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7 Download: 0

성격의 대표강점과 안녕감과의 관계 및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itle
성격의 대표강점과 안녕감과의 관계 및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Signature Strengths and Well-being and the Effect of Signature Strengths Use Based Intervention on Well-being
Authors
김현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Seligman(2011)이 제안한 안녕감 이론과 성격강점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Seligman(2011)이 제안한 안녕감의 5개 하위요인인 긍정정서, 몰입, 긍정관계, 의미, 성취, 즉 PERMA 모형과 성격강점과의 관계를 다각도로 확인하였다. 특히 삶의 만족도와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격강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성격강점 중에서 고유의 나를 드러내는 대표강점과 강점균형이 안녕감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강점활용이 대표강점과 안녕감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1의 대상자는 대학생 252명이었고, 이들은 성격강점검사, 강점활용척도, PERMA-Profiler 척도 등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성격강점은 삶의 만족도, 안녕감, PERMA의 각 개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초월, 용기, 인간애가 삶의 만족도와 전반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핵심덕목으로 나타났다. 대표강점과 강점균형은 안녕감을 예측하였고 대표강점이 강점균형보다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표강점이 안녕감을 예측하는 과정에 있어 강점활용이 이를 매개하고 있는 부분매개모형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4회기로 구성되었고 매주 1회기씩 90분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2의 대상자는 일반 대학생으로 프로그램에 개입하는 참여집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 두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작 전, 종결 후, 종결 4주 후, 총 세 번에 걸쳐 강점활용, 삶의 만족도 및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프로그램의 효과는 반복측정 변량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강점활용은 통제집단에 비해 참여집단에서 프로그램 참여 이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그 효과는 프로그램 종결 4주까지 유지되었다. 참여집단에서 삶의 만족도와 전반적 안녕감이 프로그램 시작 전에 비해 종결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특히 PERMA 중 성취의 변화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긍정관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긍정정서, 몰입, 의미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검증을 통하여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프로그램이 안녕감 증진에 유용한 개입 방식임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eligman(2011)가 제안한 PERMA 모형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성격강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대표강점뿐만 아니라 강점균형이 안녕감에 있어 주요한 예측변인이고, 특히 강점활용이 대표강점과 안녕감의 과정을 매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여 긍정심리치료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표강점의 활용이 안녕감 증진에 결정적임을 밝혀 일반인의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심리학적 접근이 유용함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주요어 : 성격강점, 대표강점, 강점균형, 대표강점의 활용, 안녕감, 긍정심리치료;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igman’s (2011) well-being theory and character strength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ignature strengths use 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well-being. For this, the research has performed in two parts, study 1 and study 2. In study 1,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the Seligman’s PERMA model, which are Positive emotion (P), Engagement (E), Relationships (R), Meaning (M) and Accomplishment (A), has been explored in various aspects. Especiall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most influential character strengths for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Also examined how well signature strengths, in the sense of ownership and authenticity in Peterson (2006), and the strength balance could predict the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of each individual. Finally, strength deployment mediates the effect of signature strengths on well-being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252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completed the VIA-IS, Strengths Use Scale, Life Satisfaction, and PERMA profiler measurements. The result has shown that most character strength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well-being, and PERMA, respectively. Transcendence, courage, and humanity turned out to be the virtu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and signature strengths and strength balance were shown to predict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Signature strengths contributed more to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relatively than character strength balance. It was shown that strength deploy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ature strength and well-being. In study 2, the intervention program, which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1 and was focused the utilization of signature strengths, was developed and tested its effect on well-being. This intervention is group-based and composed of 4-session. Each session has 90-minutes program per week.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group has completed several assessments, such as Strengths Use Scale, Life Satisfaction, and PERMA profiler in three times; pretest, posttest, and at 4 weeks posttest follow-up.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peated measure ANOVA has been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ength deployment of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has sustained for 4 weeks. Life satisfaction and overall well-being in intervention group had increased after the post program,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Especially, the accomplishment of PERMA has increased notably in the intervention group. Positive relationship has improved significantly, while positive emotion, engagement, and meaning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study 2 proved that the signature strengths use based program has been effective to enhance well-being.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PERMA model of well-being was investigated and the author derived what the character strengths are closely related with well-being. Throughout this work, it was found that signature strengths and strength balance may predict well-being and the strength deployment partially mediates the association with signature strengths and well-being. These findings are very meaningful in theory and practice of positive psychotherapy for well-being and it provid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relevant evidence of 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therapy to improve people’s well-being. The other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proved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signature strength use 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well-being. It could provide the motivation and research direction to develop the effective program for enhancing well-being through the cultivation of signature strengths deployment. Key words: character strengths, signature strength, strength balance, signature strengths use, well-being, positive psycho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