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00 Download: 0

불국사 대웅전의 조선 후기 불상·불화 연구

Title
불국사 대웅전의 조선 후기 불상·불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uddhist statues ·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sanctuary of Bulguk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김소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Bulguksa(佛國寺) located in Toham Mountain, Gyeongju is a significant temple in addition to the neighboring Seokgulam to present the excellent stone architecture technology in the united Silla period. It reveals an identity of temple as 'the realization of Buddhist world(佛國土)' through the Garam organization to place several department palaces within the temple area. It was also actively discussed due to its possession of a variety of national treasure relics. The Buddhist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discussed in this study were created along with the reestablishment of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in the 17th-18th centur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Imjin Year. The emphasis on the these rel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had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Bulguksa studies on the relics in the 8th-9th century is associated with the space of the placement, a main sanctuary of a temple. The Eastern side of stone platform in which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located is a central area of Bulguksa in terms of the hierarchy of vertical lines and horizontal lines. The majority of the previous studies on Bulgukgsa have assumed that the recent area of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was originally planned for Beopwhayeongyeok(法華領域). This is because Dabo · Seokgatap(多寶 · 釋迦塔) grounded from 「Gyeonbotappum(見寶塔品)」 in the Lotus Sutra(『Beopwhagyeong(法華經)』) exists. However, the document found in Seokgatap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lgulksa in the 11th century as 'Yugaeop(瑜伽業)', not hwaum. It also stated the name of tower 'Mugujeonggwangtap(無垢淨光塔)' and 'Seoseoktap(西石塔)' respectively, which revealed that the name of 'Dabo · seokgatap' appared in the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was newly acquired in a certain period after the 11th century. The change of the tower also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area of Bulguksa might be changed as well.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such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Buddhist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Sojoseokgamoniojonbulsang(塑造釋迦牟尼五尊佛像) placed in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is comprised of 5 Jon(尊), 'Anan(阿難)-Jewhagalla(提和竭羅)-Seokga(釋迦)-Mireuk(彌勒)-Gaseop(迦葉)', which is the only example of Buddhist statue organization. The name can be confirmed by the record from 『Bulguksagogeumchanggi(佛國寺古今創記)』. The organization period can be estimated as the 1660s to integrate the similarities to the Buddhist statues in the 17th century. placed in Hubulbyeok(後佛壁) also shows unprecedented format of a combination of 'wall painting and Buddhist painting(幀畵)', sharing the features of the Buddhist paintings in Geongsangdo area with Imhan(任閑)-style in general. Produced by the support of Hwawanonju(和緩翁主) in 1769, the importance of the Buddhist event can be assumed considering the political authorities of Hwawanonju who was loved by Yeongjo at that time. Gwaneum wall painting found with a wide center-blank from the backside of Hubulbyeok is identified as an iconography of Baekeuigwanuem(白衣觀音) and Eoramgwanuem(魚籃觀音) which are kinds of Byeonwhagwanuem(變化觀音). It was likely to be removed after described as by comparing the paintings of Gwaneumbyeokwha at Jikjisa(直指寺) and Sinheungsa(新興寺). In particular, Eoramgwaneum is identical to the iconography of the tombstone at Jasusa(慈壽寺) established by Manryeokje(萬曆帝) in the Ming Dynasty, and its domestic introduction is confirmed. Therefore, the possibility to be