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2 Download: 0

중앙행정기관 정보화사업 성과 및 예산의 영향요인 분석

Title
중앙행정기관 정보화사업 성과 및 예산의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formance and Budget of National IT Project
Authors
최정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송희준
Abstract
재정사업자율평가는 정부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 대하여 성과 중심의 평가를 실시하여 재정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해 2005년 일반재정사업을 대상으로 먼저 도입되었다. 중앙행정기관의 정보화사업은 정보화추진위원회(1997년~2003년), 정부업무평가위원회(2004년~2007년)를 거치며 2008년 사업부터 재정사업자율평가에 포함되어 매년 사업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예산을 주관하는 기획재정부에서 정보화사업의 평가를 담당하게 되면서 정보화 관련된 연구기관, 학계, 정부기관 등의 전문가들은 정보화사업에서도 평가결과가 예산에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재정의 효율성과 사업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또한 정보화사업을 담당하는 각 부처의 담당자들은 평가결과가 차년도(t+1) 예산에 반영되기 때문에 성과가 미흡하게 나오는 것에 매우 민감해했다. 특히, 2008년 정보통신부가 해체된 후 국가정보화사업 전반에 대한 힘이 약화된 가운데 성과평가 결과가 미흡할 경우 각 부처의 정보화사업을 담당하는 부서와 담당자들은 큰 난관에 부딪히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정보화사업 담당자들은 어떻게 하면 사업의 성과가 높아지는지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되었고, 재정당국과 함께 정보화사업의 성과평가와 예산편성 등의 업무를 지원하는 관계자들은 과연 정보화사업의 평가결과가 예산에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처럼 정보화사업의 성과와 예산환류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및 예산환류의 연구는 일반재정사업을 대상으로만 실증연구가 이루어졌다. 정보화사업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실증데이터 확보의 한계로 인해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재정사업자율평가로 통합된 후 정보화사업의 성과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평가를 통해 도출된 최종평가등급이 실제로 차년도(t+1) 예산에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성과 위주의 예산제도가 정보화사업에도 운용되고 있는지 증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최종평가점수와 최종평가등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계획의 적정성, 관리의 적정성, 성과 및 환류의 적정성, 이해관계자의 수, 성과지표의 수, 기준연도(t) 예산증가율, 사업지속기간, 계속사업유무, 조직유형, 예산종류, 정책분야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정보화사업의 차년도(t+1) 예산증가율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최종평가등급, 이해관계자의 수, 성과지표의 수, 기준연도(t) 예산증가율, 사업지속기간, 계속사업유무, 조직유형, 예산종류, 정책분야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부·처·위원회에 비해 청에서 추진한 정보화사업의 최종평가점수와 최종평가등급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교육 분야보다는 외교행정경제 분야의 정보화사업의 최종평가점수와 최종평가등급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에서 수행하는 사업은 간접사업보다 직접사업이 많아 상대적으로 성과가 높게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사회복지교육 분야는 최종평가점수나 최종평가등급이 낮을 경우 사업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반대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성과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차년도(t+1) 예산증가율의 경우 계속사업보다 신규사업의 예산감소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교육 분야에 비해 외교행정경제 분야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사회복지교육 분야의 예산이 감소할 경우 이해관계자의 반대가 외교행정경제 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계속사업의 경우는 매년 일정요율에 따라 운영유지보수비를 확보하는 정보화사업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예산을 삭감하기가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보화사업의 최종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계획의 적정성, 관리의 적정성, 성과 및 환류의 적정성은 최종평가점수와 최종평가등급에 모두 (+)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업지속기간이 오래되고 청에서 수행한 사업일수록 최종평가점수가 높았다. 반면 성과지표수는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년도(t+1) 예산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최종평가등급의 경우는 이해관계자수가 많을수록, 계속사업일수록, 사회복지교육 분야사업일수록 등급에 (+)의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에서 설명한 성과 차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년도(t+1) 예산증가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재정사업자율평가를 통해 도출된 최종평가등급(미흡이하, 보통, 우수이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준연도(t)와 차년도(t+1) 예산이 전년대비 100% 이상 극단적으로 증감한 사업을 제외할 경우에도 최종평가등급은 차년도(t+1) 예산증가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교육 분야일수록 차년도(t+1) 예산증가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복지교육 분야의 경우 최종평가등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차년도(t+1) 예산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정보화사업 전체적으로는 평가결과가 차년도 예산에 반영되어 성과예산제도가 운용되고 있지만, 복지·고용·여성·교육 등 사회복지교육 분야의 경우 이해관계자의 목소리가 더 크게 고려되어 평가등급이 낮아도 예산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지난 6년간의 정보화사업 평가의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과 및 예산의 영향요인을 분석한다는 점,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사업 자체의 고유한 특성을 함께 고려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보화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정보화사업의 평가결과가 차년도(t+1) 예산에 환류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정보화사업에서 성과기반의 예산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정보화사업 평가결과의 예산환류 효과를 증명함으로써 향후 정보화사업에 대한 재정 효율성 강화 및 사업의 책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K-PART(Korea’s Program Assessment Rating Tool) was first used in 2005 on the general finance programs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 financed programs and improve their financial efficiency and financial responsibility. The Central Government IT Project has been evaluated yearly, first by the IT Promotion Committee(1997-2003), then by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Committee(2004-2007), and since 2008 it has been included in the K-PART. The fact that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became responsible for evaluation of the IT Project made specialists from research institutions, academic circles and the government believe that linking results of the evaluation directly with the budget would improve financial efficiency and financial responsibility of the program. Moreover, persons in charge of the program in each of the ministries were very concerned with the results being unsatisfactory which would affect their budget for the next year(t+1). Especially after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as dissolved in 2008, the overall influence of the Government IT Project weakened which created