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9 Download: 0

아동의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과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

Title
아동의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과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of Implicit Self-esteem, Explicit Self-esteem,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과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암묵적 자존감은 이중처리모형(dual-processing models)에 기반한 개념으로 자기와 관련된 자동적이고 자발적인 반응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암묵적 자존감과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로 정의되는 명시적 자존감은 개인이 가진 정신병리적 증상과 관련되어 있다고 가정되어왔다. 특히 두 자존감 간의 차이는 자신에 대한 비일관적인 태도로 인해 불안정감을 야기하며,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많은 선행 연구들이 주로 성인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를 확인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 각각 뿐 아니라, 자존감 간의 차이가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과 부모 131쌍으로, 초등학교 2곳과 실험참가자 모집공고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모집되었다. 초등학교에서 실시한 경우에는 컴퓨터실에서 5~6명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연구자와 보조연구자가 함께 실시하였고, 개별적으로 신청한 경우에는 가정에 방문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동에게는 BIAT를 통한 암묵적 자존감이 먼저 실시되었으며, 이후에 NLT, Rosenberg 자존감 척도,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YSR)가 실시되었다. 부모에게는 아동청소년 행동평정 척도(CBCL)를 배부하여 수거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이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이며, 둘째는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이 아동과 부모가 보고한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를 예측하는지 그리고 셋째는 암묵적 자존감과 명시적 자존감 간 불일치의 크기와 방향이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를 예측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자존감을 BIAT로 측정한 경우, 아동이 보고한 내재화 문제에 대해 명시적 자존감의 주효과와 암묵적, 명시적 자존감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이 둘 다 낮은 아동에 비해, 명시적 자존감이 낮고 암묵적 자존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내재화 문제가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자존감 간 차이의 크기와 방향에 대한 분석에서 더 명확히 나타났다. 두 자존감 간 차이가 클수록 내재화 문제가 증가되었으나 차이의 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명시적 자존감이 암묵적 자존감보다 큰 집단에서는 차이가 커져도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암묵적 자존감이 명시적 자존감보다 큰 집단은 자존감 간 차이가 커질수록 내재화문제가 증가하였다. 둘째, BIAT로 측정한 암묵적 자존감과 명시적 자존감 각각이 부적으로 아동의 외현화 문제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묵적 자존감과 명시적 자존감이 낮을수록 아동의 외현화 문제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BIAT를 이용하여 암묵적 자존감을 측정하고 정서행동문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암묵적 자존감을 측정하는데 IAT가 가장 신뢰로운 도구라는 것이 입증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동에게 적용하는 데는 제한이 있었다. 또한 아동의 보고와 부모의 보고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암묵적 자존감 측정치인 BIAT, NLT와의 다른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추후 아동의 자존감에 대한 연구에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BIAT를 사용한 초등학교 아동의 암묵적 자존감과 전반적인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보여준 연구로, 국내에서 아동의 암묵적 자존감에 대한 연구에서 측정 방법과 중요성을 보여주는 발판을 마련하였고, 이를 통해 아동 문제에 대한 예방적 개입과 치료의 방향성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cit self-esteem, explicit self-esteem,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for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implicit self-esteem based on dual-processing models is defined as automatic and spontaneous reactions associated with the self. The implicit self-esteem and the explicit self-esteem defined as the overall attitude on the self have been assu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Because of the inconsistent attitud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self-esteems cause the unstable and it was expected to affect o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Many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been invested the discrepancies and effects for the adults and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implicit self-esteem, the explicit self-esteem, and the discrepancies between both esteems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relevance on the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emotion-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externaliza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hose who have been studied were 5 and 6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131 pairs on student and par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students, the implicit self-esteem with BIAT, NLT, Rosenberg's Self-Esteem test, and the youth behavior rating (YSR)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parents, the children behavior checklist (CBCL) was surveyed. The first topic was to find out the internalization problems,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the total behavior problems can be predicted with the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test results reported by students and parents. The second was to research the internalization problems,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the total behavior problems can be predicted with the amplitude and direction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wo self-esteems. To analyze thes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icit self-esteem measured by BIAT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main effects of explicit self-esteem and the interaction of the two self-esteems for the internalization problems reported by children. In other words, the one who has large discrepancies between the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especially larger implicit than explicit self-esteem showed increasing internalized problems. Second, the externalized problems can be negatively predicted with the implicit self-esteem and the explicit self-esteem as measured by the BIAT for the children. The one who has lower two self-esteems showed the increased externalized problems. I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measuring implicit self-esteem using BIAT and confirming the relevance between implicit self-esteem and emotion-behavioral proble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Despite the IAT has proved the most reliable tool to measure the implicit self-esteem, it has limited to the children, but using the children's reports including their parents', the relevance BIAT and NLT could be identified.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s on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BIAT.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the preventive intervention and the treatment on children and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 in the further study of the self-esteem for the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