applied to Bulguksa is newly suggested regarding the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The wall paintings of 『Seokssiwonryu(釋氏源流)』 · 『Seoyugi(西遊記)』 to illustrate the life of Seokgamoni and the spread of Buddhist rules are understood as an aspect of topic sharing of the Beopwha relig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neighboring templ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tatues ·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sanctuary of Bulguksa are the elements of Beopwha religion reflected in their forms. The 5 Jon organization of Sugisamjonbul(授記三尊佛) of 'Jewhagalla-Seokga-Mireuk' and the disciple statues of Gaseop and Anan clearly reveals Sugisasang emphasized throughout 『Beopwhagyeong』. In particular, the Bulguksa statue is the only example of Seokgamoni conclusing 'Seolbeopin(說法印)'. It highlights that the main sanctuary of Bulguksa is the place of Yeongsanhoisang in 『Beopwhagyeong』 through Mudra(手印) expressing the moment of Seokga preaching. Moreover, the appearance of Gaseop and Anan placed in the front side in Yeongsanhoisang reveal that they were treated as more special existence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the placed Buddhist statues. The wall paintings also adopted the topics to spread the cannons and to promote the religion for Seokgamoni regarding 『Beopwhagyeon』, such as Eoramgwaneum, 『Seokssiwonryu』, 『Seoyugi』. Assuming that the cause of the emphasized elements of Beopwha religion in the Buddhist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Beopwha religion(法華信仰) which were prevalent at Bulguksa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explored the relevant tendencies. 『Beopwhagyeongyewhanhae(法華經戒環解)』 which was newly distributed in the late Goryo Dynasty was also popular centered on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because the nature of 『Beopwhagyeong』 that underscored the virtues of Suji(受持) · Doksong(讀誦) · Seosa(書寫) corresponded to the religious objectives of the royal fami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Buddhist events continuously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at Bulguksa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related to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this study assumed that the 『Beopwhagyeong』 fashion in the royal family was likely to be result in the prevalence of Beopwha religion at Bulguksa. Furthermore, many poems and sentences by Confucian scholars visiting Bulguksa show the prestige of Bulguksa at that time, and the fact that cannons and Buddhist books published in Gangyeongdogam(刊經都監) were distributed into major temples including Bulguksa and Bulguksa also published 『Beopwhagyeong』 in 1570 and 1574 suggest that Beopwah religion at Bulguksa was in full bloom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ew 『Beopwhagyeong』 fashion was strong enough to change the names of the main hall and towers in the central area of Bulguksa to Daewoongjeon and Dabo · seokgatap. The Beopwha religion at Bulguksa could last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owing to the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It became prevalence with the desire and wish to escape from the secular sufferings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after the war. During the rehabilitation after the war, the Buddhist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sanctuary of Bulguksa were created as iconographies to exceptionally stress Beopwha religion, in spite of sharing topics, forms, styles with other neighboring temples. This is because more active intention to reconstruct the entire areas of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including Dabo · Seokgatap as Yeongsanhoisangjeongto(靈山會上淨土) in which Seokgamony is making a preach. As explained above, the Buddhist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sanctuary of Bulguksa should be re-examined as actual materials to clearly suggest the aspects of Beopwha religion which was prevalent at Bulguksa in the Joseon Dynasty, particularl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Imjin Year.;경주 토함산에 위치한 불국사는 인근의 석굴암과 함께 통일기 신라의 뛰어난 석조 건축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찰이다. 