several difficulties for the offices and the officials responsible for the program in each ministry in case the Program Assessment Result was unsatisfactory. In such a situation the persons responsible for the IT Project naturally became interested in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gether with budget authorities it wa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evaluation results were actually reflected in the budget. However, despite such a high interest in the effectiveness and the reflux of the IT Project, the only studies on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and the reflux of the program have been empirical studies which dealt only with general finance programs. No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IT Project due lack of any empirical dat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T Project after it had been merged into the K-PART. The study also wanted to analyze whether the Program Assessment Ratings are actually reflected in the next year(t+1) budget, and to verify whether the performance-based budgeting also applied to the IT Project. Firstly, Program Assessment Scores and Program Assessment Ratings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plan propriety, management propriety, evaluation and flux propriety, number of stakeholders, number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 year(t), budget increase rates, program duration, future perspectives, organization type, budget type and policy field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m. Secondly, next year budget increase rate of the IT Project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Program Assessment Ratings, stakeholder number, performance indicator number, base year(t) budget increase rate, program duration, future perspectives, organization type, budget type and policy field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m. The result of the analyses is as follows. Firstly, the Program Assessment Rating and the Program Assessment Score were both higher on the Office level than in case of the Government Ministries and Commissions. Moreover. The Program Assessment Rating and the Program Assessment Score were both also higher in the diplomacy administration economy field than i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field. The relatively high effectiveness of the IT Project on the Office level resulted from a large number of direct programs compared to indirect ones which was in agreem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In case of low Program Assessment Rating and Score i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field, the reason for high effectiveness was caused by a relatively high opposition of the persons responsible of the program. Secondly, in case of the next year(t+1) budget increase rate, the budget reduction rate of new program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inuing programs. Furthermore, the reduction rate was higher in the diplomacy administration economy field than i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field. Such a budget reduction i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field can be contributed to relatively high opposition of the stakeholders when compared to the diplomacy administration economy field. Moreover,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budget of the continuing programs due to the fact that their budget is secured according to yearly rates. Thirdly, the regression model analysis prov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nal outcome of the IT Project were plan propriety, management propriety and result and reflux propriety which all together showed (+) influence in the Program Assessment Rating and the Program Assessment Score. The Program Assessment Scores of the long-lived programs and the programs on the Office level were high. On the contrary, the Performance Indicator Score showed (-) influence. Large number of stakeholders, long life of the program, and belonging to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field showed (+) influence in case of the Program Assessment Scores that were reflected directly in the next year(t+1) budget. Such result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it was explained above regarding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Lastly, the regression model analysis proved that the Program Assessment Rating (unsatisfactory, average, excellent) resulting from the K-PART showed (+) influence in case of the next year(t+1) budget increase rate. Even if the programs where the base year(t) and the next year(t+1) budgets were drastically reduced by more than 10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ere excluded, the Program Assessment Ratings still proved to have high influence on the budget increase rate.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due to the fact that it used empirical data of the last 6 years of the IT Project evaluation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and the budget, while also taking into account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itself. Moreover, it is hop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evaluation system which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 Project. Lastly, the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linkage of the IT Project Assessment Score and the next year(t+1) budget, which also proved that the IT Project budget system based on the effectiveness was effectively administered. Furthermore,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inkage between performance and budgeting of the IT Project Assessment Score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improvement of the fiscal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of the IT Proj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