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creat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0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6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087-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최근 유아 한복의 현황을 토대로 유아 한복의 착용 한계점을 고찰한 후, 유아 착용 확대를 위해 유아의 성장치를 반영하여 성장을 고려한 한복 디자인을 제안한 것이다. 의례적인 행사에만 입는 성인과 달리 유아는 명절이나 집안 행사 외에도 교육기관 등에서의 요구로 한복을 입는 경우가 있어 착용 빈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한복 착용 기회마저 축소되고, 유아의 급격한 성장을 이유로 한복 구매는 비경제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복 시장은 고가와 저가로 양분화 되었는데 고가의 한복은 구매자의 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고, 저가 한복의 경우 원가 절감과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만 한복을 생산하다보니 전통 복식의 특징이 크게 훼손되거나 품질이 좋지 못한 한복이 유통되는 결과를 낳았다. 아이들에게 우리 고유의 복식 문화를 통해 전통을 계승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특히 유아기는 한복을 처음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 이 시기의 긍정적 경험이 향후 우리 전통 복식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따라서 유아의 한복 착용을 보다 권장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비용절감의 차원이 아닌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기에 본 연구에서 유아의 성장을 고려한 치수 조절 방법과 이를 적용한 한복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만 3~6세의 유아는 한복 착용 기회가 가장 많은 때이자, 신체의 성장 속도도 가장 가파른 때이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측정한 2004년 인체치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면 이 시기 유아의 신체 치수 변화량은 신장 20㎝, 총장 19㎝, 가슴둘레 6㎝, 화장 9.5㎝, 목둘레 2㎝, 허리둘레 4.5㎝, 엉덩이둘레 8㎝, 허리높이 15㎝, 등길이 3㎝로 큰 폭의 성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자료에 의하면 남아와 여아의 신체 발달은 비슷한 편이며, 유아의 발달 특성상 둘레보다는 길이의 변화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유아의 성장폭이 매우 크므로 지속적인 한복 착용을 위해서는 치수 조절 방법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복을 그 기본 구성인 상의와 바지, 치마로 분류하고, 패턴을 변화하거나 소재를 달리하여 전통 복식의 구성법을 참조하여 치수 조절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패턴에서 치수 조절이 가능한 부분과 가능하지 않는 부분을 나누어 치수 변화량과 조절법을 제시하였고, 광목으로 실물 예를 함께 첨부하여 한복의 구성법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치수 조절이 가능한 구성법을 적용하여 만 3~6세의 성장을 고려한 유아 한복을 남아, 여아 각각 2벌씩 제작하였다. 남아의 한복은 바지 ․ 저고리 ․ 배자 또는 전복형(戰服形) 상의로 구성했으며 여아의 한복은 치마 ․ 저고리 ․ 배자 또는 당의로 구성하여, 총 12점을 제작하였다. 소재는 유아 한복의 특성상 관리의 편의성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오염이 묻어도 쉽게 세탁되는 면과 합성섬유의 모본단을 주 소재로 하였다. 유아 한복이기 때문에 간편하게 한복을 착용할 수 있도록 바지의 경우 허리에는 고무 밴드를 이용하였다. 또한, 저고리에서는 고름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름을 매어진 형태로 고정을 하였고, 스냅 단추로 간단히 여밀 수 있도록 하였다. 깃은 품을 벌릴 수 있는 여지가 있는 목판당코깃으로 하였다. 이렇게 디자인한 작품은 만 3세와 만 6세의 남녀 유아에게 입혔을 때 각기 외관과 치수면에서 적합함을 보였다. 이와 같이 유아의 신체 발달에 따른 의복 치수 변화 방법을 고찰하여, 우리 전통복식에 적용하여 한복 착용 기회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기초로 유아 한복의 착용 확대를 위한 복식 디자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많은 유아들이 아름다운 한복을 오랫동안 입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This paper proposes an adjustable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es) design for infants. The new design reflects value because the adjustable size of each garment caters for infant growth. Through this study, two sets of boys’ clothing and two sets of girls’ clothing have been produced. Currently infants quickly outgrow Hanbok and are only able to wear it for a brief period of time. Unlike adults who tend to only wear Hanbok for ceremonial events such as holidays, weddings or first-birthday parties, Hanbok is commonly viewed as a cultural inheritance for children and an important element of their educational development. Infancy is the period of life in which children will first experience wearing Hanbok and these early life experiences of wearing traditional garments have the capacity to greatly influence individuals’ perception of both Korean traditional dress and culture. Ready-made Hanboks for infants are common and tend to cost less than Hanboks made for adults. Childbirth rituals remain important Korean traditions and Hanbok is a symbolic part of these events that cannot be replaced with modern clothing. However, the meaning of such traditions is gradually fading, and with it, the opportunities to wear Hanbok. Some consider Hanboks for infants to be uneconomical because they are quickly outgrown. They are turning to alternatives such as renting Hanbok, replacing Hanbok with Western clothing or purchasing mass-produced ready-made Hanboks for single use. The focus on economic profit in the Hanbok market has led to a dissonance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Hanbok and a distorted image of the Hanbok. It is evident that a new direction for Hanbok for infants needs to be consider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Hanbok for infants and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hibit infants’ wearing of the Hanbok, it aims to evaluate and suggest new ways to encourage the wearing of Hanbok. Although there are Hanbok designs that encourage utilization already on the market, none of these designs gives systematic consideration to the changing body size of growing infants.