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4 Download: 0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Savoring Belie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University students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일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avoring beliefs as a way to enhance a sense of satisfaction with life. Specifically concentrates on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adaptive perfectionism, maladaptive perfectionism, satisfaction with life and savoring belief, then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avoring belie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e subjects were 335 colleg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do.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Savoring Beliefs Inventor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questions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daptive perfectionism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savoring belief. Meanwhil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savoring belief. Secondly, it was proved that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adaptive perfectionism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is means if an adaptive perfectionism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a mediator called savoring belief. Thirdly, it was proved that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is means if an maladaptive perfectionism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a mediator called savoring belie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empirical data to help u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perfectionism tendencies. Because adaptive perfectionism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has confirmed that each has an opposit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life, counselors must perceive that the perfectionism of university students hav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Moreo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avoring belief as well as adaptive perfectionis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satisfaction with life. In other words, the clients who have an adaptive perfectionism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can lead a happy life through savoring belief.;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을 확인하고,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대학생의 완벽주의, 삶의 만족, 향유신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적응적 완벽주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삶의 만족, 향유신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강원 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삶의 만족 척도, 향유신념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 삶의 만족, 향유신념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적응적 완벽주의는 삶의 만족, 향유신념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삶의 만족, 향유신념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적응적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은 경우, 적응적 완벽주의가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향유신념이라는 매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한다. 셋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은 경우,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향유신념이라는 매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이 삶의 만족에 상반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므로, 상담자는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부정적 단일 차원이 아니라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지니는 개념임을 지각한 후 상담과 치료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신의 삶에서 일어나는 긍정적 경험들을 처리하고 음미하며 강화하는 능력에 대한 지각인 향유신념이 삶의 만족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가 그들이 가진 적응적 기능의 자원인 높은 성취에 대한 욕구와 그로 인한 결과를 긍정적으로 음미할 수 있도록 하는 향유신념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