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사회적기업 내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 연구

Title
사회적기업 내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orkers in the social enterprise
Authors
최선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employed in the social enterprises by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fact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at this is an empirical research,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confirms how they actually recognize the organization and what organization factors mor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For this, I attempted to look into the effect LMX and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hav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orkers. The research subject was the disabled workers employed more than one month in the social enterprises. I collected the data from March 8, 2016 to May 13 and a total of 136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In regards to the data analysis, SPSS 23.0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ose of major variables. Also,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variables and to analysis multicollinearity. In addition,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LMX,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on the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Finally, for verification of mediated effects, a three-stage verification procedure of the mediated effect and Sobel test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LMX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quality of the disabled workers with their leader, th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ly,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at is, as they more recognize the value of their efforts and contributions as well as considering more of their received welfares in the social enterprise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had. Thirdly, the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orkers and it also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MX.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ly, as to the policy implications, the obstructive factors that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 workers and the leader should be identified and methods to provide channels for free communication should be introduced. Also,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trategy which can raise the job quality of the disabled workers is required which can be realized through implementing the support system designed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orkers in the social enterprises. Secondly, from the organization management standpoint, both the leader and the disabled worker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Especially, the leader is required to manage the organization by recognizing and supporting their values as well as communicating in a clear manner so that the positive and consistent interaction can take place with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leader should not spare the encouragement and praises to the disabled workers and should raise their welfare standards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can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members. Lastly, it is necessary to build trust by establish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disabled workers through clear communication.;본 연구목적은 조직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적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의 직무만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기존연구와 차별화하여 사회적기업 내 장애인근로자가 실질적으로 조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어떤 조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볼 수 있는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조직공정성 및 LMX와 조직지원인식이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회적기업에서 1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 근로자로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 8일 ~ 5월 13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총 136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조직공정성, LMX,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와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MX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장애인 근로자와 리더와의 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직무에 만족감을 느낀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 근로자는 사회적기업에서 자신의 노력과 공헌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고, 배려를 받는다는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이 LMX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 근로자에게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은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LMX와도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장애인 근로자와 리더간의 높은 교환관계는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임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적기업 내 리더와 장애인 근로자 간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자유로운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리더와 장애인 근로자는 서로 간의 관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특히 리더는 그들의 가치를 인정하며 존중하고 동시에 명확한 의사소통으로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지원인식을 높여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관리 측면에서의 개입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사회적기업 내 장애인 근로자들의 노력에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이들의 복지 수준을 높여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조직차원의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적기업은 장애인 고용 중심 기업으로써 조직 자체 내에서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특히 정부차원의 근본적인 조직지원이 선행되어야할 것이다. 따라서 근로지원인 제도뿐만 아니라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지원 제도들을 활성화하여 사회적기업에 도입함으로써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의 질의 수준이 높아질 수 있는 법적, 제도적인 보완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