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9 Download: 0

A Study on Compositions by Soojin Lee

Title
A Study on Compositions by Soojin Lee
Other Titles
이수진의 작품연구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Michael Sidney Timpson
Abstract
This article is a study on compositions written by Soojin Lee. Compositions discussed in this writing are Light for Piano and two Percussion (2015), Disparate Fanfares for Brass Quintet (2015), Doors-Miniatures Suite for Saxophone and Contrabass (2014), Wall for solo Clarinet (2015), and Three Songs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2015). All pieces were premiered on 27th November 2015 in Soojin Lee's graduation recital held in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intentions and compositional methods of Soojin Lee's compositions. Light for Piano and two Percussion (2015) embodies two different images of lights. To describe the images of light with timbre, various kinds of pitched and unpitched metal percussion instruments were mainly used along with piano. The first movement, "Illuminant," expresses a scene of a dark space being lightened up. Such scene was depicted with various timbres obtained from extended techniques of Vibraphone. This movement is intended to be flexible in its rhythm. Thus, small scale aleatorism and graphic notation was adopted. The second movement, "Sparkle," depicts an image of sparkling object by continuing variations of theme a, b, and c. Such image of light is expressed with unpredictably shifted accents of the themes. Disparate Fanfares for Brass Quintet (2015), is a suite of four fanfares. In order to let audience focus on shifts of sounds on stage, specific stage configuration that places the instruments far away from each other was appointed. Use of unpitched sounds of extended techniques such as air sound and mouthpiece pop can be understoo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uggestion," the first piece of this suite. The second piece, "Limitation," is a piece composed with only five notes: D, F, A, C#, E♭. Rhythm patterns and its variations, along with drastic dynamic changes can be perceived a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is piece. In "Augmentaion," the third piece of this suite, augmented chords and notes with augmented durations play main role, as implied in its title. The last piece, "Standardization," intentionally repeats recognizable melodies, letting the audience predict music while listening. This last piece best fits the common concept of a fanfare. Disparate Fanfares begins abstract with its first piece but gradually becomes less abstract and accessible as it flows. Such formation of this suite is reflected in the form of "Suggestion," which starts with unpitched sounds but develops into accessible melody in its ending. Doors-Miniatures Suite for Saxophone and Contrabass (2014) is a suite composed of four miniatures and three interludes. While three interludes share mutual theme, four miniatures embody different kinds of emotions such as tension, strain, comic, and static. Imitation between two instruments is shown throughout the suite for several times, adding unity to the suite. Wall for solo Clarinet (2015) is a through-composed piece that bears several emotions a protagonist feels when he faces a indestructible wall inside of him. Several Clarinet extended techniques such as air tones, key clicks, and multiphonics are used to create various timbres that symbolize the emotion the protagonist bears. Though through-composed, constituents of pieces are grouped and constructed in a way that can express the image of anger piercing through the wall of the protagonist. Three Songs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2015) is