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하은선-
dc.creator하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8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8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주제 중심 연어 교육이 학습자의 어휘학습에 효과적이며 효율적이다’라는 전제하에 주제별 연어 학습에 효과적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 모형을 위한 방향 구성안과 전체적인 학습 내용 구성 및 흐름도는 어떤 모형으로 설계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어 초급 학습자 대상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에 중점 및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필요한 교수 설계 모형 및 모바일 앱 개발 절차 모형을 선정한 후 다음과 같이 기획, 설계, 개발 및 제작에 착수하였다. 기획 단계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인 주제별 연어 선정을 위하여 김중섭 외(2011)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2단계) 최종보고서의 등급별 주제 목록 개수에 나타난 1급 주제 항목을 기준으로 주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주제에 따라 강현화 외(2012)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발(1단계) 최종보고서의 초급 어휘 선정 목록 중 연어 항목을 비롯 김하수 외(2007)의 연어 항목 등 공신력 있는 연구 자료를 기초 자료로 선택 사용하여 본 연구에 필요한 주제별 연어 목록을 선정 후 제시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주제별 연어 학습에 효과적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 모형을 위한 방향 구성안과 전체적인 학습 내용 구성 및 흐름도를 설계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개발 및 제작 단계에 착수한 후 실제 구현 화면 예시를 비롯한 기능 설계에 따른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습자로 하여금 회원가입 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학습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이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 및 학습 성취도 등의 정보를 검토할 수 있도록 구성, 개별 학습자의 주제별 연어 학습의 효용성 여부 등에 대한 통계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데 초점 및 목적을 두어 <학습> → <활동> → <평가> → <피드백>의 4단계를 거쳐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연어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설계하고자 하였다.;This study set out to make the plans for the basic design model of effective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to focus on the study subject how the overall learning contents and flow chart will be designed, under the premise that 「Education of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is effective and efficient for learners to learn vocabul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esign of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for Korean language beginners. For the purpo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dure model are selected, and then planning, designing, developing, and fabricating are carried out as follows. In the planning process, to select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which is the core of the study, the subject list at the first grade in the number of subject items by grade i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final report of The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Use (Stage 2) by Kim Jung-seob et al. (2011). With the selected subject, reliable references including Collocations List in Selecting Korean Vocabularies for Beginning Learner by Kang Hyoun-hwa et al. (2012) and Collocations List by Kim Ha-su et al. (2007) are used as basic data, and then allocations list according to the subject is suggested. In the designing and developing process, the plans for the basic design model of effective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are prepared and the overall learning contents and flow chart are designed and suggested. In the developing and fabricating process, the examples of actually implemented screen and the direction of functional design are proposed. In particular, in the design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build a database for learners because they have to sign up for a membership, to check learners-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database, and to get statistical data on their respective effectiveness in learning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In addition, it is designed by focusing on that it should make learners do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learners to do a systematic learning through 4 stages like <learning> → <activity> → <evaluation> → <feedback>, and to learn collocations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논문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4 A. 이론적 배경 4 1. 교수설계의 개념 4 2. 연어의 개념 및 주제 중심 연어 학습 12 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념 33 B. 선행연구 고찰 37 1. 연어 교육 연구 동향 37 2. 모바일 기반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 동향 46 C. 연구 문제 51 Ⅲ.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 모형 52 A. 주제 중심 연어 목록 선정 52 B.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 모형을 위한 방향구성안 55 1.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 방향 55 C.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실제 57 1. 개발 환경 57 2. 구현 화면 및 기능 설계 58 Ⅳ. 결론 및 제언 73 참고문헌 76 부록 84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92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 초급 학습자 대상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Basic Design of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for Korean Language Beginners-
dc.creator.othernameHa, Eun Sun-
dc.format.pagevi, 11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678-
dc.contributor.examiner송영빈-
dc.contributor.examiner이미혜-
dc.contributor.examiner김영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