을 많이 하는 교사일수록 ‘수업활동유형’이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시간에 숙제에 대해 토론하는 피드백 활동은 수업참여유도 활동을 많이 할수록, 다양한 수업활동을 할수록 토론을 전혀 또는 거의 하지 않는 교사에 비해 가끔이나 항상 또는 거의 항상 하는 교사의 승산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숙제를 성적에 활용하는 피드백 활동을 하는 교사들 중 ‘전혀 또는 거의 하지 않음’인 경우와 비교하여 ‘가끔’, ‘항상 또는 거의 항상’인 교사들과 구분할 수 있는 변수는 ‘교수 자신감’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피드백 활동과 학생의 과학 흥미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학생수준에서 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는 변수는 성별과 수업태도를 제외하고 가정자원과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등 정의적 영역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성별(여학생)과 가정자원은 흥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과학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가치인식, 수업태도는 흥미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수준에서는 교사의 피드백 활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수업활동유형’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교사의 숙제에 대한 피드백 활동은 학생의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숙제에 대한 피드백 활동이 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과학 교과에만 혹은 중학교 2학년 학생에게만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과학 교과의 특성상 실험, 조사, 관찰 등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학생의 흥미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아직 학교 현장에 형성평가가 제대로 기능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조사와 같이 학생이 학습하는 과정을 알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한다면 형성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등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교사가 수업시간에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수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학교나 교육청, 정부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동시에, 다양한 활동으로 이루어진 수업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교사의 수업 및 평가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연수도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A. 교사의 피드백 활동 5 1. 형성평가와 피드백 5 2. 피드백의 종류와 역할 6 3. 교사의 피드백 활동 10 B. 흥미 12 1. 흥미의 정의 12 2. 과학 교과에서의 흥미 12 C. 학업성취도 15 1. 학업성취의 의미 15 2.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16 D. 최근 연구 동향 18 1. 교사의 피드백 활동 18 2. 과학 교과에서의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수준 변수 19 3. 과학 교과에서의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수준 변수 22 Ⅲ. 연구방법 24 A. 연구자료 24 B. 분석도구 27 1.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지 27 2. 설문지 구성 28 C. 연구절차 및 방법 33 1. 연구변수 33 2. 연구절차 및 방법 38 D. 연구문제 45 Ⅳ. 연구결과 46 A. 교사수준과 학생수준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6 1. 교사수준 변수 46 2. 학생수준 변수 48 B . 교사의 피드백 활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 51 C. 교사의 피드백 활동과 학생의 과학 흥미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57 1. 다변량 정규성 검토 57 2. 모형 적합도 평가 59 3.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61 Ⅴ. 결론 및 논의 65 A. 결론 65 B. 논의 및 제언 68 참 고 문 헌 73 부 록 79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595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의 숙제에 대한 피드백 활동이 학생의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teacher’s feedback of homework on students’ achievement and interest in science subject-
dc.creator.othernameKim, Tae Youn-
dc.format.pagevi, 120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383-
dc.contributor.examiner곽삼근-
dc.contributor.examiner신진아-
dc.contributor.examiner성태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