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김미령-
dc.creator김미령-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0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052-
dc.description.abstractThe accommodations of today for traveling and tourism have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etting in various forms such as hotel, guest house, residence, and Air bnb. Even though the accommodation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have increased in number due to the rising number of K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mainly for K-Pop and have spent a substantial amount of effort for facility renewal, the development situation is still considered insufficient. In contrast to such accommodations in the capital area, the tourist hotels in many areas of the countryside are largely inactive due to the old facilities that lag behind the modern days as well as their inability to shed the outdated and mundane image of the past. Nevertheless, a number of tourist hotels in areas with booming tourist industry such as Jeju island and Busan have shown high growth momentum through enhancing customer experience and awareness by facility modernization and image renewal. In many other areas, there are still numerous hotels that have been preserved and are being managed for a long time, and it is of utmost necessity to stimulate such local tourist hotels actively through raising awareness on them. An effective method for this is to develop the brand identi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rea and scene and numerous cases exist to show their positives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local area as well as the revenues. With thorough evaluation of such places, it can be reflected that success has been achieved through showing a sense of identity only appropriate for the particular location, suit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location, rather than through indistinctive renewals that follow the modern standards.;오늘날의 여행, 관광을 위한 숙박시설은 호텔, 게스트하우스, 레지던스, 비앤비 등 여러 형태로 현대배경에 맞추어 확대되어졌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숙박시설은 한류열풍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관광객의 증가 등에 따라 함께 늘어남과 더 나은 시설을 위한 리뉴얼 등 여러모로 힘쓰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반해 지방 곳곳의 여러 지역 관광호텔의 경우, 현대시대에 뒤처지는 노후 된 시설과 과거의 오래되고 고리타분한 이미지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숙박시설과 불균형적으로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제주도와 부산 등 관광산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의 몇몇 관광호텔은 시설 현대화와 이미지 리뉴얼을 통해 소비자의 편의와 인식에 힘쓰고 있으며 큰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 외 많은 지역에도 현재 오랫동안 보존되어 운영되어지고 있는 호텔은 굉장히 많으며 이러한 지역 관광호텔의 인지도를 향상시켜 활성화 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지역의 특성이나 장소성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는 것으로 지역 방문객 증가와 매출 증대의 성과를 이룬 사례들이 있다. 이러한 곳들은 조사하여보면 현대화됨에 따라 특색이 없는 리뉴얼을 하기보다는 장소성과 특성에 맞게 그 장소에서만이 느낄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통해서 성공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행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 장소는 그 장소만의 역사성과 특성, 개성을 살려 브랜딩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역 관광호텔 또한 특색없는 이미지 변화와 시설 보수를 하기보다 보존할 수 있는 것을 보존하고 역사성이 깊은 지역 관광호텔로서 그 역사성과 장소성을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호텔 홍보와 더불어 지역발전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상 장소를 오랜 역사성과 장소성을 가지고 있는 포항 영일대 호텔로 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문헌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태 분석을 위한 자료는 경북지역 일반인과 호텔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상 호텔에 대해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정도와 실태를 파악하는 기초자료가 됨은 물론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위한 컨셉 방향과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은 대에 비해 역사적인 장소성을 가지고 있는 영일대 호텔의 브랜드 이미지가 잘 성립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장소브랜드를 통한 영일대 호텔의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해야하는 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이미지와 직결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살펴보고 영일대 호텔의 브랜드 이미지와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 의견을 심층적으로 조사하도록 한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기업의 정체성과 이미지가 결정됨과 동시 기업의 활성화와 인지도 더 나아가 기업의 더 나은 이윤창출까지 영향을 미치게끔 연계되어 있다. 이처럼 결과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 따라서 소비자가 인식함에 있어 시각적으로 더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영일대 호텔의 역사적 특징의 장소성을 내새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한다. 영일대 호텔의 특색이 잘 반영이 된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통일감을 주어 호텔의 인식 개선과 인지도 향상을 하고자 하며, 이를 통한 포항시의 지역 발전을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2 II. 용어 및 개념의 정의 3 A.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이해 3 1. 브랜드 아이덴티티(Identity)의 개념과 구성요소 3 2.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역할 8 B. 장소브랜딩(Place Branding) 11 1. 장소브랜딩(Place Branding)의 개념 11 2. 장소브랜딩(Place Branding)의 역할 13 3. 장소브랜딩(Place Branding)적용 사례 14 C. 관광호텔의 이해 17 1. 관광호텔의 개념 17 2. 지방 관광호텔 특성과 역할 17 III. 관광호텔 현황 및 유사 사례 분석 19 A. 국내외 역사적 장소브랜드 관광호텔 사례 조사 19 1. 국내 관광호텔 사례 19 2. 해외 관광호텔 사례 29 B. 사례종합분석 36 IV. 포항 영일대 호텔 분석 및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대한 조사 38 A. 포항 영일대 호텔 분석 및 현황 38 1. 영일대 호텔의 역사성 38 2. 영일대 호텔의 시설 현황 39 B. 포항 영일대 호텔 아이덴티티 42 C. 아이덴티티 디자인(Identity Design) 개발에 대한 설문조사 43 1. 설문조사 목적 43 2. 설문조사 대상 선정 및 방법 43 3. 설문지 구성 43 4. 설문조사 통계 및 결과 분석 44 V. 포항 영일대 호텔 아이덴티티 디자인 및 제안 57 A. 포항 영일대 호텔 아이덴티티 디자인 57 1. 아이덴티티 디자인(Identity Design) 개선 방향 57 2. 아이덴티티 디자인(Identity Design) 표현 전략 및 컨셉 59 3. 아이덴티티 디자인(Identity Design) 시안 및 최종 디자인 61 VI. 결론 및 제언 86 참고문헌 86 부록. 설문지 89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279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지역 관광호텔 활성화를 위한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포항 영일대 호텔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lace brand identity design for vitalization of local tourlist hotels. : Around the Hotel Youngildae of Pohang-
dc.creator.othernameKim, mi-ryung-
dc.format.pagex, 103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정-
dc.contributor.examiner박수진-
dc.contributor.examiner권혜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