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3 Download: 0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Title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Group Work for Improving Social Skills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효과성을 평가하여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서대문구 내 A복지관의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통해 참여 신청한 아동 중 연구에 동의한 초등학교 2학년부터 4학년 아동 30명과 그 학부모 30명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 프로그램 과정에서 거주지 이전, 질병으로 인해 아동 5명이 중도 탈락하였으며 25명 아동의 학부모 중 근로 활동 등으로 5명이 참여하지 못해 총 20명의 학부모가 사후 검사에 참여하였다. 최종적으로 아동 25명과 학부모 20명을 대상으로 집단 프로그램의 실시 전, 후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 변화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집단 프로그램은 총 13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척도를 활용한 검사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부모 대상으로 아동행동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를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비모수통계 검증인 Kruskal-Wallis, Kolmogorov-Smirnov와 Wilcoxon signed-rank 검정을 실시하여 사전 동질성과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효과성 평가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 후 사회적 기술의 점수와 각 하위 영역별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램 실시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 한 아동행동평가에서도 ‘사회성’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집단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 한 이후 자아존중감의 점수와 하위 영역에서 ‘자신에 대한 신뢰’와 ‘가족과의 관계’영역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로는 사회적 기술은 각 학년별로도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 한 이후 사회적 기술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4학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른 연구의 논의점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저소득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경험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저소득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집단 프로그램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실천 기술의 경험적 근거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 하위영역 중‘자신에 대한 신뢰’와 ‘가족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 된 연구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 형성에 가족관계의 영향이 높음을 보여준다. 이는 저소득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개입에 있어 사회적 기술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함께 가족 관계의 변화를 위한 개입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효과성이 검증 된 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하며, 향후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과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ceed with group work for improving social skills and self 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Study subjects included 2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0 their parents from low-income families, in grade 2 to grade 4, who use the A-regional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The group work is performed during 13 session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group work through pre and post-tests assessed the social skills and self esteem. Measuring tool was used to target the children'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of and self-esteem scale, with the target parent child behavior rating scales were used. Data collected through this study are disposed by Kruskal-Wallis, Kolmogorov-Smirnov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SPSS win 22.0.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kill-improving influence of the group 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is group work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improving the self-esteem.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the general self-esteem and hom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were enhanced. Third, this group work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each grade. Self-esteem influence of the group 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fourth grad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or improving social skills and self 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had meant to provide a group work for improving social skills and self 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econd,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ocusing on improving social skills and self 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programs, were also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