경내에 여러 부처의 전각을 두는 가람배치를 통해 ‘불국토의 구현’이라는 사찰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수많은 국보급 유물들을 보유하고 있어 그동안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대웅전의 불상과 불화들은 임진왜란 이후인 17~18세기에 대웅전의 중건과 시기를 같이하여 제작된 것들이다. 8~9세기의 유물들이 즐비한 불국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이 조선 후기의 유물에 주목한 이유는 바로 대웅전이라는 봉안 장소에 있다. 대웅전이 위치한 석단의 동쪽은 수직·수평적 위계상 불국사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영역으로, 사찰의 창건과 동시에 세워진 두 석탑의 존재가 이를 증명한다. 문제는 9세기 ‘화엄불국’을 표방했던 불국사의 중심영역에 왜 대웅전이 세워졌는가 하는 것이다. 불국사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대부분 현재의 대웅전영역이 창건 시점부터 법화영역으로 계획되었다는 전제 하에 진행되었다. 이는 『법화경』의 「견보탑품」에 전거한 다보·석가탑의 존재 때문이었다. 하지만, 석가탑에서 발견된 탑의 중수문서는 11세기 불국사의 성격을 화엄이 아닌 ‘유가업’으로 규정하는 한편, 탑의 명칭을 각각 ‘무구정광탑’과 ‘서석탑’으로 기록하고 있어, 18세기에야 문헌에 등장하는 ‘다보·석가탑’의 명칭이 11세기 이후 어느 시점에 새로 획득된 것임을 보여준다. 탑의 명칭 변화는 불국사 중심영역의 성격이 변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의 가능성을 전제로 하여, 대웅전 불상·불화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대웅전에 봉안된 소조석가모니오존불상은‘아난-제화갈라-석가-미륵-가섭’의 5존으로, 대웅전의 불상 구성으로는 유일한 예이다. 『불국사고금창기』의 기록을 통해 명칭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 문헌의 내용과 17세기 불상과의 유사성을 종합하여 조성시기를 1660년경으로 추정하였다. 후불벽에 봉안된 <영산회상도> 역시 ‘탱화와 벽화’의 조합이라는 유례없는 형식을 보이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임한의 화풍으로 대표되는 경상도 지역 불화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1769년 화완옹주의 후원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당시 영조의 총애를 받았던 화완옹주의 권세가 상당했던 사실은 이 불사의 중요도를 짐작하게 한다. 후불벽 뒷면에서 가운데 넓은 면이 비어있는 상태로 발견된 관음벽화는 변화관음의 일종인 백의관음과 어람관음의 도상으로 확인되었는데, 직지사와 신흥사 관음벽화와의 비교를 통해 <관음삼존도>로 그려졌다가 후에 지워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특히 어람관음의 경우, 명 만력제가 세운 자수사 비의 도상과 동일하고, 자수사 비 탁본의 국내유입 정황이 확인되므로, 왕실의 후원과 관련하여 불국사에 직접 적용되었을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불법의 전파과정을 보여주는 『석씨원류』·『서유기』 벽화는 주변 사찰과의 교류를 통한 법화신앙적 주제 공유의 한 양상으로 이해된다. 불국사 대웅전의 불상·불화를 더욱 특징적으로 만드는 것은 형식에 반영된 법화신앙적 요소에 있다. ‘제화갈라-석가-미륵’의 수기삼존불과 가섭·아난의 제자상으로 이루어진 5존의 구성은 『법화경』 내용 전반에 걸쳐 강조된 수기사상을 여실히 드러낸다. 특히 석가모니불이 ‘설법인’을 결하고 있는 예는 불국사 상이 유일하며, 석가 설법의 순간을 표현한 수인을 통해 불국사 대웅전이 바로 『법화경』 속 영산회상의 장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 <영산회상도>에서 전면에 배치된 가섭·아난의 모습은 봉안된 불상의 구성과 관련하여 가섭과 아난이 보다 특별한 존재로 다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벽화 역시 어람관음과 『석씨원류』, 『서유기』 등 『법화경』과 관련하여 경전을 널리 유포하고 이를 설한 석가모니불에 대한 신앙을 고취하기 위한 주제가 채택되었다. 이처럼 조선 후기 불국사 대웅전의 불상·불화에 법화신앙적 요소가 강화되어 나타나게 된 원인을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불국사에 성행했던 법화신앙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그 흐름을 살펴보았다. 고려 후기에 새롭게 유통된 『법화경계환해』가 조선 초에도 왕실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는데, 이는 수지·독송·서사의 공덕을 강조하는 『법화경』의 성격이 왕실의 신앙목적에도 부합하였기 때문이다. 조선 초부터 불국사에 지속적으로 이어진 왕실 후원의 불사 대부분이 대웅전과 관련한 것이었던 점을 근거로 왕실의 『법화경』 유행이 불국사의 법화신앙 성행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덧붙여 불국사를 방문한 유학자들이 남긴 많은 시와 문장들이 당시 불국사의 위상을 가늠하게 하는 가운데, 간경도감 간행의 경전과 불서들이 불국사를 비롯한 주요 사찰로 유통되었고, 불국사에서도 1570년과 1574년에 『법화경』 간행이 이루어진 사실은 조선 전기부터 불국사에 법화신앙이 만개하였음을 시사한다. 새로운 『법화경』의 유행은 불국사 중심영역의 불전과 탑의 명칭을 대웅전과 다보·석가탑으로 바꾸어 놓을 만큼 강력한 것이었다. 불국사의 법화신앙은 왕실의 후원에 힘입어 조선 후기까지 이어질 수 있었고, 전란 이후 현세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하는 염원과 지지 속에 한층 성행하게 되었다. 전후 재건의 과정에서 불국사 대웅전의 불상·불화는 주변지역 사찰들과 주제 및 형식, 양식 등을 공유하면서도, 유달리 『법화경』의 요소를 강조한 도상으로 제작되었다. 이는 다보·석가탑을 포함한 대웅전영역 전체를 석가모니가 설법하는 바로 그 순간의 영산회상정토로 재구성하려는 보다 적극적인 신앙의지가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한때 법화신앙의 영향으로 ‘다보·석가탑’의 명칭을 획득했던 불국사의 두 석탑은 조선 후기의 재건에 이르러서는 새로이 법화신앙을 공고히 하면서 이에 부합하는 불상·불화의 제작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국사 대웅전의 불상·불화는 임란 이후 불국사에 성행했던 법화신앙의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실물자료로서 그 가치가 재고되어야 한다. 또한 탑과 관련하여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불국사 법화신앙의 흐름을 파악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