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2 Download: 0

직장인 1인 가구를 위한 가사도우미 서비스 앱 디자인

Title
직장인 1인 가구를 위한 가사도우미 서비스 앱 디자인
Other Titles
Service App Design of Housework Supporter for Household of Single Office Worker : Focused on Real time Check Service Control through an Exclusive System
Authors
정유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훈
Abstract
쾌적하고 깔끔한 주거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다.그러나 오늘날 야근과 주말 근무 등 많은 업무에 시달리는 1인 직장인 가구는 집에서 잠만 자고 나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바쁜 업무로 인해 가사 일에 대한 신경을 쓰지 못하거나 쾌적하고 깔끔한 주거 환경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또 기러기 가족, 이혼 등의 증가로 늘어나고 있는 40~50대 직장인 남성 1인 가구나 20~30대 젊은 직장인 1인 가구 역시 가사 일에 대한 경험 부족이나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50대 남녀 직장인 1인 가구의 요구 조사를 토대로 바쁜 업무 등의 이유로 주인이 없는 주거 공간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지더라도 안전하고 정확하게 사용자가 요청한 사항을 진행함으로써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은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1인 가구 및 가사도우미에 대한 정의를 문헌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이미 서비스 중인 유사 서비스 사례 분석을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서비스들은 주로 주인이 있을 때 가사도우미 서비스가 이루어지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더라도 도우미가 제 시간에 도착하여 서비스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둘째, 문헌 조사와 유사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회 요소 도출 후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20~50대 남녀 직장인 1인 가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현재 혼자 거주 중이거나 혼자 거주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선별하여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구축을 해본 결과 ‘전담 도우미 서비스 제도’, ‘사용자 필요에 따른 추가 서비스 선택’, ‘사용자별 기본 요청 사항 설정 기능’, ‘NFC 기반의 실시간 출퇴근 관리 및 실시간 서비스 진행 상황 공유’, ‘각 도우미별 만족도 평가 진행 및 평가 점수 공유’의 5가지 아이디어와 기능이 도출되었다. 이후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1순위 퍼소나와 2순위 퍼소나를 제작하여 퍼소나 기반의 정황 시나리오를 통해 앞서 도출된 기능들이 퍼소나의 요구사항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앞서 도출된 아이디어와 기능을 바탕으로 ‘가사도우미 서비스 관리’라는 서비스 컨셉을 설정하고, 해당 컨셉을 토대로 모바일 앱의 정보 구조 설계와 와이어프레임 방식의 UI 화면을 설계하였으며, 세부 기능을 구체화하였다. 넷째, 현재 혼자 살고 있거나 혼자 살아보았던 경험이 있는 4명의 직장인 1인 가구 거주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용성 평가는 앱의 편리성과 실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5점 척도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전체 평균 3.37점으로 ‘가사도우미 서비스 관리’앱을 통해 전담 도우미의 실시간 출퇴근 정보를 확인하고 서비스 진행 상황을 공유 받음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다는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최종적으로 평가 시에 나왔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토타입을 보완하고 개선 화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집에 없더라도 앱을 통해 전담 도우미의 출퇴근 및 서비스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함으로서 불안감을 줄이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셔츠 다림질이나 냉장고 청소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바일 앱의 서비스와 기능들을 통해 1인 직장인 가구가 해당 모바일 앱 이용 시 보다 만족도 높은 가사도우미 서비스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Living in a comfortable and neat living environment may enhance satisfaction of life. However, nowadays, office workers of single household who are usually suffering from heavy work such as night overtime and weekend duty are not enjoying comfortable and neat living environment while not being able to care about housework due to busy business so much as to be said that home of such workers is nothing but a sleeping place. In addition, households of single male office workers in 40th or 50th or young single male/female office workers in 20-30th being increased by goose family, divorce are said to feel difficulty in leading their life due to lack of experience or time in housework.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a questionnaire for households of single male/female office workers in 20-50th, a method of being able to receive a service having high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by satisfying their requirements safely and correctly was intended to be suggested even though housework supporter service is provided in a residing space without house occupants because of their busy schedule. In this study, first, a definition of single household and housework supporter was explor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its merit/demerit were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similar service cas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n case of existing housework supporter service, it was mainly performed under the presence of house occupants but in case of non-presence of house occupants, a problem that it was impossible to visually confirm whether a housework supporter arrives as scheduled and provides service properly was found. Second, a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by targeting 8 households of single male/female office workers in 20-50th who are presently residing alone or had past experience of having resided alone based on relevant contents after deducing opportunity factors through the result of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of similar cases. As a result of constructing affinity diagram based on the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 5 ideas and functions including ‘exclusive supporter service system', ‘provision of additional selective service items',‘basic requirement setting function by each user',‘NFC-based real time commuting control and sharing service progression status',‘progress of evaluation for satisfaction rating score by each supporter and sharing satisfaction rating score' were deduced. Afterwards, it was confirmed that by configurating 1st ranking persona and 2nd ranking persona based on deduced contents, previously deduced functions through persona-based contextual scenario could well reflect requirement of such persona. Third, based on previously deduced idea and function, a service concept called‘service control of housework supporter service' was established and based on relevant concept, information structure of mobile app and UI screen of wire frame mode were designed and its detailed function was materialized. Fourth, by targeting 4 single household office worker residents us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satisfaction for app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was evaluated based on 5 point scale. As its result, total average score was 3.37 points and real-time commuting time information of exclusive housework supporter was confirmed through‘service control of housework supporter' app and a generally positive opinion that reliability for the service could be increased by sharing service progress status could be confirmed. Afterwards, by reflecting opinion of final evaluation, a prototype was supplemented and improved screen was presente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house occupants could receive efficient and useful service as they could select additional service such as ironing shirts or refrigerator cleaning depending on their requirement without feeling anxiety by checking commuting and service progress status of exclusive supporter in real time through app even though they are not present at home. Through service and function of mobile app being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ingle office worker household could experience service of housework supporter providing more increased satisfaction at the time of using mobile app in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