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숙연-
dc.contributor.author김예슬-
dc.creator김예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6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0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tarts from a research question that focusing on the dimension of awareness is required to establish efficient and influential policies. All of human activities occur when mediated by subjective recognitions and value structures of individuals. The problems of human behaviors in the society and the relevant fundamental policy problems can be regarded as issues intervened by values and attitudes. Therefore, to appropriately comprehend policy problems and present suitabl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problems,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awareness frames related to the issues is required as well. Moreover, since the attitudes of members of a society toward policy issues affect the ways of forming and enacting policies and affect a number of behaviors (ex. the rate of institution use) that determine the effectualness of a policy, which leads to give influenc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Based on the hypothesis abo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onstructing effective work-family balance policies by examining the phenomenal levels of gender role attitudes (the attitude toward male breadwinner ideology and the attitude toward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which is the awareness frame related to the issues of work-family balance and analyzing the factors to cause the changes of the gender role attitudes. Also, based on the discussion of neo-institutionalism in which recognitions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can vary according to institutional contexts of each count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sociocultural and policy contexts affected the construc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by comparing the gender role attitudes and its determinatives in Korea, the United states, Sweden from different gender regimes. Event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olicies of work-family balance in Korea by comparing the awareness frames of the three countries with different responses while facing the common pressure in a basis of distinguished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individual)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forma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Second, do the influences of each factor that affects the gender role attitudes vary according to the sub-dimensions of the gender role attitudes (the attitude toward male breadwinner ideology and the attitude toward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Thir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ender role attitudes in Korea, the United States, Sweden? Fourth, do the influences of each factor that affects the gender role attitudes vary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contexts (by country)? Fifth, what are the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above for the work-family policies? The data from 「An investigation on 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in 2012 by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ISSP) that provided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data on the public recognitions and attitudes from 37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Sweden was utilized for empirical analysis. SPSS 20.0 was also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conducting the ANOVA to verify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role attitudes by country, this study performed multi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determinatives of the gender role attitudes in Korea,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influences of the individual factors by country.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s toward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were more conservative than the attitudes toward male breadwinner ideology in Korea, the United States, Sweden. Accordingly, it was analyzed that the fundamental reasons of the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were originated from the awareness delay in which the recognitions on the role-sharing in the public sector were rapidly accepted while the recognitions o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private sector remained at the traditional level. Thus, the introduction of policies to promote the awareness changes of the private sector is recommended for the fundamental solution of the work-life balance problems. Second, in the case of Korea, it was revealed that child-caring service without the securement of the quality of service would not have appropriate effectiveness since the attitudes toward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of women was highly conservative. The traditional attitudes of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were likely to lead women to voluntarily restrict themselves to homes or remain in the marginalized part of labor market. Therefore, offering high-quality caring service is necessary for women to guarantee the sufficient attention and care for their children while pursuing the opportunities of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female workforce. In addition, the easy accessibility to caring service should be enhanced by securing the sufficient number of caring facilities. Third, as a result from comparing the gender role attitudes in Korea, the United States, Sweden, it was found that Sweden formed the most modernistic gender role attitudes in which gender-sharing orientation was clarified and policies to support the work-family balance for both genders (ex. Universal caring service, father quarter) were actively adopt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gender perspective internalized in the policies could reproduce or transform (Daly, 2000: Lee Dong-sun, 2013 recitation) the existing gender relations.