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김경주-
dc.creator김경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93-
dc.description.abstractThe perception and level of the importance of design have already reached a significant level at the present day,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industrial application on this are also actively in progress. In general, because only a limited people are engaged in a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ose who could not participate in can become interested in how the design was created or stories related to the designers for the design result that they use themselves or which receives attention. This proves that people are not only interested in design just as consumer goods, but as an a process. As an alternative to fulfil such desire, a design process becomes an object that can provide indirect experience by becoming an archive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exhibitions and publications. A process in a design project is not a tangible area but an intangible area where it cannot be seen by the public who consume the product. In a design project, budget, time and team are organized for a clear and specific purpose.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an officially concluded project are clear, the number and roles of team member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deadline and given budget. Accordingly, the result is affected by how efficiently the project is carried out according to its purpose under limited conditions. Many people think that design is a creation which only depends on a designer’s intuitive judgment and inspiration that are exposed its promotion. For example, Osbon, Gordon, and Broadbent had mentioned that 'a designer as a magician(designer as black box)' in the similar context of this. However, in reality, a design project is completed after going through meetings, where negotiations and decisions are repeated continuously, and documents including estimates and contracts, design draft and a number of interested parties. And, unexpected situations are bonus. This is why a premium is placed on heuristic, which can commonly be quantified into career in a design process. A design process is accompanied with aesthetic approaches and sensibility, which are considered ambiguous, and there is no clear answer as situations happen in a triangle made up of designer-consumer-client. Also, we cannot be sure whether a product is the right answer even if it went through a given process because there are various variables that can occur from time to time. It hasn’t been long since design methodology has academically received attention. A discussion of design methodology started from the area of architecture, which has relatively long history. It is thought that various studies are conducted and theories are developed in the design area at present as focus (trend, perspective) and new areas are continuously being derived from it. A number of designers in each area are sharing their opinions on design methodology and cases to produce more creative design outputs, and relevant literature can easily be found. Also, various design materials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work efficiency of designer-client are being distributed through relevant associations along with necessary education. Instead of a result of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a design process and archive that enables to review the process. For this study, we first need to understand how process art, which first emerged at the end of the 1960s, was developed and modern art works in an archive form. Also, based on the phenomena and cases, the concept and cases of process and archive in design project will be considered. In addition, this study will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rocesses and archives in the art and the design areas based on the past cases, and new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design processes and archives. For the final project, the previous projects, which are in the same context as the researcher’s processes and archives, will be reviewed. first, then the final project will be presented on two separate phases. For the study work for the first thesis examination, a work which used various visual elements that occurs in 'copy & reference', one among various methodologies of design process, was produced. In the case of the final project for the thesis examination, a concept of design process with a broader scope was presented as a work, which goes beyond being a tool and was restructured as an objet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researcher. The exhibited works are 『8 templates』, 『15 algorithms』, 『20 Mnemosyne panels and 14 books』, and 『36 documentations』, and they are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various forms that occur in a design process can be artistically turned into aesthetic factors. Through this, this study sought a method that can connote the concept of archive in the form of exhibition presentation. Because the works that were proposed on two separate occasions had their focus on the process of design project and the concept of archives, the output of design, contents, was omitted and only the frame of context exists.;오늘날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수준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고 이에 대한 학제적 연구와 산업적 적용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 제작과정에는 제한된 인원이 참여하기 때문에 직접 관여하지 못한 사람들은 본인이 직접 사용하고 있거나 주목받는 디자인의 탄생 배경과 디자이너에 관한 이야기에 대해 호기심이 생길 수 있다. 