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규연-
dc.contributor.author김수연-
dc.creator김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3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329-
dc.description.abstract읽기란 글을 읽으면서 글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읽기교육에서는 상호작용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수업은 자신이 구성한 의미를 친구들과 나누면서 의미를 재구성 하는데 효과적인 수업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제안하면서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책읽기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상호작용 수업 보다는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질문 생성 전략이 학생의 인지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치중되어 있다. 학습독서가 시작되는 초등학생들의 읽기 동기와 독해력은 읽기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독서토의 수업에서 질문 생성 전략이 아동의 읽기 동기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학습효과를 높이는 읽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독서토의 수업에서 질문 생성 전략이 아동의 읽기 동기(독자의 효능 범주, 내적 동기 범주)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2. 독서토의 수업에서 질문 생성 전략이 아동의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해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소재한 A초등학교 4학년 63명을 대상으로 질문 생성 전략을 활용한 독서토의 수업을 5차시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전 검사를 통하여 집단의 읽기 동기와 독해력을 검증하였고, 학습자의 질문 생성 전략 5차시 수업 후에 동일집단에게 읽기 동기와 독해력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일표본 t-test를 실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 생성 전략은 학생의 읽기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생의 질문 생성 전략이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호기심을 유발시키면서 학생 스스로 읽기에 집중하는데 긍정정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질문 생성 전략은 학생의 독해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글을 읽을 때 궁금한 내용이나 중요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해 보면서 학생들은 독해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 생성 전략이 아동의 읽기 동기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아동의 내적인 동기 유발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난이도가 높아지는 읽기과정에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질문 생성 전략이 아동의 독해력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아동이 텍스트를 읽고 질문을 만들고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건의 인과관계나 인물의 행동을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다. 이는 글의 중심 내용을 이해하는데 질문 생성 전략이 의미 있는 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7~10명의 소모둠으로 이루어진 연구로 질문 생성 전략 수업을 할 때 교사가 아동의 질문 유형과 질문을 해결하는 과정을 안내하고 피드백을 하였다. 1명의 교사와 다수의 학생중심의 학교 현장에서 질문 생성 전략이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질문 생성 전략의 비중을 높이고 교수 방법을 구체화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구안한 질문 생성 전략 프로그램은 특정 지역 4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한 것으로 모든 학생들에게 일반화시켜 효과를 단정하기는 제한적이며 대조집단 없이 단일집단 연구로 이루어져서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가 아이들에게 질문을 생성하게 하는 활동내용과 교사의 후속질문을 기록하여 학습자의 읽기 동기와 독해력 결과에 대한 원인에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질문 유형 제시와 질문을 생성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수록된다면 읽기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독해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질문 생성 전략이 읽기 동기와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이 이루어졌다. 후속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도출한 질문의 유형을 분석하여 수업 초반에 생성한 질문과 후반에 생성한 질문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질문 생성 전략의 효과검증을 더욱 견고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독서토의 수업은 소모둠 형태로 진행되는 수업이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국어수업 뿐 아니라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독서토론이나 북클럽 수업에서도 질문 생성 전략의 활용이 활성화 되어 학생들의 읽기 동기와 독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ading is a process, during which readers constitute the meaning of a passage. For in-class reading activity, interaction is being emphasized in schools. This is effective for students in the interactive class, where they are encouraged to share and compare their interpretation with others, thus developing the meaning that they understood. In revised curriculum 2015, cultivation of talent for creative and versatile students is proposed and it puts its emphasis on spontaneous and active reading of students. Current activities in school education, however, is focused on reading and understanding given text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Preceding researches about the effects of question-making strategies on student’s cognitive ability focu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for learning star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refor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reading motivation take a very crucial role in their reading process. This research will carefully look at the effect of question-making strategies in reading discussion class 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motivation in elementary grade four students; and discuss how to make reading education have more learning effect. Followings are the research problems. [Research Problem 1] Do question-making strategies for reading discussion class influence students’ motivation - within the category of reader’s efficacy and inner motive? [Research Problem 2] Do question-making strategies for reading discussion class influenc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is research conducted reading discussion classes five times with sixty-three 4th grades tudents i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angcheon-gu, Seoul, utilizing question-making strategies. Research analysis methods are these: the research conducted pre-test to establish the group’s curr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 sand motivation, and post-test was conducted with the same group after the 5th classes with question-making strategies.