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the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dopted without the intervention for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are likely to act as ‘gender trap’ to reinforce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within a family and force women to endure the disadvantages from workplaces by bringing the gendered institution use.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ies with the de-gendered principles from the gender-integrated perspective should be designed.;본 연구는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인식의 차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한다. 인간의 모든 활동은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 및 가치구조를 매개로 하여 일어난다. 따라서 사회에 존재하는 인간 행위에 관한 문제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책문제들은 근본적으로 가치와 태도 등이 개입되어 있는 문제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고 문제해결에 적합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 인식지형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원들의 정책 이슈에 대한 태도는 정책의 형성 및 집행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정책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수많은 행위(ex. 제도 이용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제 아래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 문제와 관련된 인식지형인 성역할 태도(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와 모성박탈 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의 현상적 수준을 파악하고 성역할 태도의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일-가정 양립정책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의 인식 및 태도가 각 국가들의 제도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신제도주의적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서로 다른 젠더레짐에 속하는 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와 성역할 태도 결정구조를 비교해 봄으로써 사회문화적·정책적 맥락이 성역할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형성해 온 서로 다른 제도적 배열(institutional arrangements)을 바탕으로 일 가정 양립문제라는 공통의 압력에 직면하여 서로 다른 대응을 보이고 있는 세 국가의 인식지형 비교를 통해 한국의 일-가정 양립 정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가 답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성역할 태도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들의 영향력이 성역할 태도의 하위차원별(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 모성박탈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로 달라지는가? 셋째, 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들의 영향력이 제도적 맥락에 따라(국가별로) 달라지는가? 다섯째, 이상의 결과가 일-가정 양립 정책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한국, 미국, 스웨덴을 포함한 37개 국가 국민들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국제 비교 자료를 제공하는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이하 ISSP)의 2012년도 「가족과 성역할 변화(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에 관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SPSS 20.0을 활용하였으며, 각 국가별 성역할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후 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 결정 요인과 개별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의 국가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 국가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미국, 스웨덴에서 모두 모성박탈 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보다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일-가정 양립 갈등의 근본적 원인이 공적영역에서의 역할 공유에 관한 인식은 빠르게 수용되고 있는 반면 사적영역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은 전통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인식의 지체현상에 있으며 따라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사적영역에 대한 인식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의 도입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의 경우 여성의 모성박탈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가 매우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의 질이 확보되지 못한 보육서비스는 효과를 갖기 힘들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의 모성박탈이데올로기에 대한 전통적인 태도는 여성으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자신의 영역을 가정으로 한정시키거나 노동시장의 주변부에 머물게 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여성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여성이 경제활동 기회를 추구하는 동안 자녀가 충분한 관심과 보살핌을 받는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양질의 돌봄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그와 더불어 적정한 수의 보육시설 확보를 통해 보육서비스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 또한 높여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 공유적 지향을 명확히 하고 남녀 모두의 일-가족 양립을 지원하는 정책(ex. 아버지 할당제)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스웨덴이 가장 근대적인 성역할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이 내재하고 있는 젠더관점이 기존의 젠더관계를 재생산 혹은 변형하는(Daly, 2000: 이동선, 2013 재인용)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성별분업구조에 대한 개입 없이 추진되는 일-가정 양립 정책은 성별화된 제도 이용을 가져와 가족 내 성역할 분업을 강화하고, 여성으로 하여금 직장 내 불이익을 감수하게 하는 ‘젠더함정’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젠더통합적 관점에서 정책이 설계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7 A. 성역할 태도 7 1. 성역할 태도의 개념적 논의 7 2. 성역할 태도 국제비교 20 B. 성역할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 27 1. 성역할 태도를 독립변수로 본 연구 27 2. 성역할 태도를 종속변수로 본 연구 38 3. 성역할 태도의 영향요인 48 Ⅲ. 연구의 설계 57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57 B. 연구가설 60 C. 변수설정 64 1. 종속변수 64 2. 독립변수 64 D. 분석방법 6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1 A. 표본의 특성 71 B. 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 영향요인 분석 75 1. 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 비교 75 2. 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 영향요인 비교 81 Ⅴ. 결론 99 A. 연구결과의 종합 99 B. 정책적 함의 102 C. 연구의 한계 105 참고문헌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94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 미국 스웨덴의 성역할 태도 영향요인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일·가정양립정책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tors of gender role attitudes in Korea, the United States, Sweden : focusing on the implication for work-family balance policies-
dc.format.pagevii, 133 p.-
dc.contributor.examiner조택-
dc.contributor.examiner최유진-
dc.contributor.examiner원숙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