이는 소비재로서의 디자인을 넘어 행위나 프로세스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안으로서 디자인 프로세스는 전시, 출판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아카이브되어 간접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디자인프로젝트에서의 프로세스란 그 상품을 접하는 대중에게 보이지 않는, 유형(tangible)의 아닌 무형의(intangible), 비가시적 영역이다. 디자인 프로젝트에서는 명확하고 특정한 목적을 위한 예산과 시간 그리고 팀이 구성된다. 공식적으로 체결된 프로젝트는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이 명확하고, 이에 따른 기한과 정해진 예산을 바탕으로 팀 구성원의 수, 역할 등이 분배되므로 한정된 조건 안에서 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프로세스를 어떻게 진행하는지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대외적으로 디자인을 홍보하는 과정에서 노출되는 이미지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디자인이란 디자이너의 직관적인 판단과 감성에만 의존한 창조물이라고 생각한다. Designer as black box로 언급된 마술사(magician)로서의 디자이너가 이와 유사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디자인 프로젝트는 협상과 결정의 행위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회의, 견적서와 계약서 등을 포함한 문서, 디자인 시안과 수많은 관계자들을 거쳐 완성된다. 여기에 예기지 못한 상황들은 덤으로 주어진다. 디자인 과정에서 흔히 경력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경험적 지식(heuristic)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디자인 프로세스란 불분명하게 여겨지는 미학적인 접근과 감성을 동반하며. 제작자(designer)-소비자(consumer)-의뢰자(client)의 트라이앵글 안에서 상황이 벌어지기 때문에 명확한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로 인해 정해진 프로세스를 거쳐서 나온 결과물이라도 해도 정답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디자인 방법론이 학문적으로 대두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역사가 오래되고 기능이 중요시되는 건축의 영역에서부터 방법론에 대한 담론이 시작되었는데, 디자인 영역은 시대에 따라 그 관점과 새로운 영역이 계속 파생되고 있어 현재 다양한 연구와 이론이 생성되는 과정에 있다고 여겨진다. 보다 창의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위해서 각 분야별 다수의 디자이너들이 디자인 방법론과 사례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있으며, 관련 문헌들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의뢰인의 업무효율과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 자료들도 관련 협회 등을 통해 배포되며 이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결과물이 아닌 디자인 프로세스, 그리고 그 프로세스를 검토할 수 있는 아카이브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우선 1960년대 후반에 시작된 프로세스 아트의 발생 배경과 아카이브 형태의 현대 미술작품들을 이해하고, 그 현상과 사례를 바탕으로 디자인에서의 프로세스와 관련 디자인 아카이브의 개념과 사례를 고찰한다. 그리고 선행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과 디자인 영역에서의 프로세스와 아카이브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아카이브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작품연구를 위해서는 연구자의 프로세스, 아카이브와 맥락을 같이 하는 선행 작품을 검토하고 총 2차에 걸쳐 이루어진 연구 작품을 제시한다. 논문심사 1차를 위한 연구 작품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다양한 방법론 중 하나인 복제와 참조(copy & reference)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시각 요소를 이용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최종 논문심사를 위한 연구 작품에서는 보다 넓은 범위의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념을 연구자 주관에 의해 도구를 넘어 오브제로 재구성한 작품으로 선보였다. 전시된 작품은 『8개의 템플렛』, 『15개의 알고리듬』, 『20개의 미네모시네 패널과 14권의 책』, 『36개의 도큐멘테이션 』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가 미학적 요소로 오브제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도이다. 이를 통해 전시 프리젠테이션라는 형식으로 아카이빙의 개념을 내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두 차례 작품에서 제시한 작품들은 모두 디자인프로젝트의 프로세스와 아카이브적 개념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기 때문에 디자인의 결과물인 내용(contents)은 생략되고 맥락(context)의 프레임만 존재한다. 작품제작을 통해 프로세스와 아카이브를 순환과정으로 연결 지어 둘의 위치를 동등하게 바라봤으며, 이를 전시장에서 구현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2 C. 연구의 방법 및 사례 범위 4 Ⅱ. 프로세스의 아트와 디자인 7 A. 현대미술의 프로세스 7 1. 프로세스 아트의 발생 7 2. 프로세스 아트 기반 현대미술의 사례와 해석 12 3. 프로세스 아트의 특징 32 B. 디자인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33 1. 디자인 프로젝트의 프로세스의 개념과 특징 33 2. 디자인 관련 기관의 프로세스 사례 44 3. 디자인 프로세스의 특징 60 C. 소결 62 Ⅲ. 아카이브의 아트와 디자인 63 1. 아카이브의 정의 63 2. 아카이브에 대한 선행 이론 65 A. 현대미술의 아카이브 68 1 아카이브 아트의 개념 68 2. 아카이브기반 현대 미술의 사례와 해석 72 3. 아카이브 아트의 특징 97 B. 디자인 프로젝트의 아카이브 99 1. 디자인 프로젝트의 아카이브 개념 99 2. 디자인 프로젝트 관련 아카이브 사례 113 C. 소결 138 Ⅳ. 작품연구 140 A. 선행 작품: 프로세스아카이브와 관련한 작품을 중심으로 141 1. Volume-up 141 2. Text in the Environments proofread my directions 143 3. String Figure 146 4. space/window 147 5. daily abstract 149 B. 선행 연구 작품: copied references, referenced copies - as a process 151 1. Structure of references 153 2. Reflected references 157 3. Keywording 158 4. ISBN 159 5. Reference practice 160 C. 연구 작품: processed archives, archived processes 164 1. 작품제작을 위한 배경 164 2. 8개의 템플렛 166 3. 15개의 알고리듬 170 4. 20개의 미네모시네 패널과 14권의 책 174 5. 36개의 도큐멘테이션 180 Ⅴ. 결론 및 논의 185 A. 전체 결론 185 B. 연구의 의의와 향후 응용 187 C.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87 참고문헌 189 ABSTRACT 1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13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디자인 프로세스를 이용한 시각표현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아카이브 방식을 활용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graphic expression of design process : on the creation with archiving method-
dc.creator.othernameKim, Kyong Ju-
dc.format.pagexiv, 198 p.-
dc.contributor.examiner김인성-
dc.contributor.examiner박수진-
dc.contributor.examiner박제성-
dc.contributor.examiner김보영-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