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a statistics program, SPSS and processed with T-test to find out its statistic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making strategi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ading motivation for the students. Making question for their readings evoked curiosity and confidence for the reading, thus helping them better focus on their reading. Second, the question-making strategi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s they make questions about what they want to know and what they think are important parts of the reading.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y confirming the question-making strategi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ading motiv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nner motivation of the students positively influences their reading process that increases in difficulty as students advance through school. Second, by confirming the question-making strategi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during the process of reading, question-making, and solving they are able to understand and infer cause and effect of events in the readings and how the characters in the readings acted, which is, in other words, question-making strategies are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main point of a reading. Third, this research is conducted with small groups with 7 to 10 students, where the teachers gave classes for question-making strategies, introduced the students with question categories and how to solve questions and gave feedback. This implies that in order for the question-making strategies to be utilized in the school environment where a teacher has many students in one class, textbooks should increase the portion for question-making strategies and the teaching methodology must be specified. Based on these findings above, this research included its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es. First, the question-making strategy program is applied to 4thgradersinacertainelementaryschoolinacertainarea,andithaslimitationingeneralizingtheoutcome. Second, if follow-up researches on presenting adequate question type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and applicability of the question-making method continue and are systemically included in curriculum, reading motivation and increase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learners are expected to follow. Third, this research verified the influence of question-making strategies on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alysis on types of the questions the students made both early in the classes and toward the end of the classes needs to be investigated by following researches. This is expected to support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question-making strategies. Fourth, since reading discussion class is small-group-oriented education, it might not be well used in school environment. Provided wit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however, the question-making strategies for reading discussion can be used not only in Korean class in school but also in reading discussion classes in libraries or book club classes to positively influence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질문 생성 전략 5 2. 독서토의 5 3. 읽기 동기 6 4. 독해력 6 Ⅱ. 이론적 배경 8 A. 질문의 기능과 유형 8 1. 질문의 기능 8 2. 질문 유형 9 B. 질문 생성 전략 14 1. 질문 생성 전략 개념 14 2. 질문 생성 전략 이론 16 가. 능동적 정보처리 이론 16 나. 초인지 이론 18 다. 스키마 이론 19 3. 질문 생성 전략 교수 원리 21 가. 정교화 교수원리 21 나. 과정중심 교수원리 23 C. 통합적 독서토의 모형 26 D. 읽기 동기 28 1. 읽기 동기의 개념 28 2. 읽기 동기의 구성요인 30 E. 독해력 34 1. 독해력의 개념 35 2. 독해 전략의 구성 요소 35 3. 독해 전략 36 4. 질문 생성 전략과 독해력 38 F. 선행연구 39 1. 질문 생성 전략 관련 연구 39 2. 질문 생성 전략과 읽기 동기와의 관계 42 3. 질문 생성 전략과 독해력의 관계 43 G. 연구가설 47 Ⅲ. 연구 방법 48 A. 연구 대상 48 B. 연구 설계 49 1. 실험 절차 49 2. 실험 처치 50 가. 독서토의 프로그램 구성 50 나. 질문 생성 전략 적용 53 3. 차시별 수업 적용 57 C. 연구 도구 60 1. 읽기 동기 측정도구 60 2. 독해력 측정도구 62 D. 자료 분석 방법 62 Ⅳ. 연구 결과 63 A. 기술통계 63 B. 읽기 동기 검사 결과 64 C. 독해력 검사 결과 66 Ⅴ. 결론 및 제언 68 A. 결론 및 논의 68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70 참고 문헌 72 부 록 78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27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독서토의 수업에서 질문 생성 전략이 아동의 읽기 동기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ies on elementary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motivation in reading discussion class-
dc.creator.othernameKim, su yeon-
dc.format.pageviii, 100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66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