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조현아-
dc.creator조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1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119-
dc.description.abstract과거 명품 소비는 낭비와 과소비, 졸부의 과시 소비, 계층 간 위화감을 조성하고 비애국적인 소비로 여겨져 비판을 받았다. 이런 도덕적 관점에서 명품 소비가 사회적으로 억제되었다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복제품 소비에 대한 새로운 도덕적 담론이 형성되었다. 시장 개방과 지식재산권법의 제정과 같은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복제품의 유통은 단순한 법적 분쟁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갈등으로 번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 기관과 언론, 학계를 중심으로 복제품 생산과 유통, 소비를 근절해야 하는 행태로, 복제품 소비자는 비윤리적인 소비자로 규정하고 사회 전반이 복제품 소비를 도덕적 관점에서 규탄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명품과 복제품의 소비 과정에 있어 사회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문화적 성향과 도덕적 성향을 축으로 하는 상징적 경계가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상징적 경계와 문화자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문화적 취향과 도덕적 성향이 패션 영역에서의 상징적 경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 그 지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20대 여성 30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20대 고학력 여성들은 명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복제품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명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42.3%로 나타났으며, 복제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15.4%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 행위를 기준으로 명품 구매 여부와 복제품 구매 여부 그리고 명품과 복제품의 소비 유형에 따라 세 단계에 거쳐 집단을 분류하고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소비 유형 집단 별로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보유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소비 유형 집단은 경제적, 문화적 요인의 복합적 작용에 따라 분류된 것으로서, 소비 유형이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격차를 함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소비 유형 집단 별로 패션에 대한 문화적 성향과 도덕적 성향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소비 유형 별로 패션에 대한 관심과 취향이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고 응답자들의 전반적인 도덕적 성향이 소비 유형과 관계없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응답자들은 명품 소비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명품이 사회적으로 공인된 수준의 문화적 기호로 자리잡았음을 의미한다. 반면 복제품 소비에 대한 인식과 태도, 평가는 소비 유형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어 명품과 복제품 소비가 상징적 경계를 구축할 수 있는 영역임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복제품 소비자들은 실제로 도덕적 성향이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비윤리적인 행위자로 평가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명품 소비 집단과 비구매 집단이 복제품 소비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의 주체뿐만 아니라 비소비의 주체도 소비의 상징적 의미의 생산과 소비에 참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명품과 복제품을 함께 구매하는 집단의 경우 계급 위치뿐만 아니라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보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좋은 이미지를 위하여 명품 브랜드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명품과 복제품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제품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서 자유로운 상태로 명품과 복제품의 상징적 의미를 모두 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명품과 복제품 소비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문화적 취향과 도덕적 성향의 상징적 경계 분석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여 관련 분야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체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던 명품과 복제품 소비에 대한 문화적, 도덕적 측면의 성향을 양적 데이터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명품 소비가 한국 사회에서 상징적 위치를 획득하고 있다는 점, 복제품 소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모두에게 공유되고 있지만 차별적으로 인지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명품구매자와 비구매자, 혹은 명품 구매자와 복제품 구매자, 복제품 구매자와 비구매자를 비교하던 기존 연구의 분석 틀에서 벗어나 소비 유형 별 집단을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섬세한 차이들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과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명품과 복제품을 함께 구매하는 집단과 비구매 집단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In the past, a purchase of luxury goods was criticized as it had been regarded as wasting, excessive consumption, conspicuous consumption of nouveau riche, or unpatriotic consumption that fosters disharmony between classes. Though consumption of luxury goods had been socially repressed in such moral senses, a new moral argument on consumption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has arisen since 2000’s. Due to social changes such as market opening and legisl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istribution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became a serious problem that could encourage not only legal conflicts, but also conflicts between countries. Thus government agencies, media, and academia define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s behaviors that had to be ceased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 purchasers as unethical consumers, and the society at large started to denounce consumption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in moral senses. This study focused on the point that a symbolic boundary has been formed around the axis of not only socioeconomic factors but also cultural inclination and moral inclination in the process of consuming luxury goods and their counterfeit goods. Thus it intended to examine how cultural inclination and moral inclination are setting the symbolic boundary between each other in the fashion fiel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symbolic boundary and cultur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on 305 females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in a four-year college, or who graduated from it, this study drew out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ighly educated females in their 20’s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luxury goods while they had a negative perception on luxury counterfeit products. Also, it has turned out 42.3% of the respondents have bought luxury goods, and 15.4% of the respondents have bought luxury