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o Hanbok design that allows for adjustment according to a child’s body size and age. Infants have the most opportunities to wear Hanbok between 3 and 6 years of age, a period in which growth rates are fastest. This fact is supported by data from the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in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In 2004, it reported the change in body size of infants during this period as 20 cm in height, 19 cm in clothing length, 6 cm in chest size, 9.5 cm in sleeve length, 2 cm in neck size, 4.5 cm in waist size, 8 cm in hip size, 15 cm in waist height and 3 cm in back length. Their data suggest that the physical development of boys and girls are similar, but there is a noticeable change in length over width during this period of development. The proposed method involves a design for the infant Hanbok that allows for adjustment to the size of each garment. This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ree categories of apparel: top, pants and skirt. Some sections of each garment allow for adjustment in relation body size and some sections of the garments do not. Therefore, physical examples of each garment have been presente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se distinctions. This method was develop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hysical growth and size of infants between 3 and 6 years only. Suits were produced for both boys and girls, each suit comprising three pieces. For boys the Hanbok comprises Baji, Jeogori, Baeja and Jeonbok. For girls the Hanbok comprises Chima, Jeogori, Baeja and Dangui. A total of 12 pieces were produced. Maintenance is obviously an important factor when selecting material for infants’ clothing. Therefore, cotton and Chinese silk polyester, which are both easily washed, were selected as the main materials. Because each Hanbok is designed for infants, elastic was used in the waist of the pants to allow for easy wear. In addition, the breast-strings of the Jeogori (jacket piece) are fixed so as not to come apart, and snap buttons are used to allow for easy adjustment of size. The collar piece allows for increasing circumference. Therefore, each garment has been designed so that they are both suitable in terms of size and appearance when worn by 3-6 year old infants. This paper describes a significant opportunity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rough the review and application of methods enabling the adjustment of traditional infants’ clothing to match their physic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form a basis for an expanding area of research and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of Hanbok for infants. It is hoped that as a result, these beautiful traditional Korean clothes will continue to be part of Korean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3 II. 유아 한복의 현황과 착용 확대 방안 5 A. 유아 한복의 현황 5 1. 유아 한복의 경향 5 2. 유아 한복의 디자인 6 가. 전통한복 7 나. 생활한복 9 다. 퓨전한복 11 3. 유아 한복의 가격 13 B. 유아의 한복 착용 확대 방안 16 1. 성장을 고려한 한복 디자인 16 2. 활용도 높은 한복 디자인 18 III. 성장에 따른 치수 조절 방법 21 A. 만 3~6세 유아의 체형과 신체 발달 21 B. 성장에 따른 한복 치수 구성법 23 1. 상의 24 가. 기준 치수 24 나. 조절 부위 25 2. 바지 31 가. 기준 치수 31 나. 조절 부위 32 3. 치마 35 가. 조절 부위 35 IV. 디자인 제안 39 A. 제작의도 및 방법 39 B. 작품해설 42 1. 작품 1 42 2. 작품 2 60 V. 결론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17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만 3~6세 유아의 성장을 고려한 한복 디자인 제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proposal for Hanbok desig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the infants between 3 years and 6 years-
dc.creator.othernameKim, Hye Jin-
dc.format.pagexi, 85 p.-
dc.contributor.examiner김소현-
dc.contributor.examiner이은진-
dc.contributor.examiner홍나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