a suite of songs that adopt three different poems as its lyrics. Adopted poems are Feelings by Irish poet Spike Milligan (1918~2002), Daddy Fell into the Pond by British poet Alfred Noyes (1880~1958),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 by American poet Robert Frost (1874~1963). All of the songs are through-composed, following the flow of the poem. With various timbres and harmonies, inherent scenes and emotions of the poems are expressed more clearly. In order to reveal the emotions that lie between the lines, interludes were inserted. In conclusion, analyzing five compositions of Soojin Lee reveals the composer's various musical experiments on expressing diverse images and emotions with music. Among all, utilizing diverse timbres produced from various extended techniques can be understood as characteristic tendency that Soojin Lee has.;본 논문은 이수진의 두 명의 타악기 주자와 피아노를 위한 (2015), 금관 오중주를 위한 (2015), 색소폰과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소품 모음곡 (2014), 솔로 클라리넷을 위한 (2015), 소프라노와 챔버 앙상블을 위한 (2015)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각 작품의 작곡 의도를 밝히고, 그 의도가 음악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첫째, 두 명의 타악기 주자와 피아노를 위한 (2015)은 서로 다른 형태의 빛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악기의 음색으로 빛을 표현하기 위해 금속성의 타악기 음색을 주로 사용하여 작곡되었다. 첫 악장 에서는 어두운 공간이 한줄기 빛으로 인해 환해지는 인상이 비브라폰의 특수주법을 통해 얻어지는 다양한 음색을 중심으로 표현되었다. 이 악장은 연주자들로 하여금 연주 시에 해석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도형악보와 소극적 우연성 음악의 특징을 차용하여 작곡되었다. 두 번째 악장 은 상대적으로 동적인 빛의 모습인 '반짝임'을 묘사한 것으로, 주제 a, b, c가 끊임없이 변주되며 이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제의 강세는 주제가 끊임없이 변주됨에 따라 예측할 수 없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강세의 움직임은 물체의 반짝임을 묘사한다. 둘째, 금관 오중주를 위한 (2015)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네 개의 팡파르로 구성된 모음곡이다. 이 곡은 연주 시 무대에서 다섯 악기를 넓게 배치하도록 지시되어 있는데, 이는 청자들이 무대에서 펼쳐지는 소리의 이동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첫 곡 에서는 금관악기의 특수 주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조음으로 짜여진 생경한 질감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곡 은 다섯 개의 음(D, F, A, C#, E♭)만으로 작곡된 팡파르로, 변화하는 리듬과 극적으로 지정된 셈여림에 집중하여 작곡되었다. 세 번째 곡 은 긴 음가로 연주되는 증화음의 선율을 통해 음악의 ‘확장’에 집중하여 쓰여진 곡이다. 마지막 곡 은 가장 정형화된 형태를 가진 팡파르로, 기억하기 쉬운 선율을 의도적으로 반복하여 청자가 능동적으로 음악을 예측하며 감상할 수 있게끔 한다. 조음으로 시작하여 각인될만한 선율로 이어지는 이 모음곡의 구성은 첫 곡 의 구성을 통해 암시된 것이다. 셋째, 색소폰과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소품 모음곡 (2014)은 네 개의 소곡과 세 개의 간주곡으로 이루진 모음곡으로, 네 개의 소곡은 각기 다른 심상(긴장, 불안, 익살, 정적)을 표현한다. 반면 세 개의 간주곡은 통일된 주제에서 각각 발전 된 것이다. 여러 곡에 걸쳐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악기간의 모방기법은 모음곡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솔로 클라리넷을 위한 (2015)은 자유형식의 곡으로, 곡의 주인공이 자신 내면의 벽 앞에서 느끼게 되는 여러 감정들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인공의 정서는 클라리넷의 특수주법을 통한 다양한 음색으로 표현되었다. 통절형식으로 작곡되었지만, 악절마다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에 따라 악절의 순서를 조합하여, 벽으로 막아 외면하고 싶지만 통제 할 틈 없이 비집고 나오는 내면의 감정이 구조적으로 표현되었다. 다섯째, 소프라노와 챔버 앙상블을 위한 (2015)은 아일랜드의 시인 스파이크 밀리건 (Spike Milligan , 1918~2002)의 시 , 영국의 시인 앨프리드 노이스(Alfred Noyes, 1880~1958)의 시 ,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 (Robert Frost, 1874~1963)의 시 를 가사로 인용하여 작곡된 세 개의 가곡모음이다. 각 곡은 가사의 흐름을 따른 통절형식으로 작곡되었으며, 시가 가지고 있는 감정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집중하여 작곡되었다. 작곡하는 과정에서, 시가 함축하고 있는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간주들이 삽입되었다. 이와 같이 이수진의 다섯 작품을 통해 다양한 인상과 감정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려는 작곡가의 시도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여러 악기들의 특수주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채로운 음색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이수진의 경향을 파악 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