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문기연-
dc.creator문기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5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20-
dc.description.abstract디지털 콘텐츠 마켓플레이스의 일종인 앱스토어는 애플 앱스토어의 성공을 바탕으로 눈부신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흔히 스마트폰으로 불리우는 모바일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영화, 뮤직비디오, 만화 등의 콘텐츠 거래가 이루어지는 인터넷 서비스 공간이다. 모바일 시장에서 음성통화만 사용하는 인구는 2009년 대비 15% 감소한데 비해 각종 모바일 미디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40.7%로 6.6% 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혀지고 있으며, 2020년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수가 1천만개에 달하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인터넷 시장규모만큼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될 만큼 잠재력 있는 시장이다. 모바일 앱스토어의 고도화 전략을 세우기 위해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선례를 살펴보면, 마켓 규모의 확장과 검색엔진의 발전에 의해 아키야마 류헤이는 일반적인 구매과정으로 여겨지던 AIDMA 모델에 홀리스틱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참여와 공유라는 과정이 포함된 AISAS 모델을 주창한 바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검색 경험이 성숙해짐에 따라, 기존의 사용자가 단순 검색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던 수많은 상품 정보 중에서 자사의 상품을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으며, 실제로 아마존, 핀터레스트 등 많은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에서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를 새롭게 구축하거나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과의 연동을 통한 소셜 큐레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 역시 이러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일반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와 유사한 고도화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앱스토어 사용자 12명을 대상으로 에스노그래피 인터뷰를 진행하여 앱스토어에서 애플리케이션, 음악, e-book 등의 콘텐츠를 구매할 때 구매결정 요인이 되는 항목 및 현재 스토어의 디스커버리 경험 조사를 통한 장애요인,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스마트폰 사용 경험이 성숙함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 초기에 나타나는 앱스토어의 비목적성 탐색은 감소하고, 대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대면으로 받은 지인의 추천이 트리거가 되어 앱스토어에 진입하고 이를 구매한다고 응답하여 스토어 내에서 별도의 플랫폼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미 소셜 큐레이션이 진행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 콘텐츠 별로 디스커버리 방식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아직 단말에서의 환경이 최적화 되어있지 않고 서비스 성숙도가 낮은 서비스라는 점에서 기인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중심의 앱스토어를 디자인하였고, 이렇게 사용자의 디스커버리 경험을 증대하기 위해 제시된 새로운 앱스토어가 기존의 앱스토어에서 발견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얼마나 충족시킬 수 있는 지,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UX전문가 리뷰를 진행했다. 사용자가 화면을 보며 새로운 기능과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는 Thinking Aloud Protocol 을 이용했고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중심의 앱스토어에는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달리 꼭 지인들과 관계를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콘텐츠를 중심으로 취향이 비슷한 사용자를 묶어주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주변 사용자 행위 중심으로 콘텐츠 디스커버리가 일어나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활동을 보다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셋째, 사용자의 리뷰를 중심으로 큐레이션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앱스토어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리뷰가 우선시되며, 이를 위해 작성이 용이한 정보구조로 개편이 필요하다. 넷째, 이미지의 퀄리티가 앱을 고르고 구매하는 기준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앱스토어의 정보구조 및 인터랙션 역시 앱스토어의 평가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앱스토어 운영 시 콘텐츠 정보의 퀄리티를 지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관리해야 하며 이를 위한 별도의 가이드가 필요하다. 다섯째, 소셜 큐레이션 기능이 강화되더라도, 목적성 방문자의 경우 자연어 검색 및 유사검색결과 등 고도화된 검색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앱스토어 뿐만 아니라 향후 판매자와 플랫폼 사업자 중심의 오픈 마켓 플레이스에서 유효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중심의 스토어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The App Store that is a kind of digital contents marketplace is showing dazzling growths based on success of Apple app store, and it is the Internet service space where contents transactions such as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 in mobile terminals called Smart phone commonly, movies, music videos, and comics etc. The population of voices calls in the mobile market was decreased 15% vs. the year 2009, but it was brightened up that people of using all kinds of mobile medium was increased 6.6% with 40.7%. And it is a market having potentiality to the extent of expecting that mobile application market would be enlarged to Internet market scales while application numbers of the mobile are reached to 10 million in 2020. If reviewing precedents of on-line marketplaces for setting up upgrading strategies of mobile App stores, Akiyama Ryuheyi has advocated AISAS model that contained participation and sharing through ‘holistic communication’ to AIDMA model that has been considered as general purchasing processes, indebting to expansion of market sizes and developments of search engines. As search experiences of users become mature in this way, marketing strategies of letting own products exposed to users among a great number of product information that can be approached through simple searches by existing users have been upgraded gradually, and many on-line marketplaces such as Amazon and Pinterest etc. established such social networks newly, or social curation by linking with Facebook, a representative social network service. This study forecasted that upgraded social curation services similar to common on-line marketplace would be necessary to application marketplaces too based on such growths, and processed ethnography interviews objecting to App store users, and then analyzed obstacles and requirements through discovery experience investigations in current stores together with purchasing decision factors when buying contents such as application, music, e-book etc. at the App stores. As results of the survey, this study grasped a fact that aimless searches of App store shown in the early stage of Smart phones were decreased because using experiences of Smart phones became mature, and respondents answered as purchasing it by entering into App store after social network services or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became triggers. Also, differentiated figures of discovery types by contents were appeared, and this figure could be seen as being derived from the fact that terminal environments have not been optimized yet, and service maturity was low.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esigned App store focusing on social curation services, and progressed UX expert reviews in order to investigate about how much new App store having been suggested to enlarge discovery experiences of users in this way could satisfy user’s requirements that were found out from existing App store, and which problems would be occurred. This study used Thinking Aloud Protocol in which users heard new functions and situations while looking at the screen, and could express own thought and feeling on it, and the result was same as follows. First, App store centering on social curation services need not form relations with acquaintances certainly differently from existing social network services, and it is expected that binding users who had similar tastes focusing on contents would be effective. Second, plans have to be made so that activities of various users could be recognized more visually because contents discovery is happened centering on behaviors of surrounding users. Thirdly, as the curation was made centering on user reviews, detailed and correct reviews are prioritized, and reorganization to easy information structures is necessary for doing so. Fourthly, the study could know a fact that information structures of App store and interaction are also operated with evaluations bases of App store same as App selecting and purchasing standards by image qualities. Therefore, the quality of contents information has to be managed consistently when operating the App store, and separate guidelines are required for doing it well. Fifthly, upgraded searches such as natural language search and similarity search result etc. shall be provided in case of purposive visitors, even though social curation functions are strengthened. This study could be said as having a meaning in that it proposed information-centered store that is wanted by effective users in open-marketplaces centering on platform operators together with future sellers in addition to App sto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구성 2 Ⅱ. 디지털 콘텐츠와 앱스토어 4 A. 디지털 콘텐츠 4 1. 디지털 콘텐츠의 정의 4 2.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 5 B. 앱스토어 6 1. 앱스토어의 정의 6 2. 앱스토어의 유형 7 3. 앱스토어 시장의 현황 9 Ⅲ. 애플리케이션 큐레이션 서비스 11 A. 소셜 큐레이션 11 1. 디스커버리와 큐레이션 11 2. 소셜 큐레이션 14 B. 앱 큐레이션 서비스 23 1. 앱 큐레이션 서비스 23 2. 앱 큐레이션 서비스 사례 24 Ⅳ. 앱스토어 사용자 구매행동 연구 27 A. 앱스토어 구매 경험 조사 27 B. 앱스토어 구매 경험 분석 결과 31 Ⅴ. 앱스토어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제안 38 A.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중심의 앱스토어 디자인 제안 38 B. 사용성 평가 40 C.평가 결과 42 Ⅵ. 결론 및 제언 44 A. 연구의 결론 44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45 참고문헌 47 부록 50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974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모바일 앱스토어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내 T스토어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cial Curation Service Design of the Mobile App Store : Focusing on Domestic T Store Cases-
dc.creator.othernameMoon, Kiyeon-
dc.format.pageix,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