counterfeit products. Second, on consumption behavior basis, in accordance with purchase of luxury goods, purchase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and consumption pattern in purchase of luxury goods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three groups were organized throughout three levels. It has turned out the amounts of holdings in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in three different groups classified by consumption pattern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has been verified that consumption pattern group is classified by the effect of a combination of economic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as well as that consumption pattern signifies a gap in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Thir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n whether there is a gap in cultural inclination and moral inclination in terms of fashion between consumption pattern groups, it has been verified that interest and preference in fashion differs from a consumption pattern group to another as well as that moral inclination of the respondents in general has increased regardless of consumption patterns. Fourth, the respondents in general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consumption of luxury goods, which signifies that luxury goods have become a socially approved cultural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consumption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came out differently in each consumption pattern group, presenting that it is a field on which there can be a symbolic boundary between luxury good consumption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 consumption. Fifth, consumers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turned out to be regarded as unethical agents though their moral inclination standard is not actually low. Especially, the luxury goods consumption group and the non-consumption group turned out to strongly criticize consumption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This means not only agents of consumption but also agent of non-consumption are participating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ymbolic meaning of consumption. Sixth, in the case of the group that purchase both of luxury goods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not only their position in class but also the amount they hold in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turned out to be high. Also it is verified that they are strategically using luxury brands to form good images of themselves and selecting symbolic meanings of both luxury goods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without being tied to negative evaluation on luxury counterfeit products since most of people do not distinguish luxury counterfeit products from luxury good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of the related fields by providing new perspective, analysis of symbolic boundary between cultural inclination and moral inclination to preceded studies on consumption of luxury goods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Especial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it empirically proved by examining cultural inclination and moral inclination on consumption of luxury goods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which had not been systematically verified throughout quantitative data, that consumption of luxury goods in Korean society obtained a symbolic position as well as that negative perception on consumption of luxury counterfeit products commonly exists among everyone while their practices differ from each other.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lluminated non-consumption group and consumption group in terms of both luxury goods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which has not been studied until this study as well as that it verified differences in detail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pattern groups classified by details, apart from the standard pattern that compared luxury good purchasers with non-purchasers, luxury good purchasers with luxury counterfeit product purchasers, or luxury counterfeit product purchasers with non-purchas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중요성 1 B. 연구 목표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A. 상징적 경계와 패션 5 1. 상징적 경계 5 2. 문화자본 7 3. 패션과 상징적 경계 10 B. 명품과 복제품, 그리고 상징적 경계 17 1. 명품과 상징적 경계 17 2. 복제품과 상징적 경계 25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론 38 A. 연구 내용과 연구 문제 38 B. 연구 내용의 조작화와 주요 변수 구성 45 1. 명품과 복제품의 정의 45 2. 주요 변수 구성 49 C.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53 D. 설문 대상자의 특성 57 E. 연구 분석 방법 61 Ⅴ. 연구결과 및 해석 62 A. 명품 소비와 복제품 소비에 대한 인식과 전반적인 소비 양태 62 1. 명품과 명품 소비에 대한 인식과 태도 62 2. 복제품과 복제품 소비에 대한 인식과 태도 65 3. 명품 소비: 구매 횟수, 구매액, 구매 품목, 구매 경로 66 4. 복제품 소비: 구매 횟수, 구매액, 구매 품목, 구매 경로 68 B. 소비 유형 별 연령, 계급과 보유 자본의 차이 71 1. 소비 유형에 따른 집단의 구성 71 2. 소비 유형 별 연령, 계급의 차이 72 3. 소비 유형 별 보유 경제자본의 차이 76 4. 소비 유형 별 보유 문화자본의 차이 79 C. 명품 소비와 복제품 소비에서 드러나는 상징적 경계 87 1. 패션에 대한 문화적 성향 87 2. 패션에 대한 도덕적 성향 92 3. 복제품 소비: 일반 복제품과 패션 복제품 104 D. 소비 취향과 행위에서 드러나는 구별짓기의 방식 107 1. 소비 유형 별 명품과 복제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차이 107 2. 명품과 복제품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서 드러나는 구별짓기 109 3. 소비 전략과 명품과 복제품에 대한 안목 113 Ⅵ. 결론 및 논의 117 참고문헌 123 부록(설문지) 131 ABSTRACT 1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96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패션과 상징적 경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대 고학력 여성의 명품과 복제품 소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Fashion and Symbolic Boundary : Focusing on Consumption of Highly Educated Females in their 20’s on Luxury Goods and Luxury Counterfeit Products-
dc.creator.othernameCho, Hyun A-
dc.format.pageix, 154 p.-
dc.contributor.examiner진승권-
dc.contributor.examiner김민지-
dc.contributor.examiner최샛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